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황과의 초마황(Ephedra sinica Stapf.:草麻黃) 또는 동속식물의 부드러운 줄기(초질경)을 사용해 만든 약재(한국). 중국과 일본은 초마황(Ephedra sinica Stapf.:草麻黃), 목적마황(Ephedra equisetina Bge.:木賊麻黃), 중마황(Ephedra intermedia Schrenk et Mey.:中麻黃)을 사용한다.
마황은 중국의 하북성,산서성,협서성,내몽고,요령성,사천성 등 건조지역에서 자생하거나 재배하는 떨기나무이다.
옛날 어느 마을에 약초를 캐는 노인이 제자에게 약초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을 일러주며, "잎이 없는 약초의 뿌리와 줄기는 사용법이 다르니 줄기는 땀이 나게 하는 작용이 있고 뿌리는 땀을 멈추게 하는 작용이 있으며 잘못 사용하면 사람을 죽게 만들수도 있다"고 일러주었다. 그후 제자는 부주의하게 약을 쓰다가 그 약초의 줄기를 땀이 나는 환자에게 사용하여 사람을 죽게 만들고 몇 년동안 옥살이를 하였다. 스승은 제자에게 다시는 그런 실수를 하지 않도록 약 이름을 '마번초(麻煩草)'라 지어주었는데, 이 말은 '귀찮고 번거롭다'는 뜻으로 잘못 사용하면 '귀찮고 시끄러워진다'는 의미이다. 후세 사람들은 마번초의 색이 황색이어서 마황이라 고쳐 불렀다고 전해진다.
이 약은 혀를 약간 마비시키는 성질이 있다. 맛은 떫고 맵고 쓰며, 성질은 따듯하다.[辛苦溫]
효능은 풍한(風寒)을 소산시키고, 발한해표, 오한발열, 두통, 천식, 해수, 수종, 신체상부 마비, 피부마비, 충혈, 어혈에 쓰인다.
이 약은 가는 원주상으로 바깥면은 엷은 황록색이며 세로홈이 나란히 나 있다. 마디에는 보통 비늘 모양의 잎이 있으며 잎은 길이 2 ~ 4 mm이고 엷은 갈색 이며 보통 대생하고 그 기부는 모여서 통상을 이룬다. 꺾은 면의 주변은 섬유성이며 세로로 갈라지기가 쉽다.
마황의 이명은 용사(龍沙), 비염(卑鹽), 비상(卑相)이라고도 한다.
옛날 어느 마을에 약초를 캐는 노인이 있었는데 그 노인은 대를 이를 자식이 없었다. 그렇지만 제자는 하나 있었다.그런데 그 제자는 노인 몰래 약을 팔곤 했다. 화가난 노인은 "이제 너는 독립할 때가 되었으니 나가도록 하라" 하지만 걱정이 되는 노인은 그 제자에게 약초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을 일러 주었다. "잎이 없는 약초의 뿌리와 줄기는 사용법이 다르니 줄기는 땀이 나게 하는 작용이 있고 뿌리는 땀을 멈추게 하는 작용이 있으니 잘못 사용하면 사람을 죽일 수 있으니 이 점을 꼭 명심토록 하라"
제자는 드디어 독립하게 되었는데 그 제자는 그 말을 무시하고 겁없이 환자를 치료하기 시작한다.
그러던중 어느날 그 제자는 잎이 없는 약초를 사용하여 사람을 죽이게 되었다. 죽은 사람의 식구들은 당연히 그 제자를 고소하게 되고 제자는 관가로 끌려가고 노인도 증인으로 불려나가게 되었다. 그래서 노인은 증언하기를 "나는 제자에게 충분히 약초에 대한 주의사항을 일러 주었다" 그 말을 듣고 고을 사또가 그 제자에게 다시 묻기를 "너는 그 주의사항을 말해 보도록 하여라!" 그래서 그 제자는 노인에게 들었던 주의사항을 얘기한다.
"땀을 나게 할 때는 줄기를 써야 하고 땀을 멎게 할 때는 뿌리를 써야 하는데 잘못 쓰면 사람의 생명을 빼앗아 간다."
그 말을 다들은 노인은 제자에게 묻기를 " 그럼 그 환자가 땀을 흘렸느냐 " 제자가 다시 대답하기를
"예 땀을 흘렸습니다." 다시 노인이 묻기를 " 그럼 무엇을 주었느냐" 그래서 또 제자가 대답하기를 " 줄기를 주었습니다" 그 말을 들은 노인은 화가 나서 "너는 어찌하여 땀을 내는 환자에게 땀을 나는 약을 주었느냐?"
그래서 결국 그 제자는 몇 년동안 옥살이를 하게 되었다. 옥살이에서 나온 제자는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게 되고 노인은 그 제자가 다시는 그런 실수를 하지 않도록 약의 이름을 지어주었다.
" 네가 다시 실수하지 않도록 내가 그 약초의 이름을 마번초(麻煩草)라고 이름을 지어 주겠다."
마번(麻煩)이라는 말은 '귀찮고 번거롭다' 라는 뜻으로 이 약초의 사용방법을 착가하면 '귀찮고 시끄러워진다'는 의미이다.
나중에 후세 사람들은 이 약초의 색이 황색이어서 마번(麻煩)이라는 이름과 황색(黃色)을 붙여 마황(麻黃)으로 불렀으며 현재까지 이 이름이 내려오고 있다.
마 황 (麻黃)
다른이름 : 龍沙(용사),卑鹽(비염),卑相(비상)
약 맛 : 고(苦) 신(辛)
귀 경 : 폐(肺) 방광(膀胱)
주 치 : 痰飮咳喘, 痲疹初期, 小便不利, 損傷瘀腫, 陽水, 溢飮, 表實無汗證, 風邪頑痹, 風水浮腫, 風疹瘙痒, 風寒濕痺,
風寒咳嗽, 哮喘
약용부위 : 줄기
처 방 : 가감삼요탕(加減三拗湯) : 의학입문, 갈근가반하탕(葛根加半夏湯 ) : 의학입문
금 기 : 肺나 몸이 허한 사람, 코피 흘리는 사람, 임질을 앓는 자, 신체가 허약하면서 自汗, 盜汗, 喘症이 있는 경우,
목이 마르는 사람, 고혈압, 불면증, 동맥경화, 심장에 기질적으로 장애 있는 사람
효 능 : 利水消腫,發汗解表,散寒通痺,宣肺平喘,
주치증상 : <本經(본경)> : 풍한(風寒)의 사기(邪氣)가 침범하여 발생한 두통, 학질을 땀을 내어 열기(熱氣)를 제거하고 기침과 상기(上氣)되는 증상을 멎게 하고 한열왕래(寒熱往來)를 치료하며 징가(癥瘕)와 적취(積聚)를 치료한다.
<別錄(별록)> : 오장(五臟)에 사기(邪氣)가 침범한 것을 치료하고, 옆구리 통증, 출산 후유증을 치료하고 침 뱉기를 좋아하는 것을 멈추게 하고 피부의 살결을 잘 통하게 하고 살에 사기(邪氣)가 머문 것을 해소시키고 붉고 검은 반점을 없앤다. 많은 량을 복용하는 것은 사람을 허약하게 만들기 때문에 불가하다.
甄權(견권) : 상반신에 풍독(風毒)이 침범한 것, 피부에 감각이 없는 것, 열이 심한 전염병과 깊은 산중에서 발병하는 풍토병을 치료한다.
池大明(지대명) : 구규(九竅)를 통하게 하고 피를 잘 돌게 하며 모공과 피부의 땀구멍을 연다.
張元素(장원소) : 영분(營分)에 한사(寒邪)가 침범한 것을 제거하고 위분(衛分)에 침범한 풍열(風熱)의 사기를 제거한다.
李時珍(이시진) : 눈이 충혈되고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하고 수종(水腫)을 치료하며 출산 후 어혈을 치료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 이명으로는 용사(龍沙), 비상(卑相), 비염(卑鹽)이 있다.
이시진(李時珍) : 모든 명칭에 대하여 이해 할 수 없다. 어떤 사람은 맛이 마(麻)와 비슷하고 색이 누렇다고 하는데 모두 그렇지는 않은 것 같다. 장읍(張揖)의 <광아(廣雅)>에서는 용사(龍沙)를 마황(麻黃)이라고 하였고,. 구골(枸骨)은 마황근(麻黃根)이라고 하였는데, 왜 이렇게 구분하였는지 알 수 없다.
<본경(本經)> : 풍한(風寒)의 사기(邪氣)가 침범하여 발생한 두통, 학질을 땀을 내어 열기(熱氣)를 제거하고 기침과 상기(上氣)되는 증상을 멎게 하고 한열왕래(寒熱往來)를 치료하며 징가(癥瘕)와 적취(積聚)를 치료한다.
이명으로는 용사(龍沙), 비상(卑相), 비염(卑鹽)이 있다.
李時珍(이시진) : 모든 명칭에 대하여 이해 할 수 없다. 어떤 사람은 맛이 마(麻)와 비슷하고 색이 누렇다고 하는데 모두 그렇지는 않은 것 같다. 장읍(張揖)의 <광아(廣雅)>에서는 용사(龍沙)를 마황(麻黃)이라고 하였고,. 구골(枸骨)은 마황근(麻黃根)이라고 하였는데, 왜 이렇게 구분하였는지 알 수 없다.견권(甄權): 상반신에 풍독(風毒)이 침범한 것, 피부에 감각이 없는 것, 열이 심한 전염병과 깊은 산중에서 발병하는 풍토병을 치료한다.
지대명(池大明) : 구규(九竅)를 통하게 하고 피를 잘 돌게 하며 모공과 피부의 땀구멍을 연다.
장원소(張元素) : 영분(營分)에 한사(寒邪)가 침범한 것을 제거하고 위분(衛分)에 침범한 풍열(風熱)의 사기를 제거한다.
이시진(李時珍) : 눈이 충혈되고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하고 수종(水腫)을 치료하며 출산 후 어혈을 치료한다.
마황은 여러 질환이나 상태에 효과가 있는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비록 체중감량, 기관지확장, 저혈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부작용이 많으며 심지어 사망한 예도 있다. 기타 다른 질환이나 효용은 과학적 근거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마황은 심장의 문제를 일으킬수 있다. 마황은 심부정맥을 일으켜서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임산부와 수유부, 소아는 복용해서는 안된다. 마황은 혈당은 떨어뜨릴 수도 있다. 인슐린이나 다른 혈당강하제를 복용하는 환자들은 마황을 같이 복용시 저혈당을 주의하여야 한다. 마황은 다른 여러 약물과 상호작용을 일으킨다. 다른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는 의사와 상의가 필요하다.
마황은 에페드린, 슈도에페드린과 유사한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마황은 사망을 포함한 심각한 독성을 야기하기도 한다. 미국의 식약청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은 공식적으로 마황에 대한 경고문을 입법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주의 : 2003년 10월 30일 당국은 마황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건강보조제의 판매를 금지하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마황이 건강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근거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내에서만 60개 정도의 제조회사가 마황을 제조 판매하고 있다. 당국은 공포후 60일 이후에 어떠한 마황관련 상품의 판매도 불법으로 처리할 방침이다. 유럽의 많은 나라들이 이미 마황의 판매를 금지하고 있다.
과학적 근거
| 체중조절
기존의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마황은 에페드린을 함유하고 있으며 카페인과 같이 사용되면 체중감소를 야기한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결과들은 방법론적으로 약점이 있다. 카페인을 섭취하지 않고 마황만 섭취하는 것을 평가한 논문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에페드린은 미국의 식약청에 의해서 수많은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심장마비, 중풍, 간질발작, 정신이상, 사망 등이 그것이다. 미국 식품의약안전청은 일회에 8mg이하의 에페드린을 포함하도록하는 규제를 하였으며 안전을 위하여 그 사용기간은 7일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에페드린은 전문의약품이므로 에페드린 성분을 함유한 마황을 복용할 때에는 반드시 의사와 상의가 필요하다.
| 기관지 확장, 천식에 효과
마황은 에페드린과 슈도에페드린을 함유하고 있다. 과거에 천식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다년간 사용되었으나 현재 더 좋은 치료법이 많으므로 더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에페드린은 기관지 확장에 좋은 효과가 있으나 독성이 비교적 많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혈압상승효과
마황은 심장을 자극한다. 심박수가 증가하고 혈압을 상승시킨다. 무통분만시 혈압을 조절하기 위하여 에페드린이 사용되고는 했다. 그러나 경구 복용시의 혈압에 미치는 효과는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다.
| 비염, 알레르기성 비염
한 연구에서 에페드린을 스프레이로 사용할 경우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명확한 결론을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성기능 장애
한 연구에서 마황은 여성의 성적 흥분을 야기시킬수 있다고 보고하여다. 그러나 마황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서는 불명확하다.
| 기타 근거없는 효과들
다음과 같은 경우 과학적으로 근거가 없다고 인정된다.
급성 비염, 항염증효과, 식욕억제, 감기몸살, 기침, 우울증, 호흡곤란, 부종, 통풍, 발한, 관절염, 대사항진, 비만, 피부병, 신장병, 기면, 매독, 자궁질환 등에 효과가 있다는 근거가 없다.
| 부작용
- 마황으로 인하여 사망한 사람은 백명이 넘는다. 마황은 전반적으로 위험한 약물로 인전되고 있으며 미국 식품안전청은 마황이 함유된 상품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 알레르기 : 발진, 소양감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위장장애 : 소화불량, 상복부 불쾌감, 메스꺼움, 구토, 식욕부진, 변비, 입마름 등을 야기할 수 있다.
- 간 독성 : 간독성이 보고된 적이 있다.
- 신경계 장애 : 발작, 뇌출형, 어지럼증, 안절부절, 불안, 신경과민, 흥분, 이상쾌감, 섬망, 혼란, 실신, 수면장애, 두통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정신병, 조증, 환각 등을 일으키는 것이 보고된 적이 있다.
- 심폐 독성 : 마황은 심장염, 폐 부종, 호흡장애, 심부정맥, 혈압이상, 심 정지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신장 : 드물지만 요로결석을 일으킨다는 보고도 있다.
| 임산부 및 수유부
임신중이나 수유중에는 마황을 복용해서는 안된다. 마황의 성분은 태반을 넘어가 태아의 심장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자궁을 수축을 유도하여 유산이나 조기분만을 일으킬 수 있다. 모유에서도 에페드린이 분비되므로 수유부는 마황을 먹어서는 안된다.
| 다른 약물을 같이 복용할 때
천식치료제 (theophylline)와 같이 복용할때 불면, 신경과민, 위장장애, 사망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에페드린과 카페인을 같이 복용할 경우 치명적인 결과가 생길수 있다. 항 우울제와 같이 복용하는 경우 혈압상승, 근육 파괴, 열, 심 부정맥 등이 일어날 수 있다. 고혈압약과 같이 복용하는 경우 고혈압약의 효과를 떨어뜨린다. 편두통약인 ergotamine, 이뇨제, 갑상선치료제 등과 같이 복용하는 경우 마황의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한다. 고지혈증 치료제와 마황을 같이 복용하는 경우 고지혈증 치료제의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 용량
마황의 용량에 대해서는 전문가간의 견해차이가 크다. 이는 함유된 에페드린의 함량이 제품마다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을 다음과 같이 권고할 수 있다.
- 성인 용량
경구 복용 : 어떤 용량에서나 마황은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번에 마황 8mg이하를 복용하여야 안전하며 하루 총량은 24mg을 넘어서는 안되며 7일 이상 복용해서는 안된다. 그 이상의 용량에서 반드시 부작용이 발생한다는 의미는 아니나 용량제한으로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 소아 용량 (18세 이하) : 부작용의 가능성으로 인하여 소아는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