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양사 만암 선사
‘주는 불교’ 설파 빈민구제 혼신, 흉년들면 공사 벌여 품삯
“눈이 오니 풍년 들겠구나” 대중들과 기뻐하다 입적
‘눈을 밟으며 들길을 갈 때/모름지기 함부로 걷지 마라./
오늘 내가 남긴 발자국이/뒷사람에게 이정표가 되리니.’
흰 눈이 소복이 쌓였다.
백양호수 맑은 물 옆길을 거슬러 발자국이 나있다.
서산대사의 부도탑지 옆에서 눈길을 걸으니
어찌 대사의 시가 더욱 간절하지 않을까.
부도 탑 인근 절 입구엔 쌍계루가 있다.
백암산의 산봉우리 백학봉 좌우에서 흘러내린 물이
냇물이 되어 만나는 곳이다.
이 물을 만암 선사(1876~1957)가 막아 보를 쌓았다.
백양사는 예부터 가장 가난한 절로 알려졌다.
그런데도 만암은 주지가 되자 죽을 쑤어먹을 것만 남기고
나머지는 굶주리며 죽어가는 사하촌의 집들에 곡식을 나눠주었다.
이 때 신세를 진 마을 사람들이 가을 추수 때 흉년인데도
곡식을 지고 되갚으려하자 다음 해부터 보막이 공사를 벌여
노임을 줘서 구제사업을 펼쳤다.
일거리가 사라지면 멀쩡한 보를 다시 터서
또 공사를 벌여 노임을 주곤 했다.
‘이뭣꼬’ 씨름 7년 만에 득도
전북 고창에서 빈농의 넷째 아들로 태어난 만암은
4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11살 때 어머니마저 잃자 곧 출가했다.
어머니가 흰 양을 안은 태몽을 꾸고 그를 얻었다니
흰 양을 뜻하는 백양사 출가는 필연이었을까.
당대의 대강백 한영· 환응 스님 등으로부터 배워
불과 25살 때 해인사 강백으로 추대됐던
그는 교학에 그치지 않고 ‘이뭣꼬’(이것은 무엇인가)란
화두를 들고 7년 동안 정진하다 마침내 운문선원에서
당대의 선지식 학명 스님을 등에 업고 덩실덩실 춤을 추며
깨달음의 노래를 불렀다.
만암을 만암이게 한 것은 그의 삶이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는 1300년간 닫혀 있던 산문을 중생을 위해 활짝 열어젖혔다.
1910년 한일합방이 되자 노승들의 반대에도
산내 청류암에 광성의숙이란 교육기관을 만들어
훗날 조국과 불교계를 이끌 인재양성에 나섰다.
이런 열정으로 만암은 1928년부터 3년 간 동국대학교 전신인
중앙불교전문학교 초대 교장을 지냈고,
1947년엔 광주 정광중고교를 설립했다.
그는 ‘받는 불교’에서 ‘주는 불교’가 되어야 한다며
스님들에게 산에서 칡넝쿨과 싸리나무를 베어다 소쿠리를 만들고,
대나무를 베어다가 바구니를 만들게 했다.
또 곶감을 만들고 벌을 쳤다. 이런 것들은
모두 그 동안 신세진 불자들에게 보내졌다.
처음엔 “중들이 수행이나 하면 되지 이게 무슨 짓이냐”는
불만의 소리가 적지 않았지만, 만암은 직접 낫을 들고 일에 앞장섰다.
“선과 농사는 둘이 아니다”
일이 많다고 수행을 게을리 하는 것을 그는 결코 용납하지 않았다.
새벽과 저녁 예불에 참여하지 않는 중은 밥도 주지 말라고 엄명했다.
만암의 말년에 3년 간 그를 시봉했던
서울 용화사 한주 학능 스님(67)은
“큰스님은 뒷방에 거처하지 않고 대중방인 향적전 옆에
조그만 방에서 거처하며 늘 대중생활을 했으며,
열반하기 며칠 전까지도 늘 대중들과 함께 발우공양을 하며
조석예불에 참석하고,
방에 돌아와서는 밤새 좌선 정진하곤 했다”고 회고했다.
만암의 슬로건은 ‘선농일여’(禪農一如:선과 농사가 둘이 아님)였다.
그렇다고 그가 사찰 운영을 ‘독재적’으로 한 게 아니었다.
절 집안사람들이 모두 모여
대소사를 만장일치로 결정하는 게 대중공사다.
그는 이 민주적 절차를 통해 대중의 합의로 일을 해나갔다.
‘백양사에서 (대중)공사 자랑 말라’는 말이 생길 정도였다.
△ 자신에겐 철저하고 대중에겐 관대했던 만암 선사.
만암의 삶의 방식은 조계종 종정이던 당시 ‘
취처승(아내가 있는 승려)을 절에서 몰아내라’는
당시 이승만 대통령의 유시로 불붙은 ‘정화’ 때도 잘 드러났다.
그는 강경파들이 대처승들을 절에서 폭력적으로 몰아내려하자
종정직을 홀연히 벗고 백양사로 돌아갔다.
그는 대처승들도 절을 돕도록 하되 상좌(제자)는 두지 못하도록 해
자연스럽게 정화를 이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자신은 가장 철저히 계율을 지킨 청정 비구승이었지만
대처승들을 불가 안에서 활로를 찾아주고자 했다.
백양사 뒤 산길을 올라 호남제일선원이라는 운문선원에 이르니
선원장격인 유나 지선 스님이 정진 중이다.
그는 “만암 선사는 자신에겐 가혹했지만
중생에겐 한 없이 자비로웠던 인물”이라고 말했다.
만암의 제자 서옹 선사의 제자로
만암의 손상좌인 지선 스님 또한 선승이면서도
실천불교승가회 이사장으로서
불교계에서 선구적인 실천가로 활동했다.
만암은 세납 80살이던 어느 날 대중들과 함께 죽로차를 마시다
“눈이 저렇게 오니 풍년이 들겠구나”고 기뻐하며 그대로 입적했다.
평생 흉년에 배곯이하고 배울 학교조차 갖지 못한 중생들과
동고동락해온 만암의 상여 길도 이처럼 눈밭이었으리라.
백양이 온 천지를 뒤덮었다.
누가 또 길 없는 산하대지에서
뒷사람의 나침반이 될 자취를 남길 것인가.?
장성 백양산 / 조연현 기자
------------
만암 종헌스님 나의 불교관
“불법은 절대 평등이요 절대 公器”
인생과를 간단히 말하면 인연이라 말할 것이다.
인(因)이란 우리의 본성이고, 연(緣)이란 우리들의 세계 바로 연이다.
그러면 인연의 뜻은 무엇인가.
인은 종자와 같고 연은 물과 흙 같으니 아무리 종자가 있더라도
물과 흙의 연을 맺지 않으면 발생치 못함과 같다.
대개 사람은 개개인이 본성을 모두 가지고 있으니
이성은 천지보다 먼저 하여 그 시작이 없고
또한 천지보다 뒤에 하여 그 종말이 없다.
그러므로 곧 불생불멸(不生不滅)하며 부증불감(不增不減)이라 부른다.
이성은 사람마다 같을 뿐 아니라 중생과 모든 부처가 함께 동일하다.
모든 부처는 연을 따라 본성을 여실히 수련하는 까닭으로
본래 가진 공덕을 많이 지니고 있으나
우리 중생은 연을 따라 작업의 차별이 있으므로
지혜롭고 어리석기가 중생마다 차별이 있어
선악의 인과응보가 다르다.
이와 같이 이생, 저생에 깨끗한 연이 물듦에 따라
선(善)을 짓고 악(惡)을 지음이 다양하다.
그러므로 중생의 번뇌가 다함이 없으며
이 다함없음을 따라 생사(生死)가 무궁하여
이 무궁함을 따라 모든 부처님의 인연이 더욱 무궁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인생관은 인연이라 부른다.
생(生)이라 함은 만물의 번영함과 같고
사(死)라 함은 만물의 조락함과 같다.
그러므로 번영이 곧 쇠락의 근본이요, 쇠락이 곧 번영의 근본이다.
사람의 생사도 이와 같아서
같은 뿌리 다른 가지에 그 간극이 천지차이다.
이른바 깨달은 사람의 중대한 관념을 둘 것은 못 되나
지혜롭고 어리석음은 물론하고 생사에 대한 관념이
경중의 차별까지는 있을지라도 아주 무심하다고 말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이른바 어리석거나 현명치 못한 경우에 있어서는
아무리 짧은 시간이라도 자기를 위하여 무수한 행복과
영원한 안락을 꿈꾸므로
그 생에 대한 강한 집착으로 근심이 끊이지 않을 것이다.
부처님께서 중생의 근기에 따라
바른 길을 보이는 교화방편은
봄바람이 높고 낮음 없는 것 같아
지혜롭고 현명한 사람이라면 어떠한 인연이든지
이 몸이 이 세상에 태어난 이상 초목처럼 썩어지는 것은 무의미한 일이다.
특히 다른 사람을 위하고 자기를 위하는 가운데
도덕으로 자기를 닦으며 공덕으로 만물을 이롭게 하여
즐겁게 하고 남의 근심을 근심하는 것이니
생사의 관념은 동일한 경우나
그 가볍고 무거운 차별은 이와 같은 것이다.
사람의 생사관이 그 정도에 따라 이와 같이 달라
이는 세간상에서 면할 수 없는 차별이거니와
만약 출세간상에서 논한다면
생사가 청천에 뜬 구름이 일어났다 흩어짐과 같으니,
꿈과 같이 허망한 나의 육신이 법신과 같다.
멸하여도 멸함에 슬프지 아니하니
천강유수천강월(千江有水千江月)이요
생하여 생함에 착하지 아니하니
만리무운만리천(萬里無雲萬里天)이로다.
이 생사관이란 또한 대체 어떤 것인가?
내가 불교관을 말하고자 함은
마치 우물 안 개구리의 격을 면치 못하는 줄을 안다.
각기 그 지식의 깊고 얕음을 따라서 우열의 차이는 없지 않다 할지라도
그 기량을 따라서 느껴지는 것은 동일하다.
그러므로 내 개인의 소감 일부분을 펼친다.
특히 나는 불교의 첫 머리에 절대 평등이 절대 공기(公器)임을 주장한다.
그러므로 대각 세존께서 소아(小我)를 버리시고
대아(大我)를 성취하시고, 자(自)와 타(他)가 둘이 아닌 가운데
대자대비로 중생의 근기를 따라 이끌어 주시되
진리도 설하시고, 사상도 설하시며 권(權)과 실(實)도 설하시어
어둠 가운데 밝은 빛을 지으시고,
길 잃은 자에게 바른 길을 보이시는
걸림 없는 청정한 지혜의 눈으로 선택이 없고,
얻고 버림이 없는 무한의 교화방편은 마치
봄바람이 높고 낮음이 없는 것과 같다.
또한 봄바람은 원래 높고 낮음이 없지만
꽃가지가 스스로 깊고 얕음이 있는 것과 같이
우리 중생의 근기가 똑같지 않으며
도의 깊이가 하나같지 않아서
도에 나아감이 느리고 빨라서 천차만별하고 우열이 각각 다르다.
이는 교화받는 자에 한하여 어쩔 수 없는 일이나
도가 원만히 성취되어서는 또한 절대 평등이요 절대 공기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도리는 사람에 있고
사물에 존재치 않음이 아니며 인격이 있고 없음에 따라 다르지 않다.
한 사람이 진리를 찾아 근원으로 돌아가니
허공이 모두 다 녹아 없어진다 하였다.
이런 까닭으로 나의 불교관은 허공처럼 원융하여 남고 모자람이 없고,
주체와 객체가 둘이 아니며 선악이 따로 없어
원수와 친한 이가 하나와 같으므로 절대평등이요,
절대공기라 부른다.
연기 사라지고 구름 걷힌 뒤에
밝은 달밤은 깊고 깊다.
붉고 푸른 빛이 도대체 무슨 빛이냐.
탄연한 옛 부처 마음이다.
- 〈만암집〉에서 발췌
출처 : 염화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