◈ 잎(葉, Leaf)
잎은 줄기의 둘레에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광합성을 하는 기관으로, 각 부분의 크기, 형태 등은 식물에 따라 독특한 특색이 있어 식물을 식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엽신(잎의 몸)은 잎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서 광합성을 하는 곳이며, 엽신은 편평한 외형으로 광선을 잘 받으며 내부구조도 광합성을 하기 쉽도록 되어 있다.
엽병(잎자루)은 엽신과 줄기를 연결하는 부분이며 엽신이 광선을 받기 쉽도록 조절한다. 엽병 안에 들어 있는 관속은 줄기의 관속과 엽신의 관속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1) 잎의 부위별 명칭
잎의 외형에는 엽첨, 엽연, 엽각, 엽맥. 엽신, 탁엽, 엽병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1) 엽첨
잎의 선단 부분을 엽첨이라고 하는데, 예형, 예첨형, 점예첨형, 미상예첨형, 둔형, 원형, 소요형, 요형, 소돌형, 돌형, 미상형 등 11가지로 나눈다.
2) 엽연
잎의 테두리 부분을 엽연이라 하는데, 갈라지는 형태에 따라 전연, 우상열, 장상열로 구분할 수 있다.
전연의 유형 : 파형, 세파형, 원거치형, 거치상, 소거치상, 치아상, 소치아상, 모연, 장모연, 2중거치, 예천열 등이 있다.
우상열, 장상열의 유형 : 세로 반경의 1/2을 중심으로 하여 갈라짐의 깊이에 따라 천열, 중열, 심열, 전열로 세분화 된다.
3) 엽각
잎의 밑둥 부분을 엽각이라 하는데, 점첨형, 쐐기형, 둔형, 원형, 절형, 화살형, 창형, 심장형, 귀형, 방패형, 뚫림형, 포경 등의 12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4) 엽맥
엽맥은 줄기의 유관속에서 분지된 것으로, 보통 병립성 유관속에서는 상면이 목부, 하면이 사부이며, 한 개의 엽맥은 한 개의 유관속으로 된다. 유관속 형태는 같은 식물의 줄기와 일치한다.
엽액은 주맥과 지맥으로 나눌 수 있다.
주맥은 잎의 중심을 가르는 선을 의미하고, 지맥은 주맥에서부터 사방으로 뻗어 나뉘어 지는 선을 의미한다.
5) 엽신
잎의 주체가 되는 편명한 부분을 엽신이라 한다. 엽신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며, 엽신의 기본적인 형태에는 17가지의 형식이 있다.
6) 탁엽과 엽병
엽병은 줄기와 연결된 봉상의 부분을 말하며, 탁엽은 엽병의 기부에 부속하는 엽상의 부분을 말한다.
(2) 잎의 구조
상면과 하면이 있고, 보통 한층의 표피로 이루어져 였다. 표면에는 표피세포가 변형된 털(毛)과 기공이 분포하고 있다.
1) 털
털(毛)의 기본적인 형태에는 단세포모, 다세포모, T자모, 한점에서 국화상으로 다수 분지된 인모, 절이 없어 분지되는 노모, 현저히 긴 면모 이외에 강모, 자모, 구모 등이 있다.
①선모 : 모의 세포가 정유, 점액, 식충식물의 소화액 등을 분비하는 경우.
②선련 : 선모 중에서 선단의 세포가 분열하여 여러 개의 분비 세포로되어 정유를 저장하는 것.
2) 기공
기공은 잎의 상면보다는 하면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두 개의 공변세포 사이에 개폐가 가능한 간격을 만들고, 호흡을 하는 곳이기 때문에 공변세포의 개폐운동을 돕는 부세포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공변세포는 잎의 표면과 내면의 세포벽이 강하게 비후하여 있고, 외측의 측벽이 특히 얇고, 세포 내의 수분 양에 의하여 개폐한다.
3) 엽신의 구조
엽신은 책상조직과 해면상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책상조직의 세포는 엽록체를 다량 함유하는 유세포이며, 식물이 행하는 동화작용을 활발하게 한다.
① 책상조직의 형태 : 표피와 수직의 방향으로 긴 원주상의 세포가 츰츰히 나열되어있고, 표피로부터 들어 온 빛을 잘 이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② 해면상조직의 형태 : 종종 구상의 유세포로 되어 있고, 엽록체의 수는 책상조직보다는 적다. 세포간극이 많고 기공에 이어 가는 통기조직을 겸하고 있다.
엽신 조직내에도 유실, 수지도, 유관, 이형셰포 등이 만들어진다.
4) 엽병의 구조
엽병의 구조는 표피, 피층, 유관속으로 되어 있으며, 보통 피층내에 후각조직이 잘 발달되어 있다. 잎이 노화하게 되면 이층이라고 하는 코르크화된 세포층이 생겨서 유관속의 유통이 차단되게 되고, 엽신은 엽록소를 소실하여 홍엽이 되어 떨어진다.

잎의 구조
(3) 잎의 배열에 따른 분류
잎은 고등식물의 기관 중에서 기본 기관의 하나로서, 줄기에 규칙적으로 배열이 되어서 부착된다.
[엽서의 붙는 방식]
① 호생 : 한절에 한 장의 잎이 붙는 것 (가죽나무, 대극 등)
② 대생 : 2장의 잎이 대칭적으로 붙는 것(석잠풀, 민첩빈도리, 당단풍 등)
③ 윤생 : 3장 이상의 잎이 붙는 것(대극, 금송 등)

가죽나무 석잠풀 금송
[잎의 구성]
① 단엽 : 잎이 1개의 엽신으로 구성된 것 (깽깽이풀, 동의나물 등)
② 복엽 : 2개이상의 엽신으로 구성된 것 (오갈피, 구릿대 등)
* 복엽의 작은잎을 소엽, 전소엽을 지탱하는 줄기는 총엽병이라고 한다.
* 복엽에는 우상복엽과 장상복엽, 조족상복엽이 있다.
* 우상복엽인 경우, 정소엽이 있는 것을 기수우상복엽. 없는 것을 우수우상복엽이라 한다.
* 소엽이 3장인 경우, 3출복엽이라 한다.
* 소엽이 또 분열하는 것은 회수와 형식에 따라 2회 우상복엽, 3회 3출복엽이라 한다.

동의나물 갱깽이풀 오갈피나무 그릿대
[잎의 변태]
① 잎의 변태에는, 엽권수, 위엽, 구,구조, 경상엽, 포충엽 등이 있다.
② 위의 엽신과 엽병, 탁엽을 모두 갖춘 잎을 완전엽이라고 하고, 한·두부분을 갖추지 않은 잎을 불완전엽이라고도 한다.
"포충엽(네펜데스 맥시마, 긴잎끈끈이주걱, 끈끈이주걱 등)

긴잎끈끈이주걱 네팬데스 맥시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