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S는 Basic Input Output System의 약어이다. 컴퓨터의 가장 기본적인 처리기능을 갖춘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와 주변장치 사이에서의 대화를 제어, 조작하는 운영체계 프로그램이다. BIOS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를 중개하여 입출력을 관장하는 소프트웨어로 컴퓨터를 처음 부팅할 때부터 전원을 끌 때까지 모든 컴퓨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덩어리라 할 수 있다. 컴퓨터를 켰을 때 제일 먼저 시스템을 자기 진단하여 고장 유무를 판단해 주는 한편,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모니터, 키보드 등과의 기본적인 연결고리를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컴퓨터에 전원을 넣으면 컴퓨터가 작동하기 위해 DOS(disk operating system)나 응용소프트웨어를 인식하기 전에 가장 먼저 BIOS가 프로그램화된 명령과 규칙에 의해 주 기억장치, 하드디스크, 모니터, 키보드, 직렬 포트, 병렬 포트 등 하드웨어를 점검한다. 위와 같이 컴퓨터를 작동시킬 때 가장 기본이 되는 입출력 프로그램인 BIOS를 읽기전용 메모리인 ROM(read only memory)에 기록해 둔 것을 ROM-BIOS라 한다. ROM-BIOS 서비스는 대부분 INT(interrupt)명령을 사용한 인터럽트를 통해 실행되는데, 인터럽트는 프로그램 실행중 우선순위를 바꿔 처리하는 긴급명령을 말한다. BIOS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중의 하드웨어에 의존하는 제어프로그램이며, 일반적으로 퍼스널 컴퓨터의 OS는 이기종 하드웨어에서도 공통으로 동작하도록 하드웨어 의존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모듈로 분리해 만들어진다.
12. Interface /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Interface)는 본래 두 개의 구성요소, 기능단위가 갖는 경계·접촉면 또는 공유하는 영역이란 의미를 가지며, 인간과 기계의 경계에 있어서는 인간이 취급하기 쉽도록 설계한 시스템·장치나 규격·규약을 말한다. 인터페이스는 컴퓨터와 관련해서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접속할 때의 규약을 뜻한다. 예를 들면 컴퓨터와 프린터를 접속할 경우 서로의 규격이 같지 않으면 데이터의 교환이 불가능하며, 규격이 같을 때 비로소 퍼스컴의 명령에 의해 프린트가 가능해진다. 이 때 두 장치 사이에 같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고 말한다.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시스템·장치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기기간의 상호연결
▶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는 두 개의 시스템 또는 장기간의 물리적 접속조건, 연결 부분품 또는 서브 시스템의 물리적 표면·간격 등 기계적 조건, 정합신호레벨·인피던스·파워레벨 등의 전기적 조건, 두 개의 장치·시스템 상호접속에 관한 회로의 형식과 신호의 형식 등에 관한 규격
▶ 프로그램 가능한 계측기에 있어서는 시스템 상호간 또는 시스템의 부분간에서 공용되는 경계
13. Bus / 버스
버스(bus)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신호원이나 전력원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대편에 신호나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도체 즉 연결통로를 말한다. 버스는 컴퓨터, 정보통신에 있어서는 어느 일정 발신지에서 어느 일정 수신지로 정보, 데이터를 전달하는 공통로를 말하며, 시스템의 구성요소인 프로세서 보드, 메모리 보드, 입출력 보드 등을 결합해 시스템을 구축하는 공통모선이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를 인체의 심장으로 가정하면 시스템 버스는 시스템을 관통해 흐르는 동맥과 같은 것으로서 모든 정보, 데이터를 전달하는 공통통로이고 각 보드 내에 존재하는 버스는 로컬 버스 또는 내부 버스라고 한다. 모든 기종에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가진 표준버스는 사양,기술 정보 등이 공개돼 있어 공적으로 표준화가 제안되어 그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거나 이미 표준화돼 있는 것을 말한다. 표준버스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8비트 폭인 시대에 S100, 16비트 폭인 IEEE 796 버스(멀티버스 I)가 널리 사용돼 왔고, 근래엔 PC나 워크스테이션에 사용되는 32비트 폭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대응해 VME 버스, 멀티버스Ⅱ, Nu 버스 등이 제안 사용돼 왔었다. 최근엔 중앙연산처리장치(CPU)와 주변장치 사이의 데이터 통로를 크게 확장, 데이터 처리속도를 한결 빠르게 해주는 32비트 폭의 로컬버스가 개발되고 비디오 칩 및 주변기기 업체들이 주축이 된 VESA(Video Electric Standard Association)진영의 VL(VESA Local) 버스와 인텔과 IBM, 컴팩, DEC 등이 주축이 된 인텔 진영의 PCI 버스간의 표준화 싸움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14. PCB / 인쇄회로기판
Printed Circuit Board의 약어이다. 여러 종류의 많은 부품을 페놀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로 된 평판 위에 밀집 탑재하고 각 부품간을 연결하는 회로를 수지평판의 표면에 밀집 단축하여 고정시킨 회로기판이다. PCB는 페놀 수지 절연판 또는 에폭시 수지 절연판 등의 한쪽 면에 구리 등의 박판을 부착시킨 다음, 회로의 배선패턴에 따라 식각(선상의 회로만 남기고 부식시켜 제거)하여 필요한 회로를 구성하고 부품들을 부착 탑재시키기 위한 구멍을 뚫어 만든다. 배선 회로면의 수에 따라 단면기판·양면기판·다층기판 등으로 분류되며 층수가 많을수록 부품의 실장력이 우수, 고정밀 제품에 채용된다. 단면PCB는 주로 페놀원판을 기판으로 사용하며 라디오·전화기·간단한 계측기 등 회로구성이 비교적 복잡하지 않은 제품에 채용된다. 양면PCB는 주로 에폭시 수지로 만든 원판을 사용하며 컬러TV·VTR·팩시밀리 등 비교적 회로가 복잡한 제품에 사용된다. 이 밖에 다층PCB는 32비트 이상의 컴퓨터·전자교환기·고성능 통신기기 등 고정밀 기기에 채용된다. 또 자동화기기·캠코더 등 회로판이 움직여야 하는 경우와 부품의 삽입·구성시 회로기판의 굴곡을 요하는 경우에 유연성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만든 회로기판을 유연성 기판(Flexible PCB)이라고 한다.
15. PCI 버스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버스는 PC 내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버스 표준규격을 말하는데, 1991년 미국 인텔사를 중심으로 유력 컴퓨터 관련업체가 제창한 규격이다. 버스란 중앙처리장치와 주변기기를 연결해 주는 컴퓨터내부의 통신장치로 일종의 연결통로를 일컫는데, 지난 10여년간 CPU가 고성능화 됨에 따라 업계 표준이었던 ISA나 EISA, MCA, 최근에 등장한 VESA 등의 버스는 많은 문제점을 드러냈다. VESA 버스의 경우 구조상 컴퓨터의 두뇌라 할 수 있는 CPU에 과중한 부담을 주게 돼 그래픽 처리속도나 주변장치로의 정보전달 등에 결정적인 약점이 있는 것으로 지적돼 있다. 게다가 차세대 PC분야의 주력 제품으로 등장할 64비트 PC에서도 확정된 데이터 버스 사양이 없다는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컴퓨터업계는 더욱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버스를 찾아 나섰고 그 대상이 바로 PCI버스이다. 이 방식은 우선 개념 자체가 64비트 위주여서 펜티엄PC 등에 채택하기 쉬운 데다가, 구조도 CPU와 버스가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돼 있어 정보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 PCI 버스는 호환성이 VESA 버스에 비해 뛰어나고 슬롯의 크기가 작다는 것도 커다란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현재 PCI 버스 진영에는 인텔을 중심으로 IBM, 컴팩, TI 등이 참가하여 VESA 버스 시장을 압도하고 있다.
16. USB / Universal Serial Bus
USB(Universal Serial Bus)란 인텔, 컴팩, IBM, DEC, 마이크로소프트, NEC, 노던텔레콤 등 7개 기업이 합의한 PC주변기기 포트규격을 말한다. 인텔이 1996년 2월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인텔 82930A 컨트롤러를 상용화 함으로써 전세계 PC업체들은 이를 채용한 제품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방식은 P&P(Plug & Play)를 거의 완벽하게 실현할 수 있는 PC규격으로 평가 받고 있다.
17. IEEE1394
IEEE1394는 애플컴퓨터가 개발한 디지털 기기간 전송기술로, 통신기기와 컴퓨터 및 가전제품을 단일 네트워크로 연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1백Mbps∼1Gbps의 빠른 속도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인터페이스 기술을 말한다. IEEE1394는 미국 전기전자기술협회(IEEE)에서 A/V기기에 사용하기 위해 만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직렬 버스 규격으로, 전송 속도 400Mbps의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Fire Wire라는 별칭이 있다. IEEE1394는 기기간에 시리얼로 연결해 사용하고 최대 63개의 기기 연결이 가능하며, 기기간 거리가 4.5m이내이고, Wire구조는 1개의 케이블 안에 6개의 선(전원과 접지선, 2쌍의 신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IEEE1394에 의한 디지털 기기간 통합으로 하나의 기기(디지털TV 또는 PC)를 통해 다른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환경 즉, 리모컨 하나로 모든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IEEE1394는 전원 공급을 중단하지 않은 상태로 시스템에서 주변 장치들을 연결했다 뺏다 하는 Hot Pluging을 지원하며, 독특한 메모리 어드레싱 방식을 지원하고 다양한 주변장치를 사용자가 원할 때 곧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IEEE1394는 비동기(Asynchronous) 및 동기(Isochronous) 전송 프로토콜을 동시에 지원하는데, 비동기방식에서는 정확한 주소로 데이터와 트랜잭션 레이어 정보를 전달하고, 반면에 동기방식에서는 정확한 주소 보다는 각 채널 넘버에 기초한 데이터를 흩뿌려 전달한다.
18. IDE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는 HDD와 컴퓨터 시스템간을 이어 주는 인터페이스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IDE 인터페이스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PC에서 IDE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HDD, CD-ROM드라이브, Tape 드라이브 등의 저장장치를 연결하지만, 워크스테이션이나 서버같은 하이엔드 컴퓨터에서는 이보다 성능이 우수하고 가격이 비싼 SCSI 인터페이스가 주로 쓰인다. IDE 인터페이스는 40가닥의 라인으로 구성된 넓적한 케이블을 통해 HDD와 IDE 인터페이스 카드를 연결하며, 각 케이블은 HDD를 2개까지 연결할 수 있다. IDE HDD는 HDD 컨트롤러 부분이 드라이브 자체에 내장된 형태를 나타내며, 다른 말로 AT 또는 ATA(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HDD라고도 한다. 이는 IDE 방식 HDD가 AT(또는 ATA)라는 인터페이스 규격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기 때문이다. IDE는 HDD 컨트롤러 부분을 드라이브에 내장함으로써 인터페이스 카드가 단순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DE 인터페이스 카드는 저장장치 4개, FDD 2개, 시리얼 포트 2개, 패러렐 포트 1개, 게임포트 1개를 제공하고 키보드와 모니터 포트를 제외한 대부분의 PC용 포트를 해결해 준다. IDE 인터페이스는 PIO와 DMA라는 2가지 데이터 전송 모드를 지원하는 데 이 두가지 모드를 좀더 향상시킴으로써 HDD 인터페이스의 속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꾸준히 진행중이다.
19. Booting / 부팅 / 시동
Booting(부팅)은 시동이라는 뜻으로 시동 장치(bootable device)를 사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운영체계를 설치하고 컴퓨터가 동작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작업을 말한다. 동의어로는 부팅 업(booting up)이 있다.
20. DVD
Digital Video Disc(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또는 Digital Versatile Disc(디지털 다기능 디스크)이며, 등장 때부터 전체 이름이 정확히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냥 DVD라고 한다. 광 디스크의 고밀도화가 급진전되어 기존의 레이저 디스크(LD)가 갖는 아날로그 동화상 정보량을 콤팩트 디스크(CD) 크기인 12cm에 기록할 수 있는 차세대 광 디스크이며, MPEG-2 압축기술을 이용하여 영화 한 편 분에 해당되는 135분간의 동화상을 기록할 예정이다. MPEG-2 압축기술로 현재의 TV방송 화질을 유지하려면 평균 부호화 속도는 약 3Mbps 정도이므로, 3Mbps×135분×60초÷8비트 즉, 3G바이트 정보량에 음향신호(AC-3) 및 캡션신호 등이 추가되므로 최소 4G바이트 용량이 필요하다. 이는 650M바이트의 CD에 약 6배에 해당되는 것이다. 이는 기록면 갯수(2층 또는 양면)를 늘리고 레이저 광원의 파장을 짧게 하고 렌즈를 더욱 정교하게 하여 기록밀도를 높이고,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이루어진다. 국제공동규격 제정을 둘러싸고 일본의 소니와 도시바 두 진영간의 방식이 있는데, 소니는 필립스와 함께 기존의 CD와 규격 호환을 중요시한 1.2mm 동일 두께에 단면 저장용량 3.7G바이트를 갖는 규격(일명 HDMCD)을, 도시바는 마쓰시타전기, 파이오니어, 히타치, 톰슨, 타임워너, MCA 등과 더불어 화질 향상을 위해 0.6mm 두께의 디스크 2장을 붙이는 양면기록방식으로 약 10G바이트 저장용량을 갖는 규격(일명 SD standard)을 제안했는데, 1995년 말에 디지털 버서타일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라는 이름으로 통일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