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이름을 가진 사람은 사기꾼 같이 떳떳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해서 서민들의 사랑을 독차지 해오던 명태(明太)는 무척 다양한 이름으로 호칭되고 있다. 지역과 상태 그리고 포획 방법 따위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까닭은 우리 생활에 그만큼 친숙한 먹거리였다는 사실을 방증한다고 봐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먼저 지역에 따라 강원도와 경기도 이남에서는 북어(北魚), 동해연안에서는 동태(凍太)라고도 부른다. 한편, 갓 잡아 자연 그대로의 싱싱한 상태의 명태를 생태(生太) 혹은 선태(鮮太), 주낙으로 잡은 명태를 조태(釣太), 낚시로 잡은 명태를 낚시태, 유자망(流刺網)으로 잡은 명태를 그물태 혹은 망태(網太)로 호칭된다.
또한 명태의 새끼를 노가리 혹은 앵치라고 한다. 이 처럼 성어와 새끼의 이름이 다른 몇 가지 예이다. 숭어 새끼를 모쟁이, 가오리 새끼를 간자미, 농어 새끼를 껄떼기, 갈치 새끼를 풀치, 방어 새끼를 마래미, 고등어 새끼를 고도리, 전어 새끼를 전어사리라고 부른다.
명태가 잡힌 계절을 기준으로 겨울에 잡는 명태를 동태(凍太), 봄(3-4월)에 잡히는 명태를 춘태(春太
첫댓글 명태의 또 다른 이름
여러 이름을 가진 사람은 사기꾼 같이 떳떳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해서 서민들의 사랑을 독차지 해오던 명태(明太)는 무척 다양한 이름으로 호칭되고 있다. 지역과 상태 그리고 포획 방법 따위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까닭은 우리 생활에 그만큼 친숙한 먹거리였다는 사실을 방증한다고 봐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먼저 지역에 따라 강원도와 경기도 이남에서는 북어(北魚), 동해연안에서는 동태(凍太)라고도 부른다. 한편, 갓 잡아 자연 그대로의 싱싱한 상태의 명태를 생태(生太) 혹은 선태(鮮太), 주낙으로 잡은 명태를 조태(釣太), 낚시로 잡은 명태를 낚시태, 유자망(流刺網)으로 잡은 명태를 그물태 혹은 망태(網太)로 호칭된다.
또한 명태의 새끼를 노가리 혹은 앵치라고 한다. 이 처럼 성어와 새끼의 이름이 다른 몇 가지 예이다. 숭어 새끼를 모쟁이, 가오리 새끼를 간자미, 농어 새끼를 껄떼기, 갈치 새끼를 풀치, 방어 새끼를 마래미, 고등어 새끼를 고도리, 전어 새끼를 전어사리라고 부른다.
명태가 잡힌 계절을 기준으로 겨울에 잡는 명태를 동태(凍太), 봄(3-4월)에 잡히는 명태를 춘태(春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