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방방곡곡에서 진달래, 개나리, 목련 꽃 소식들이 들려오고, 온 세상 만물들이 저마다 새봄 희망의 싹을 틔울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이 땅 방방곡곡 사람들의 마음 속과 생활의 현장에도 따스한 봄볕이 들고 희망의 싹이 돋아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올해는 보국안민, 제폭구민, 척왜척양의 기치를 들고 일어섰던 동학농민혁명 120주년이 되는 해 입니다. 동학농민혁명은 불과 120년 전에 “사람이 곧 하늘이다 - 人乃天”라는 숭고한 이념을 내걸고 자유와 평등 인권과 평화를 요구했던 자랑스러운 역사입니다. 그러나,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적인 의의는 올바로 평가받지 못한 채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외세를 불러들여 민초들을 짓밟고 기득권을 연장하려던 왕실과 한반도 식민지화를 노린 일본 제국주의자들에 의해 처참하게 짓밟히고 말았지만, 동학농민혁명은 우리 역사상 민주주의와 자유,평등, 인권, 반제국주의와 민족 자주권를 주창했던 최초의 혁명이었습니다. 프랑스 대혁명 이상 가는 혁명이었습니다.
지금이라도 우리는,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적인 의의를 되살리고 120년 전에 전봉준 장군과 농민군들이 이루고자 했던 인내천의 숭고한 이념을 새롭게 되살리기 위한 노력을 시작해야 합니다. 모든 사람을 하늘같이 존중하는 사회, 모두에게 행복한 삶이 보장되는 자유와 평등의 민주주의 사회, 국가의 자주권이 존중되는 사회가 이 땅에 구현되도록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이런 문제의식에 따라,교육희망네트워크에서 ‘역사 희망 버스’ 사업을 제안하였고, 2014 서귀포의 꿈 포럼 참가자, 동학농민혁명계승사업회, 생물다양성협회 등이 ‘전봉준 버스’ 프로젝트로 발전시켰습니다.
‘전봉준 버스’ 프로젝트란, 오는 5월 10일에 전국 각지에서 50여대의 버스를 타고 모여든 1894명이 동학농민혁명의 발상지인 전라북도 정읍 황토현에 집결하여 동학농민혁명 120주년을 기념하고 동학농민혁명의 정신을 오늘에 되살리는 공동 행동을 시작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오고 가는 버스 속에서 동학농민혁명 특강을 듣고, 지역별로 역사 강좌, 공부모임 등을 시작하자는 사업입니다.
바쁘시겠지만, 신록이 우거지는 봄날, 탐관오리들의 부정과 부패에 항거하고 외세의 침략에 반대하며 일어섰던 동학농민혁명의 역사를 새롭게 배우고, 모두가 사람답게 존중받으며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사람이 하늘인 세상 - 人乃天 세상’을 함께 꿈꿀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갑오의 꿈, 전봉준 버스 추진 계획
1. 목적 - 잃어버린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적인 의의를 되살리고, 120년 전에 전봉준 장군과 농민군들이 이루고자 했던 ‘사람이 곧 하늘(人乃天)’이라는 숭고한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함.
2. 행사 개요 - 일시 : 5월 10일(토) 12:00~15:00 (공동행사 앞 뒤 시간은 버스별 계획에 따름) - 장소 : 전북 정읍 황토현 동학혁명기념관 및 인근 유적지 - 주최 : 갑오의 꿈, ‘전봉준 버스’ 추진위원회 - 주관 : 교육희망네트워크, 동학농민혁명계승사업회, 생물다양성한국협회 - 후원 : 전라북도, 정읍시청,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 참가자 : 전국 각 지역에서 참가하는 버스 50대와1894명 - 내용 : 추모 의식, 격문 낭독,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요구문 낭독, 황토현 둘레길 행진, ‘인내천 춤’ 추기, 유적지 답사,인근 문화탐방
3. 참가 신청 (온라인 신청) - 전국 어느 지역에서나 40명 내외의 탐방단을 모집할 수 있는 개인 또는 단체 - 온라인 신청서 작성 : http://goo.gl/X0zd9h - 신청 확인 문의 : 함경숙(010-7475-5298), 임보람(010-9254-9811)
4. 사전 답사 연수 - 버스책임자 기획단 - 일시 : 4월 19일 11:00 정각 (추후 조정될 수도 있음) - 장소 : 전북 정읍 기차역 앞 집결 - 내용 : 서울 기획단, 정읍 기획단, 버스별 책임자 합동 회의 및 답사
5. 참가 버스별 필수 과제(준비 사항) - 버스별 책임자(참가 신청자)가 할 일 ※ 공동행동 이외의 모든 프로그램은 버스별로 자체 계획에 따라서 진행하니, 버스별 책임자와 참가자들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서 알차고 보람 있는 탐방 여정이 되도록 함.
1) 참가 신청 및 버스별 계획 수립 - 관광 버스 대절, 참가자 모집, 참가비 징수 및 버스 임대료와 간식비 지불, 문화탐방 계획 수립
2) 사전 답사(준비 연수)에 참여 - 일시 : 4월 19일 11:00 정각 (추후 조정될 수도 있음) - 장소 : 정읍 기차역 앞 집결 - 버스별 책임자 및 부책임자 1~2인 참가 - 버스별 계획 및 공동행동 계획, 현지 답사
3) 세로 현수막(만장용) 2개 제작 -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적인 의의를 되새기는 내용(메시지)가 담긴 세로 현수막 1개 제작 - 버스별로 참가자들의 열망을 담은 격문이나 구호(주장, 요구)를 담은 세로 현수막 1개 제작
4) 행진용 북 준비 - 버스별로 1개 또는 2개의 북과 북채를 준비(둘레길 걷기 때 사용), 없는 경우 안 해도 좋음.
6. 갑오의 꿈, 전봉준 버스 추진위원회 - 전국에서 함께 하실 분들을 계속 추가할 예정이오니 추천바랍니다.
○ 전국 각 지역에서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적 의의와 교훈을 되살리고자 하는 개인이나 단체가 주선하여 버스를 대절하고 40명 내외의 탐방단을 모집함. ※1인당 2~3만원의 참가비를 받고 버스와 점심 제공 ※주최측은 정읍 현지 편의와 자료집 등을 제공
○ 50여 지역에서 아침 일찍 출발한 "동학농민혁명 기념 역사 탐방 버스"(전봉준 버스)들이 5월10일 12시까지 전북 정읍 황토현에 도착함.
○ 모든 버스에는 동학농민혁명이나 역사의 중요성에 대해 강의할 수 있는 역사교사나 교수, 재야 사학자 한 사람 동승하여 "버스 속 역사 이야기마당"을 진행함
○ 모든 버스에서는 사전에 주최 측이 제공한 동학농민혁명 이야기 특강(원광대 박맹수 교수 등) 동영상 또는 mp3 강의를 들으면서 이동함
○ 황토현에 도착한 1894명의 '전봉준 버스' 참가자들은 12시부터 3시까지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적인 의의와 정신을 되새기는 공동 행사(갑오년 만민 공동회)에 참여함. - 격문, 폐정개혁안 12조 낭독, 참가자 격문 낭독, 함성 -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신청서 낭독 - 기념관 - 동학농민혁명 기념탑 – 구민사를 돌아오는 둘레길 걷기 - 동학농민혁명 기념 몸짓 - “인내천 춤” 추기 - 판소리, 풍물굿 등 문화 공연 관람 및 유적지 답사
○ 공동행동을 마친 뒤에는 버스별로 동학농민혁명 기념관 관람, 정읍과 고창 등 유적지 및 자연 답사,전주 한옥마을 등 문화 탐방 후 귀가함
8. 참고자료 – 단행본 및 논문
- 단행본 : 전봉준과 동학농민혁명 / 조광환 / 살림터 - 논문 : 1894년 동학농민혁명은 왜 ‘혁명’인가? /박맹수 - 논문 : 다시 동학을 하자 / 박맹수 - 논문 : 녹두장군 전봉준과 다나카 쇼조의 공공적 삶 / 박맹수 - 논문 : 미나미가 소장 동학문서 해제 / 박맹수
9. 참고할 동영상 및 음성 강연
- 원광대 박맹수 교수 영상 특강 : 동학 이야기
1부 : https://www.youtube.com/watch?v=S_WxXIueRBo
2부 : https://www.youtube.com/watch?v=7tTYo2JYJ9Q
3부 : https://www.youtube.com/watch?v=zsLRRSPRdjQ
- 도올 김용옥 교수 영상특강 : 우리는 누구인가 https://www.youtube.com/watch?v=v9mB0wgwv0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