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미(蟬/Cicada)의 노래
참매미 / 말매미 / 쓰름매미 / 유지매미 / 털매미 / 매미 탈피
매아미 맵다 울고 쓰르라미 쓰다우니 / 산채(山菜)를 맵다는가 박주(薄酒)를 쓰다는가.
우리는 초야(草野)에 묻혔으니 맵고 쓴 줄 몰라라 <歌曲源流 李廷藎 時調>
※매아미-매미의 충청도 방언 ※쓰르라미-쓰람매미
매미는 전 세계에 3,000여 종이나 있다는데 우리나라에는 참매미, 유지매미, 털매미 등 20여 종이 서식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 고유종으로는 참깽깽매미, 말매미, 봄매미, 소요산매미, 두눈박이 좀매미....
매미는 암컷은 소리를 내지 않아 벙어리 매미라 하고 수컷은 특수한 발음기관을 가지고 있어서 높은 소리를 내는데 짝짓기를 위한 신호로 이 우는 소리를 듣고 암컷이 다가와 짝짓기를 한다.
짝짓기가 끝나면 암컷은 단단한 산란관이 있어 나무껍질을 뚫고 알을 낳는데 45일~10개월, 또는 그 이상이 걸려야 부화가 되는데 애벌레는 나무껍질 속에서 기어 내려와 땅속으로 들어가서 나무뿌리의 진액(津液)을 빨아먹고 자라다가 2~3년 만에 밖으로 나와 허물을 벗고 성충 매미가 된다고 한다.
매미는 종류에 따라서 부화와 성장의 시기가 각각 다른데 어떤 종은 알에서 부화 된 후 7~8년이 지나야 성충이 되는 종도 있다고 하고, 북아메리카의 어떤 종은 17년이나 걸리는 매미도 있다고 한다.
그러나 성충이 된 후, 짝짓기를 위하여 수컷이 열심히 울어대는데, 성충이 된 후 암·수 모두 1~3주 정도를 살다가 짝짓기를 성공하고 알을 낳으면 암수 모두 생을 마감한다고 한다.
살아있을 때도 새들이 잡아 먹이로 하지만 스스로 죽어 땅에 떨어진 것도 새들의 먹이가 된다.
매미의 생긴 모양을 보면 종류에 따라 모양과 색깔, 날개의 크기 등이 모두 조금씩 다르다.
탈피 모습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날개가 없는 통통한 땅속 벌레가 땅 위로 기어 올라와 등껍질이 갈라지며 나오고, 나오자마자 순식간에 쭈글쭈글하던 날개가 활짝 펴지는데 날개 길이가 몸길이의 거의 두 배나 된다. 날개도 투명한 것도 있고 불투명한, 무늬가 있는 날개를 가진 종도 있다.
또 신기한 것은 모든 동물들은 소리를 낼 때 성대(聲帶)가 목에 있어 입으로 소리가 나오는데 매미의 발성(發聲)은 허리이다. 매미가 우는 모습을 지켜보면 허리 아랫부분이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잡아 허리를 젖히고 드려다보면 발성 막(膜)이 있는 것이 보인다.
매미의 생긴 모양은 머리의 양쪽에는 겹눈이 있고, 중앙에는 3개의 홑눈이 있으며 입은 가늘고 단단한 대롱 모양인데 이것을 나무에 박고 진을 빨아먹으니 입으로 소리는 낼 수 없는 형태이다.
매미 애벌레는 땅속에서 나무뿌리의 수액을 빨아먹고, 성충(어미매미)은 햇가지(새로 나온 나뭇가지) 속에도 알을 낳아 나무를 말라 죽게 하므로 식물에 피해를 주는 곤충으로 알려졌다.
크기를 보면 참매미- 몸길이 35mm, 날개 68mm. 말매미- 몸길이 40~48mm, 날개 60~70mm. 쓰름매미- 몸길이 30mm, 날개 36mm. 유지매미- 몸길이 35mm, 날개 42mm. 털매미- 몸길이 24mm, 날개 38mm.<대충>
어느 해였던가, 서울 여의도에 몇 년 만에 갑자기 엄청나게 많은 매미 떼가 나타나 시끄럽게 울어대는 바람에 온통 난리를 겪었던 때도 있었다. 매미는 종에 따라 생긴 모양은 물론, 우는 소리도 매우 다르다.
참매미는 ‘매암~매암~’, 말매미는 ‘찌리리리~~~’, 쓰름매미(쓰르라미)는 ‘쓰름~ 쓰름~’, 유지매미는 ‘쯔르르르~, 즈글즈글~~’ 기름 끓는 소리(油脂), 털매미는 ‘찌이이이~~’ 등 정확한 표현인지는 몰라도 어떤 종은 제법 아름답게 들리지만 어떤 종은 정말 시끄러워서 짜증이 날 정도이다.
우리 집 뒷산 가현산(歌絃山) 줄기를 등산하거나, 식후 향긋한 연초향기(담배) 맡으러 바깥에 나가면 정말 매미 소리가 가득한... 계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