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그랜토리노’
나는 매일 노인들을 만난다. 노래교실에서 같이 노래하고 커피를 마시고 이야기를 나눈다.
나도 노인이 되어가지만 노인들을 만나면서 느끼는 점이 많다.
노인은 육체와 마음의 세포가 시들어가고 죽어간다. 그래서 젊은 사람들이 느끼는 것과 다른 엉뚱한 생각과 몸짓을 한다. 그런 점들을 옆에서 구체적으로 보는 것만으로도, 그들을 깊숙이 이해하고, 내 자신의 앞날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다.
영화 ‘그랜토리노’를 보면서 많은 생각을 했다.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일상은 집을 수리하고 맥주를 마시고 매달 이발하러 가는 것이 전부다.
전쟁의 상처에 괴로워하고 M-1 소총을 손에서 놓지 못하는 남편이 참회하길 바란다는 아내의 유언을 이뤄주려고 자코비치 신부가 하루가 멀게 그를 찾아오지만 그에게 신부는 그저 ‘고학력의 27살 숫총각’일 뿐.
그는 참회할 것이 아무 것도 없다며 버틴다. 그가 자신의 속내를 털어놓을 만큼 믿는 존재는 곁에 있는 애견 데이지뿐이다.
이웃이라 여기던 이들은 모두 이사 가거나 죽고 지금은 옆집에 몽족 이민자들이 살고 있다.
그는 그들을 혐오하고 늘어진 지붕, 깎지 않은 잔디 등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을 못마땅해 한다.
동네의 몽족, 라틴, 흑인계 갱단은 툭하면 세력 다툼을 하고 장성한 자식들은 낯설고 여전히 철이 없다. 낙이 없는 그는 죽는 날만을 기다리고 있다.
어느 날 이웃집 몽족 소년 타오가 갱단의 협박으로 그의 72년산 ‘그랜 토리노’를 훔치려 하고 차를 훔치지 못하게 하고 갱단의 싸움을 무마시킨 그는 본의 아니게 타오의 엄마와 누나 수의 영웅이 된다.
누나와 엄마의 지적으로, 잘못을 보상해야 한다며 그의 일을 돕게 된 타오. 엮이고 싶지 않았던 그는 시간이 가면서 뜻하지 않았던 몽족 소년 타오와 우정까지 나누게 된다.
타오 가족의 친절 속에서 그는 그들을 이해하며 자기 자신과 마주하게 된다.
가혹한 과거에서 떠나온 그들과 자신이 닮아 있다는 것을 깨닫고 차고 속에 모셔두기만 했던 자신의 자동차 그랜 토리노처럼 전쟁 이후 닫아둔 자신의 진심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영화는 노인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노인들은 사회적 무관심 속에서 스스로 자신의 정체성을 잃어간다. 점점 사회에 관심을 잃어간다.
크린트 이스트우드는 우연한 기회에 옆집 몽족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고 사회적 역할을 찾아간다.
악의 평범성(banality of evil) 이라는 책이 있다.
전두환 박정희 윤석렬에게 투표한 사람들만의 책임일까?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자동차와 이산화탄소를 내뿜는 공장만의 책임일까?
박정희 전두환 윤석렬에게 투표한 사람들은 어쩌면 어리석었거나 속았거나 아무 생각이 없었거나 진정한 지지자였거나, 그 중 하나일 것이다.
그렇다면, 그들에게 투표한 사람들에게도 책임이 있다.
투표하지 않은 사람은 책임이 없을까?
그들에게 억울한 일을 당한 사람들은 마냥 억울해야만 할까?
반대한 사람들도 책임이 있다.
같은 시대를 살아오면서 같은 일을 하고 같은 식사를 하고 같이 웃고 같이 울고 하면서 반대한 사람들의 생각에 아무런 지적도 못하고 살아 온 사람들도 책임이 있다.
자동차를 운전하는 사람,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공장, 뿐만아니라, 자동차의 편리함과 신속함을 이용했던 사람들, 공장의 제품을 샀던 사람들도 책임이 있다.
이것을, 악의 평범성(banality of evil)이라고 한다.
악의 평범성(banality of evil)은, 1963년에 출판되었다.
이 저서는 한나 아렌트가 1961년 예루살렘의 지역 재판소에서 열린 전(前) 오스트리아 나치 친위대(SS) 상급돌격대지도자(Obersturmbannführer)인 아돌프 아이히만을 상대로 이루어진 소송을 계기로 쓴 것이며,
오랫동안 여러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아이히만을 설명하기 위해 악의 평범성(banality of evil)이라는 개념을 제시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아이히만은 평범하고 성실한 공무원이었다. 주위에서도 그를 착한 사람이라고 인정했다.
그는 법정에서 자신의 잘못을 그런 이유로 인정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이스라엘 법정에서 사형을 선고 받았다.
사형 선고의 당위성을 설명한 것이, 바로 ‘악의 평범성(banality of evil)’ 이라는 책이다.
세상은 공평하지 않다. 그렇지만 같이 살아야 하고 그런 세상을 살아야 한다.
노인들이 설사 잘못된 투표를 해서 못난 대통령을 뽑는다고 해도 그것에 대해 심한 말을 해서는 안된다.
노인들이 살아온 과거와 그들에게 잘못된 이념과 삶의 방식을 가스라이팅한 사람들의 책임이 더 크다.
나는 노인들의 잘못된 투표에 민주적 가치나 유교적 인문학으로 감싸고 싶은 생각은 없다.
그들의 판단과 오류는 우리 사회의 책임이라는 것을 지적하고 싶을 뿐이다.
영화 ‘그랜토리노’ 는 크린트 이스트우드가 마지막으로 감독하고 연기한 작품이다.
그는 진정한 노인이 되어 영화를 만들었다.
https://cafe.daum.net/gumjinhang/jMdc/537
첫댓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