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응봉산(283.5m)·금병산(271.8m)·월림산(76.8m)·봉화산(140.4m) 산행기
▪일시:
'18년 1월
13일
▪도상지맥거리:
약 17.5km, 기타거리:
약 2.7km
▪날씨:
맑음, -9~4℃
▪출발:
오전 8시 47분경 창원시 의창구 용동 ‘창원중앙역’
오늘 저녁 대구에 일이 있으므로 김해시 진영읍을 관통하는 응봉지맥(414.8m봉~379.5m봉~응봉산~119.2m봉~새말고개~봉화산~한림정역 인근 사촌천으로 이어지는 도상 약 18km의 산줄기)을 답사해보기로 하고, 대전역에서 10분 연착한
06:48發 KTX편으로 ‘창원중앙역’에는 8시
47분경 도착하였다.

(08:47) 역을 나와 ‘역세권4삼거리’에서 동북쪽으로 나아가 굴다리를 통과하였고, 이어 ‘술속나들이길, ↑용추5교 1.4km’ 이정목이 세워진 ‘용추골장복가든’ 오른편 길로 들어섰다. 관리소를 지나자 ‘→숲속나들이길 0.4km, ↑진례산성 남문 2.8km·용추고개 1.3km, ↓주차장 0.4km’ 이정목과 함께 오른쪽으로 갈림길이 보였고, 5분여 뒤 ‘↗비음산 정상, ↑정병산 정상’ 표시목과 함께 오른편에 갈림길이 보였다. ‘용추2교’를 건너 3분여 뒤 ‘현위치 용추5교, ↖숲속나들이길 사격장·약수터 4.4km, ↓주차장 1.5km, ↗숲속나들이길 고산쉼터 2.6km’ 이정목과 함께 왼쪽으로 갈림길이 보였고, ‘용추5교’에 이어 갈림길에 이르니 ‘←진례산성 남문 1.6km, →고산쉼터 2.5km, ↓숲속나들이길 사격장·약수터 4.5km’ 이정목이 세워져 있다. ‘용추출렁다리’를 건너 2분여 뒤 오른편으로 쉼터와 함께 연이어 갈림길이 보였는데, 동쪽으로 직진하였다. 조금 뒤 길은 골짜기를 벗어나 왼편 사면으로 가파르게 이어졌고, 낙남정맥 능선에 이르니 ‘현위치 우곡사 갈림길, ←용추고개 0.3km·정병산 정상 3.7km, ↑우곡사 0.7km, →대암산 정상 5.3km·비음산 정상 3.5km, ↓용추7교 0.5km’ 이정목이 있다. 오른쪽으로 올라 분기점에 이르니 ‘현위치 노티재 갈림길, ←노티재 방면(진례시례하촌마을), →대암산 정상 5.0km·비음산 정상 2.8km, ↓정병산 정상 4.0km’ 이정목과 ‘낙남정맥 414.8m 준·희’ 패찰이 보인다.

<삼거리서 바라본 창원중앙역과 정병산>

<등산안내도>

<용추계곡 입구>

<갈림길의 이정목>

<흔들다리>

<낙남정맥 능선의 갈림길>

<응봉지맥 분기점>
(09:35) 왼쪽(북쪽)으로 내려서니 그런대로 양호한 눈길이 이어지는데, 4분여 뒤 왼쪽에 우곡사로 내려서는 듯한 흐릿한 내리막길이 보였고, 안부에 이르니 기울어진 ‘↑노티재, →시례하촌마을 2.0km, ↓용지봉 8.6km’ 이정목이 있다. 안내판에 ‘창원456, 279m’로 표시된 ‘416재설 건설부’ 삼각점(△379.5m)이 있는 언덕을 지나니 눈과 낙엽이 쌓인 급경사 내리막이라 왼편 덤불에 붙어 내려섰다 다시 능선에 닿았고, 오른쪽에 내리막길이 보인 데 이어 안부에 이르렀다.

<산길>

<하촌마을 갈림길의 이정목>

<379m봉>
(10:11) 안부(노티재)에는 ‘↑여래고개 5.4km, →하촌마을 1.0km, ↓진례산성 3.9km’ 이정목이 세워져 있는데, 길은 더욱 뚜렷해지면서 가파른 오르막이 이어졌다. 언덕 몇 개와 284m봉을 왼편으로 비끼니 ‘산책로등반대회 정상 주식회사大興R&T’ 팻말과 함께 왼쪽에 갈림길이 보였다. 이어 이른 갈림길에서 오른편으로 내려서니 남동쪽이라 되돌아 조금 전의 갈림길로 내려서니 1분여 뒤 왼편에서 정비된 산길을 다시 만난다. 오른편에서 갈림길을 만났고, 3분여 뒤 안부에 이르니 오른쪽에 흐릿한 내리막길이 보인다. ‘응봉산 정상·주식회사大興R&T’와 ‘산책로 등반대회 C코스 반환점’ 팻말과 묵은 표석(?) 기단이 있는 언덕에 이르니 태숭산 방면으로 길 흔적은 흐릿하였고, 다음 언덕에 이르니 훌라후프가 하나 걸려 있다.

<노티재>

<대흥사의 팻말>

<응봉산 전위봉>
(11:18) 갈림길에 이르니 ‘그곳에 오르고 싶은 山 응봉산 284.4m 준·희’ 패찰이 걸려 있고, 왼편 잡목덤불 정상에는 아무런 표식이 없다. 북쪽으로 내려서서 ‘↑여래고개 0.9km, ↓노티재 4.5km’ 이정목이 있는 안부를 지나니 산길은 지맥을 벗어나 능선 왼편으로 이어지는데, 지맥은 오른편이나 도로와 건축물에 의하여 훼손되었을 것이고 금병산과 월림산을 올라보기 위하여 우회하기로 하였다. 길은 능선을 만났다가 절개지 전에서 왼편으로 휘어 ‘하계로’에 이른다.

<응봉산 정상>

<이정목>

<여래고개>
(11:38) 도로를 가로질러 산길에 올라서니 ‘←정상 1.2km’ 이정목이 보였고, 5분여 뒤 이른 갈림길에서 오른편 산판길을 나아가다 방향을 보니 북쪽이기에 되돌아 왼편 길로 드니 서남쪽 사면으로 길이 이어졌다. 왼편에 철탑이 보이면서 사면 오르막길이 이어졌고, 오른쪽으로 갈림길이 보인 데 이어 능선길에 닿았다. 오른쪽으로 몇 걸음 가니 ‘→진우원 900m’와 함께 조금 전의 갈림길을 만나고, 이어 망가진 ‘↗궁도장, ↑금산사 1.2km·정상 100m’ 이정목과 함께 오른편으로 갈림길이 보였다. 정상 직전 오른편 ‘金屛亭’에 서니 남동쪽으로 시야가 트여 응봉산이 바라보인다.

<이정목>

<능선의 갈림길>

<금병정>

<남동쪽 (응봉산) 전경>
(12:00) 정상에는 돌탑, 산불초소, ‘↑궁도장·금산사 1.2km, ↓진우원 1.2km’ 이정목, ‘金屛山·금병산 271m’과 묵은 ‘탕건산’ 표석 등이 있고 사방으로 시야가 트인다. 12시 1분경 다시 출발하니 3분 뒤 ‘六·二五時도치카터’ 표석이 박힌 돌탑이 보였고, 조금 뒤 오른편에 녹슨 철조망 담장이 잠시 이어졌다. 체육시설지에 이르니 ‘→금산사 400m, ↓정상 0.8km·진우원 2km’ 이정목과 함께 오른쪽에 내리막길이 보였고, 왼편에 묘지가 보이면서 포장길(‘진영로50번길’)에 내려섰다. 오른쪽(북쪽)으로 나아가 ‘부곡1동마을회관’을 지나고, ‘부곡동’ 버스정류소가 자리한 ‘진영로’에 이르렀다.

<금병산 정상>

<돌탑>

<금산사 갈림길의 쉼터>

<뒤돌아본 날머리>

<부곡동 버스정류소>
(12:24) 노점상에서 붕어빵을 사 들고 점심 대용으로 먹으면서 오른쪽(동쪽)으로 나아가 보수중인 ‘진영육교’를 건너 북동쪽 ‘진산대로’에 들어섰다. ‘진영교차로’를 지나 ‘중포마을’ 표시판 등이 세워진 ‘진산대로184번길’에 들어섰다.

<중포마을 입구>
(13:03) ‘신곡마을’에 들어서서 동남쪽으로 휘는 길을 따르다 산으로 붙을 데가 없어 되돌아 북쪽에 보이는 길로 들어서니 가옥 뒤편 텃밭을 지나 산길이 이어졌다. 대략 동쪽으로 이어지는 길을 따라 능선에 이르니 과수밭 산판길이 이어졌고, 길이 왼쪽으로 휘는 데서 묵은 벤치와 함께 뚜렷한 산길이 나 있다. 언덕 오른편을 나아가 벤치를 지나다 보니 정상을 지났으므로 되돌아 탱자나무가 무성한 ‘월림산’ 정상에 닿았으나 아무런 표식이 없다. 되돌아 대숲에 이어 ‘유등남길’에 내려섰고, 오른쪽으로 나아가 천변길을 따라 ‘우암교’에 이르렀다.

<신곡마을>

<능선의 과수밭>

<월림산 정상>

<월림산 날머리>

<우암교>
(13:37) 다리를 건너 ‘한림로’를 따르다 동쪽 ‘본산로’에 들어섰고, ‘용화사’ 뒤편 야트막한 구릉이 지맥인 듯하나 붙을 수가 없다. 약간 되돌아 ‘본산로193번길’에 들어서서 ‘마이스코’ 공장에 닿았고, 오른쪽으로 나아가 ‘본산로219번길’을 가로질러 마을길(‘본산로241번길’)에 들어섰다. 왼편이 지맥인 듯하나 민가 탓에 붙을 수가 없으므로 대략 동쪽으로 나아가 ‘본산마을복지회관’이 자리한 사거리에 닿았고, 북쪽으로 나아가니 왼편에 폐가가 보인다.

<용화사>

<본산마을회관>
(14:00) 지맥이라 여겨지는 능선 산판길에 닿아 오른쪽으로 나아가니 길은 오른쪽으로 휘어 공사장에 닿는데, 과수밭을 왼편으로 비껴 움막 농가에 이르러서 보니 앞쪽(남쪽)은 덤불이 무성하기에 산판 자취를 따라 ‘세대에너텍’ 옆의 포장길에 내려섰다. 왼쪽으로 나아가니 길은 동남쪽으로 휘어 ‘본산로269번길’에 닿고, 왼쪽(북쪽)으로 나아가 ‘Tannus’ 건물이 자리하는 T자 형 갈림길에 이르렀다. 오른쪽으로 나아가다 보니 지맥이 애매한데, ‘가산로’에 이르러 오른쪽(남동쪽)으로 나아가 ‘장방로’에 이르니 ‘아랫대현’ 버스승강장과 ‘→노무현대통령생가 2km’ 표시판이 보인다.

<능선의 산판길>

<과수밭>

<장방로>
(14:18) 왼편으로 나아가다 6분여 뒤 ‘대현’ 정류소와 ‘대현마을’ 표석을 지나자마자 오른쪽(남동쪽) 마을길로 들어서니 마지막 가옥에서 길은 끝난다. 되돌아 골목길을 나아가 다시 ‘장방로’에 닿았고, ‘제이케이메탈’ 맞은편에 이르니 ‘억새숲 노선도’와 ‘↑정토원 1.6km·봉하마을 2.6km, ↓봉하마을 2.0km’ 이정목이 보였다. 그 쪽으로 올라 5분여 뒤 능선 갈림길에 닿았고, 왼쪽으로 나아가니 산판길이 이어져 담장을 만난 데 이어 포장길에 닿았는데, 지맥은 도상 ‘돌고개’와 ‘새말고개’를 지나는 듯하다. 오른쪽으로 나아가 안부에 이르니 오른쪽에 내리막길이 보였고, ‘봉화산정토원’ 표석, 억새숲길 안내판, ‘←호미든관음상 0.3km, ↓대현고개 0.8km’ 이정목이 있는 갈림길에 닿아 왼쪽(동쪽)으로 5분여 오르니 ‘←화포습지생태학습관 2.56km·편백나무숲길 1.47km, →노무현대통령묘역 0.82km’ 이정목이 있는 T자 형 갈림길에 닿고, 오른쪽 나무계단길을 올라 봉화산 정상에 도착하였다.

<제이케이메탈 맞은편의 이정목>

<능선의 갈림길>

<정토원 진입로>

<정토원 직전의 갈림길>
(14:55) 정상에는 호미를 든 관음상이 세워져 있고 몇 개의 조망데크가 설치되어 있어 사방으로 시야가 트인다. 4분여 뒤 다시 출발, 남쪽으로 내려서니 왼편에 능선 갈림길이 보였고, 사거리에서 왼쪽으로 올라 능선길에 닿았다. ‘자암봉수대’ 안내판과 함께 복원된 봉화대가 옆 사자바위 정상에 서니 남쪽이 벼랑을 이루고 있어 조망이 좋다. 데크계단을 거쳐 갈림길에 이르니 ‘←대통령생가 0.5km, ↑정토원 0.1km, ↓사자바위 0.1km’ 이정목이 있는데, 오른편 절을 통과하여 다시 사거리에 닿았다.

<관음상>

<동쪽 전경>

<복원된 봉화대>

<사자바위서 바라본 남동쪽 전경>
(15:11) 다시 이른 정상에서 계단길을 내려서서 3분여 뒤 이른 갈림길에서 왼쪽으로 가다 방향이 북쪽인 듯하여 이내 되돌아 남쪽으로 나아갔다. 다음 갈림길에서 오른편으로 직진하였다가 무덤이 자리한 언덕에서 방향을 보니 지맥이 아니어서 되돌아섰다. 다시 이른 갈림길에서 동쪽으로 나아가니 길은 시계 방향으로 휘어 골짜기에 닿는데, 사면을 치고 올라 산판길에 닿았고, 왼쪽(북북서쪽)으로 나아가 다시 지맥 능선을 만났다.

<다시 이른 봉화산 정상의 조망데크>
(15:34) 안부에 이르니 ‘→장방리갈대집 0.4km, ↑체육공원 0.4km, ↓관음상 0.9km’ 이정목과 함께 오른쪽에 내리막길이 보였고, 언덕을 왼편으로 비껴 다시 능선에 이르니 ‘←장방본부락, ↑등산로 입구 1.6km’ 이정목과 함께 왼쪽에 내리막길이 보였다. 체육공원을 지나니 길이 다소 흐릿해졌고, 왼편에 갈림길이 보인 뒤 과수밭과 묘지를 지나 포장길에 이르니 ‘←장방마을 1.9km, →한림초교 0.5km, ↓봉화산·체육공원’ 이정목이 있다. 한림초교에 내려서는 고갯길을 가로질러 언덕의 묘지를 지나 한림중학교에 내려섰고, ‘←봉화산 3.2km’ 이정목이 있는 한림초교 앞을 지나 ‘한림정역’에 이르니 시각은 4시 5분을 가리킨다.

<갈대집 갈림길의 이정목>

<지맥 끄트머리 전경>

<한림중학교>
.

<한림정역>
(16:05) 인근 가게에서 음료수를 사 마시면서 시간을 때우다가 4시 29분에 도착한 무궁화편으로 대구로 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