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건강한 미디어 이용 습관 만들기, 맞춤형 치유프로그램으로 돕는다 |
- 2024년 청소년 미디어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 발표 -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 22만 1천여 명 찾아, 상담, 병원치료 연계, 치유캠프 등 맞춤형 치유서비스 제공 |
□ 인터넷·스마트폰 사용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 청소년은 `24년 221,029명으로 `23년 230,634명 보다 소폭 감소했다.
□ 여성가족부는 7월 25일(목), 전국 학령 전환기(초 1학년, 초 4학년, 중 1학년, 고 1학년) 청소년 및 보호자 150만 여명이 참여한 ‘2024년 청소년 미디어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24년부터 조사명을 기존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에서 ‘청소년 미디어 이용습관 진단조사’로 변경함
ㅇ 본 조사는 미디어 과의존 등 디지털미디어 역기능으로부터 도움이 필요한 청소년을 선제적으로 찾아 맞춤형 치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여성가족부가 교육부, 시·도 교육청 등과 협력하여 각 급 학교를 통해 2009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다.
| <2024 청소년 미디어 이용습관 진단조사> | |
| |
ㅇ 조사기간 : 2024. 4. 1.(월) ∼ 4. 26.(금) ㅇ 참여인원 : 전국 11,746개 초/중/고등학교 청소년 총 1,249,317명, 보호자 256,699명 - 스마트폰 과의존 관찰자 진단 : 초등1년 256,699명(보호자) - 인터넷·스마트폰 : 초4 388,399명, 중1 441,897명, 고1 419,021명 ㅇ 조사방법 : 온라인 설문조사(웹 기반의 설문 시스템 운영) ㅇ 조사척도 : 인터넷(K척도), 스마트폰(S척도), 스마트폰 관찰자(유아동관찰자 척도)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개발 ※ 본 자료는 치유서비스 지원이 필요한 청소년을 찾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한 진단조사의 결과로, 통계법에 따른 국가승인통계가 아님을 밝힙니다. |
□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ㅇ (총괄) 인터넷 과의존 위험군 또는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이하 ‘과의존 위험군*’)으로 진단된 청소년은 조사 대상 1,249,317명 중 221,029명으로 나타나 전년 대비 9,605명 감소하였다.
* ‘과의존 위험군’은 위험사용자군과 주의사용자군을 총칭(붙임5 척도 참조)
- 위험사용자군 :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어 전문기관의 도움이 필요한 수준
- 주의사용자군 : 사용시간이 늘어나서 자기조절에 어려움이 있어 주의가 필요한 수준
- 인터넷 과의존 위험군은 174,374명,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은 127,845명으로 나타났다.
(단위 : 명)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
구 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과의존 위험군(A+B-C) | 235,687 | 230,634 | 221,029 |
인터넷 과의존 위험군(A) | 188,978 | 181,065 | 174,374 |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B) | 134,832 | 131,560 | 127,845 |
중복위험군(C)* | 88,123 | 81,991 | 81,190 |
* 중복위험군 : 인터넷 과의존 위험군이면서 스마트폰도 과의존 위험군인 청소년
ㅇ (학년별·성별) 과의존 위험군 수는 중학생(89,812명), 고등학생(73,136명), 초등학생(58,081명) 순으로 많았고, 남학생의 경우 과의존 위험군이 119,301명으로 전년 대비 4,885명 감소, 여학생의 경우 101,728명으로 전년 대비 4,720명이 감소하였다.
<연도별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
| (단위 : 명) |
구분 | 초등 4년 | 중등 1년 | 고등 1년 | 총 계 |
소계 | 위험군 | 소계 | 위험군 | 소계 | 위험군 | 소계 | 위험군 |
남 | 여 | 남 | 여 | 남 | 여 | 남 | 여 |
‘22 | 71,262 | 43,377 | 27,885 | 86,342 | 44,627 | 41,715 | 78,083 | 35,968 | 42,115 | 235,687 | 123,972 | 111,715 |
‘23 | 65,127 | 40,497 | 24,630 | 90,730 | 47,661 | 43,069 | 74,777 | 36,028 | 38,749 | 230,634 | 124,186 | 106,448 |
‘24 | 58,081 | 36,549 | 21,532 | 89,812 | 46,513 | 43,299 | 73,136 | 36,239 | 36,897 | 221,029 | 119,301 | 101,728 |
- 인터넷 과의존 위험군은 남자 중학생이 37,418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은 여자 중학생이 26,533명으로 가장 많았다.
<학년별·성별 인터넷 과의존 및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
(단위 : 명)
구분 | 인터넷 과의존 위험군(A) |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B) | 인터넷과 스마트폰 중복위험군 (C) |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A+B-C) |
소계 | 성별 | 소계 | 성별 | 소계 | 성별 | 소계 | 성별 |
남 | 여 | 남 | 여 | 남 | 여 | 남 | 여 |
초4 | 48,526 | 30,951 | 17,575 | 27,205 | 17,076 | 10,129 | 17,650 | 11,478 | 6,172 | 58,081 | 36,549 | 21,532 |
중1 | 71,558 | 37,418 | 34,140 | 52,304 | 25,771 | 26,533 | 34,050 | 16,676 | 17,374 | 89,812 | 46,513 | 43,299 |
고1 | 54,290 | 26,201 | 28,089 | 48,336 | 23,852 | 24,484 | 29,490 | 13,814 | 15,676 | 73,136 | 36,239 | 36,897 |
합계 | 174,374 | 94,570 | 79,804 | 127,845 | 66,699 | 61,146 | 81,190 | 41,968 | 39,222 | 221,029 | 119,301 | 101,728 |
□ 초등 1학년 보호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이용습관 관찰조사를 실시한 결과, 스마트폰 관심군*은 총 16,942명으로 남자 초등생이 10,087명, 여자 초등생이 6,855명으로 나타났다.
* 스마트폰 관심군 : 정해진 이용시간을 준수하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시력·자세 등에 안 좋은 영향이 있는 등 사용지도가 필요한 수준
<초1 스마트폰 관심군 성별 현황>
| (단위 : 명) |
구분 | 조사 참여 인원 | 관심군 |
계 | 남 | 여 |
`23 | 229,877 | 16,699 | 9,608 | 7,091 |
`24 | 256,699 | 16,942 | 10,087 | 6,855 |
* 초1 스마트폰 관심군 : `23년 7월 최초로 시범 실시하였고, `24년부터 본조사 포함 실시
□ 여성가족부는 보호자가 서비스 제공에 동의한 경우, 청소년의 미디어 과의존 수준에 따라 청소년상담기관*과 연계해 상담, 병원치료**, 기숙치유프로그램, 부모교육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전국 청소년상담복지센터(240개소), 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인터넷중독예방센터), 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 등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등 질환이 함께 있는 경우 일반계층 최대 40만원, 사회돌봄계층 최대 60만원 치료비 지원
ㅇ 집중치유가 필요한 청소년에게는 미디어사용이 제한된 환경에서 전문상담과 대안활동을 제공하는 기숙형 치유캠프 프로그램*을 상시 지원한다.
- 특히, 저연령 청소년의 미디어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청소년과 부모가 함께하는 가족치유캠프를 초등 1학년 까지 확대 운영한다.
* 기숙형 치유캠프 프로그램 ․ 청소년상담복지센터 : 초등생․보호자 대상 2박3일 가족캠프, 중․고생 대상 11박12일 캠프 ․ 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 : 중고생 대상 1~4주 캠프 상시(연20회) 운영 ․ 국립대구청소년디딤센터 : 중고생 대상 2주 캠프(연5회) 운영 |
출처: 여성가족부
링크: https://www.mogef.go.kr/nw/rpd/nw_rpd_s001d.do?mid=news405&bbtSn=710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