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50도 “수능 모의평가 접수해 화이자 맞자”… 1분만에 신청 마감
25세이상 절반… 40세이상 1.9%
응시계획 없는 신청자 “화이자 원해”
교육부 “나이로 허위 신청 판단 못해”
코로나19 백신접종 현장 사진전 28일 광주 북구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센터에서 직원들이 예방접종 의료진의 활동을 담은 사진을 전시하고 있다. 북구는 접종자들에게 의료진의 노고를 알리기 위해 전시회를 마련했다. 이날 0시 기준 전국적으로 약 1529만 명이 1차 접종을 받아 전체 인구 대비 29.8%의 접종률을 기록했다. 광주 북구청 제공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비해 9월 1일에 치러질 모의평가 신청 열기가 뜨겁다. 재수생을 대상으로 하는 일부 입시학원은 28일 인터넷 접수가 시작된 지 1분 만에 마감될 정도다. 통상 9월 모의평가는 수능 전 마지막 예행연습이라 신청이 많지만 첫날 마감은 이례적이다.
모의평가는 학교와 학원에서 치러진다. 고3은 다니는 학교에서, 재수생은 주로 학원에서 시험을 본다. 학원을 다니지 않는 대학생이나 직장인은 대부분 학원에 신청해 시험을 치른다.
교육계와 학원가에선 ‘수능 백신’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수능 수험생은 정부 방침에 따라 화이자 백신을 우선 맞는다. 고3은 학교별로 동의 절차를 거친 뒤 7월 19일부터 접종을 받는다. 재수생 등 일반인 수험생은 8월 중 화이자를 맞는데, 9월 모의평가 응시를 기준으로 대상자를 정한다. 이 때문에 백신을 맞기 위해 모의평가를 신청한 일반인이 대거 몰렸다는 게 학원가의 분석이다.
직장인 A 씨(27)도 그중 한 명이다. A 씨는 이날 오전 10시 인터넷 창을 동시에 여러 개 열어놓고 종로학원 사이트에 접속했다. 몇 초도 되지 않아 강북종로학원의 접수가 마감됐다. 가까스로 강남종로학원을 통해 신청에 성공했다. 수능 응시 계획이 없다고 밝힌 A 씨는 “8월부터 20대 접종이 시작되지만 선착순 신청이라 늦어질 수도 있고, 기왕이면 화이자를 맞고 싶었다”고 말했다. 유학 갈 자녀의 백신 접종을 위해 모의평가를 신청하려던 학부모 B 씨는 “학원 몇 곳에 전화했더니 이미 접수가 끝났다거나, 수강 프로그램을 등록하면 접수해줄 수 있다고 한다”고 말했다.
이날 학원생과 별도로 일반인 신청을 받은 종로학원의 경우 시작한 지 1분도 되지 않아 모든 지점의 인원이 마감됐다. 40명 정원에 500명 넘게 몰린 곳도 있다. 이날 종로학원 신청자 중 25세 이상은 전체의 49.7%였다. 20∼24세(46.2%)보다 많았다. 40세 이상도 1.9%였고, 50대 신청자도 있었다. 2019년 이 학원의 9월 모의평가 일반인 신청자의 73.6%는 20∼24세였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40, 50대 신청자가 이렇게 많은 건 백신 접종의 영향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는 많은 입시학원이 코로나19 감염 우려로 학원생이 아닌 외부 일반인에게 모의평가 응시 기회를 주지 않는 탓에 종로학원에 몰린 영향도 있다.
이와 관련해 교육부 관계자는 “30, 40대도 수능에 응시할 수 있기 때문에 허위 신청 여부를 나이로만 판단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동안 교육당국은 “9월 모의평가 신청자의 백신 우선 접종과 40대 이하 일반인 접종이 모두 8월 중이라 ‘허위 신청’이 많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해 왔다.
한편 교육부는 고3 학생들의 백신 접종 동의를 30일까지 접수하고 더는 연장하지 않기로 했다. 교육부 측은 “동의하지 않으면 전 국민 접종 후로 순서가 밀리게 된다”고 설명했다.
최예나 기자 김소민 기자
김포는 ‘5인 모임금지’… 강화대교 건너면 ‘6인 OK’
지자체마다 거리두기 달라 혼선
“김포에서 강화대교 넘어오는 손님은 티가 나요. 몰려 들어오면서부터 쭈뼛쭈뼛하거든요. 그럼 바로 ‘강화에서는 6명까지 같이 앉으셔도 돼요’라고 안내하죠.”
인천 강화군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A 씨는 21일부터 한 테이블에 6명까지 고객을 받고 있다. 영업도 밤 12시까지 가능하다. 강화군은 정부 ‘사회적 거리 두기 개편안’의 시범사업 운영지역이기 때문이다. 다음 달 초부터 시행하는 사회적 거리 두기 개편안이 지역에 따라 다르게 적용돼 혼란을 키운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자체들은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한 판단”이라고 설명하지만, 전문가들은 오히려 혼선을 초래해 방역에 구멍이 뚫릴 수 있다고 우려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한강을 사이에 두고 강화대교로 이어지는 경기 김포시와 인천 강화군이다. 직선거리로 780m밖에 떨어져 있지 않지만, 김포시는 다른 수도권 지자체와 마찬가지로 ‘5명 이상 집합금지’와 ‘오후 10시 영업 제한’이 유지되고 있다. 김포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B 씨는 “바로 옆 강화군에 가면 비교적 편하게 술 마실 수 있다 보니 단골들도 다 그쪽으로 가는 분이 많다”며 “안 그래도 장사가 안 되는데 정부가 불난 집에 부채질하고 있다”며 분개했다.
경남은 이보다 상황이 더 복잡하다. 현재 창원과 진주, 통영, 남해 등 9개 지역에선 사적 모임이 4명까지만 가능하다. 반면 의령과 창녕, 함안, 고성 등 9개 지역에서는 8명까지 사적 모임이 가능하다. 통영과 고성은 인접지역인데도 집합금지 기준이 다른 셈이다.
정부가 사회적 거리 두기 개편안의 일부 내용을 번복한 것도 혼란을 키운 측면이 있다. 최원석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는 “방역수칙을 적용하는 지역 단위의 범위가 좁으면 적용을 피하기 위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시민들이 생길 수밖에 없다”며 “방역수칙은 큰 틀에서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유채연 기자, 이소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