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만에 조사
일제 때 조사한 8만1258판보다 94판 많아
팔만대장경’의 정확한 경판(목판) 숫자가 100년 만에 8만1352판으로 확인됐다.
이는 일제강점기인 1915년 이래 8만1258판으로 인정돼온 숫자보다 94판이 많은 것이다.
그러나 이 중 36판은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것이어서 포함 여부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
10여년에 걸친 문화재청의 팔만대장경 조사 결과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경판의 포함 여부에 따라 8만1352판
8만1316판으로 최종 확인됐다며
일제강점기 경판을 포함시킬지를 놓고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려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흔히 팔만대장경이라 불리는 경남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국보 32호)의 경판 숫자를
국가기관이 공식적으로 조사, 집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화재청 관계자
팔만대장경 일제조사가 최근 완료됐지만 숫자를 아직 확정하지 못했다며
일제강점기인 1915년, 1937년 각각 제작된 총 36개 경판의 문화재적 가치에 대한 견해들이 달라
전문가는 물론 사회적 합의가 절실하게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팔만대장경의 정확한 숫자가 100년 만에 확인됐지만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경판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가
광복 70주년을 맞은 우리에게 또 다른 숙제로 남겨진 것이다.
문화재청이 현재 조사를 진행 중인 ‘조선왕실의궤’ 역시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것들이 포함돼 있어 가치 판정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실제 1910년 이후 제작된 의궤를 조선왕실의궤로 볼 수 있느냐를 놓고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세계기록유산이자 국보 151호인 ‘조선왕조실록’의 경우 일제의 영향을 받은
고종실록, 순종실록은 국보와 세계기록유산에서 제외한 채 태조부터 철종 실록까지만 포함시켰다.
문화재청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문화재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위해 문제가 되는 36개 경판을 팔만대장경에 포함시킬지 여부 등을
주제로 한 공청회와 학술대회를 10월에 열 계획이다.
학계의 논의가 시작되고 사회적 합의가 이뤄진다면
1962년 지정된 국보, 2007년 등재된 세계기록유산에 각각 8만1258판으로 기록돼 있는 경판 숫자가 바뀌게 된다.
임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