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우야담에 나온 이야기
어우야담이란 조선 광해군때 어우당 유몽인이 지은 야담집으로
조선시대 설화문학을 잘 알 수 있는 자료입니다만
야담집으로서 뭔가 강렬하거나, 자극적인 내용은 별로 없습니다.
물론 현대인들이 워낙에 그런 것들을 봐 오다보니
어우야담이 그다지 자극적이지 않은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어쨌거나 어우야담에 있는 내용중에 하나를 올려봅니다.

조선시대 선조 19년(1586)에 일어난 사건인데,
진사 관직을 가지고 있던 외암 김훈의 집에 사단이 생겼다.
그 집 가축과 하인들이 잇달아 죽었고 그의 노모는 뭔가에
홀린 듯 망녕이 났고 그의 아들 여물은 갑자기 열병으로
쓰러져 일어나지를 못했다.
수많은 의원들의 그를 살폈으나 고개만 흔들고 돌아갔다.
결국 김훈은 사대부의 의를 깨고
용하다고 소문난 점쟁이 신막점을 불렀고
신막점은 한참 점을 치더니만 심각한 소리로 얘기했다.
"이집에 손말명(원한 맺혀 죽은 처녀귀신)이 붙었습니다.."
"무엇이? 그럼 귀신이..쫓아 낼 밥법은 있는가?"
김훈의 질문에 점쟁이는 쉬이 말을 못했다가 재차 묻자
한숨을 내쉬며 얘기했다..
"소인의 재주가 미천하여 이 귀신을 쫓아낼 방법이 없나이다..
대신 쫓아내줄 사람은 아나이다" 점쟁이의 말에 김훈이 반색하며 물었다..
"누군가 그게..?"
"이조정랑 중 백사라는 호를 쓰시는 분을 데려오면 됩니다"
"백사라면 이항복 대감이 아닌가..그분이 무슨 힘으로 귀신을 막을 수 있는가"
"그 분이라면 능히 막을 수 있을 겁니다..오늘 원귀가 나설 모양이니
어서 그 분에게 연락을 하소서"
김훈은 반신반의 했지만 사람을 시켜 이조정랑을 불렀고
잠시 후 저녁 노을이 질 무렵 백사 이항복이 도착했다.
김훈은 오셔셔 감사하다는 말과 자초지정을 설명 했고 이야기를 들은
이항복은 태연하게 점쟁이에게 물었다
"그럼 내가 어떻하면 되겠는가?"
"영감은 원귀가 된 의선대군의 원한을 달래줘서 잡귀를 다스리는 인을
받았지 않습니까, 웬만한 귀는 영감에게 접근조차 못할 것이니
여기서 이집 자제분을 지켜주소서"
점쟁이의 말을 들은 항복은 몸을 깨끗이 씻고 옷을 정갈이 한채 조용히 앉아있었다.
그리고 시간이 되서 유시(대략 10시경)가 되자 갑자기 바람이 불었고 미쳐 누워있던
김훈의 어머니가 벌떡 일어나더니 쉰 목소리로 말을 했다.
"이 갈갈이 찢어 죽여도 시원치 않을 것들.. 오늘이야 말로 이 집안의 놈들
씨를 말려주마" 그렇게 외치며 봉두난발을 한 채 김훈의 어머니가 걸어왔다.
집안의 장정들이 노파의 몸을 붙들었으나 노파는 장정들을 물리치고는
안방으로 들어왔다.
"흐흐흐..오늘 이 날을 기다렸다..네놈들 씨를 말려주마"
노파가 무서운 형상으로 들어오자 담이 약한 사람들은 기절을 하고
다른 사람들도 엎드린 채 일어나지를 못했다.
그러다 노파가 여물의 곁으로 가는 순간 이항복을 보자 뒷걸음질을 쳤다..
"네놈은 뭐하는 놈이냐..어서 비켜라" 노파가 무서운 형상으로 고함을 질렀으나
이항복은 태연했고 그러자 노파는 벽에 걸린 장검을 뽑아들어 이항복에게 휘둘렀다.
"비키지 않으면 이걸로 네놈을 베겠다.."
그러나 이항복은 물러나지 않고 제망매가를 불렀고
그러자 노파는 괴로운듯 비명을 지르며 물러났다.
"네 이놈 오늘은 내 그냥 가지만 내일 네놈들을 요분질 해주마"
귀신이 물러나자 노파는 입에서 피를 토한 채 쓰러졌다.
악몽의 밤이 지난 후 이항복은 김훈과 점쟁이를 불렀다.
"내 재주가 마땅치 못하여 원귀를 완전히 잡지 못했네..자네는 무슨 도리가 없겠는가?"
이항복의 대답에 점쟁이는 한참 점을 치다 물었다.
"이 원귀는 보통 원귀와는 다릅니다..
상당히 덕을 쌓은 귀이온데 무슨일로 원으로 바뀌었나이다."
"아니 그 귀가 우리 집안하고 무슨 원한이 맺혀 이런단 말인가..설명 좀해보게"
"그건 이집의 사위가 잘 알고 있을 듯 합니다"
점쟁이의 말을 듣자 모여 있던 집안 사람 중 사위가
소스라치게 놀라며 점쟁이이게 외쳤다..
"그럴리가 없사옵니다..그 귀신은 분명히.."
"무슨말인지 상세히 말해보게"
김훈의 역정에 사위가 한 말은 이러했다.
첫댓글 재미있게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