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서울 주택 전세비중 12년만에 최저... 전세 기피 현상 여파
올해 상반기 서울 주택 임대차 시장에서 전세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역대 최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 사기와 보증금 미반환 등에 대한 우려로 월세 선호 현상이 강해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26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이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을 분석한 결과, 올해 1∼6월 서울에서 이뤄진 주택 전월세 거래는 27만7천769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전세 거래는 13만5천771건으로 전체의 48.9%를 차지했다. 월세는 51.1%(14만1천998건)이었다.
2011년 통계가 집계된 이후 상반기 기준으로 전세 비중이 월세 비중보다 낮아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 주택 임대차 시장에서 전세 비중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3년 71.1% △2014년 63.3% △2015년 59% △2016년 54.7%를 기록했다. △2017년 57.2% △2018년 60.5% △2019년 61.6% △2020년 62.4%로 올랐지만 △2021년 57.9% △2022년 50.8%로 50%대로 내려왔다.
특히 전세 사기 피해가 컸던 아파트 외 주택에서 전세 비중이 급감했다. 올해 상반기 단독·다가구의 전월세 거래 7만4788건 중 전세 거래는 2만620건에 불과해 역대 최저 수준인 27.6%에 그쳤다. 다세대·연립주택의 경우 전월세 거래 6만4448건 중 전세 거래는 3만4440건으로 53.4%였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전세보증금 미반환 문제가 주로 비아파트에서 생긴 만큼 비 아파트에선 월세 선호 현상이 커질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더파워, 최병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