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중1이 되면 엄마도 교육정책과 입시 정보에 눈떠야 한다. 공신력 없는 어설픈 정보는 자녀 교육에 걸림돌로 작용하게 마련. 열심히 손품 팔면 고수 엄마가 되는 알토란 같은 교육 정보 사이트 총집합.
취재 이은아 리포터 identity94@naeil.com
올해 우리나라 교육 방향은?
교육정책의 시작, 교육부
교육 흐름과 방향을 읽는 것은 엄마의 역할. 교육정책과 중요 사항을 가장 먼저 만날 수 있는 곳이 ‘교육부’ 사이트다. 학교 가정통신문 내용이나 유명 교육 설명회의 PPT 자료는 모두 교육부 지침에서 나온다. 메인 화면에 있는 ‘2016 업무 계획’ ‘대한민국 행복열쇠 교육 개혁’ ‘교육부 주요 정책 과제’ 등에 주목할 것. 시도교육청 홈페이지도 함께 즐겨찾기 한다.
눈여겨봐야 할 자료는 ‘2016년 교육부 업무 계획’이다. ‘자유 학기제 전면 실시’ ‘일반고 교과중점학교 확대’ ‘학교교육에 충실한 입시’ ‘인성 교육 5개년 종합 계획 시행’ 등 올해 교육부가 집중할 업무를 파악할 수 있다. 아이와 관련 있는 교육정책이나 지침은 메모하면서 필독하길!
우리 아이 학교 교과별 평가 계획은?
자녀가 다니는 중학교와 지원 희망 고교 현황을 객관적으로 알고 싶을 때 유용하다. 주요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는데, 회원 가입 없이 이용 가능한 것이 특징. 학교명을 검색하고 세부 항목을 선택하면 ‘최근 3년 재학생 성별과 학생 수’ ‘졸업생 진로 현황’ ‘학교 규정’ ‘교육 계획과 평가 기준’ ‘학업 성취도’ ‘교원 현황과 학교 시설’ 등 공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주요 지표’를 클릭하면 전국 학교 간 비교도 가능하다.
인기 검색 1~2위는 ‘교과별 학업 성취 사항’과 ‘교과별(학년별) 평가 계획’. ‘교과별 학업 성취 사항’은 지필평가와 수행평가를 합산한 학기말 평가 결과로 2월과 9월, 연 2회 공시한다. ‘교과별(학년별) 평가 계획’은 지필평가와 수행평가 계획으로 1학기는 매년 4월, 2학기는 9월 연 2회 자료를 올린다.
지원 희망 특목고·자사고 입학 전형은?
고교 입시 정보 서비스, 고입정보포털
일반고, 특목고, 특성화고, 자율학교 등 ‘고교 유형별 정보’는 물론, ‘학교별 입학 전형’ ‘시도별 입시 전형’ ‘진학 자료’ 등 도움 되는 정보가 가득하다. ‘자기 주도 학습 전형 소개와 시행 학교’ ‘자기소개서 작성과 면접 준비 방법’ ‘자기 주도 학습 우수 사례’ 등을 열람 가능. 회원 가입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서울시교육청이 운영하는 서울 고교 홍보 사이트 ‘하이인포’(http://hinfo.sen.go.kr)도 유용하다.
‘입시 정보’ 코너에서 고교 유형별로 전·후기 선발 과정을 안내한다. 희망하는 고교의 입학 전형 요강 자료를 내려 받을 수 있다. 입시나 진학에 관한 궁금한 점은 ‘질문과 답변’ 코너를 통해 해결 가능하다.
중학생을 위한 활동 프로그램은?
청소년 종합 정보 안내, e·청소년
여성가족부에서 운영하는 ‘e·청소년’은 청소년 관련 활동과 문화·복지·생활 정보를 취합해 제공하는 사이트. 행사와 소식 등을 전하는데, 수련 활동 인증제와 사전 신고제를 통해 안전한 프로그램을 안내한다. 수련관이나 문화의집 등 ‘전국 청소년 시설’, 도서관이나 사회복지관 등 ‘공공 기관’, 기업이나 종교 단체 등 ‘민간 시설’에서 실시하는 활동을 검색·신청할 수 있다.
‘청소년 활동 검색’을 클릭하면 ‘내게 맞는 활동 찾기’ ‘자유 학기제 활동 찾기’ ‘수능 후 활동 찾기’ 항목이 뜬다. 지역과 시기, 기관 유형 등 조건을 차례로 선택해 참여 가능한 프로그램 내역을 볼 수 있다. ‘활동 찜하기’를 누르면 마이 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중학생이 참여할 만한 봉사 활동은?
청소년 자원봉사 사이트, 두볼
나눔과 배려를 배우고 실천하는 봉사는 필수 비교과 활동. ‘두볼’은 봉사를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중학생에게 안성맞춤이다. 검색과 신청, 실적 확인을 원스톱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장점. 단발성인 ‘개인 참여형 봉사 활동’과 진로와 흥미에 맞게 계획해 참여하는 ‘자기 주도형 봉사 활동’이 있으며, ‘1365나눔포털’ 연계와 ‘나이스(NEIS)’ 전송이 가능하다.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봉사 참여를 유도하려고 ‘두(DO) 프로젝트’를 시행한다. 50시간, 100시간, 150시간 가운데 실천 가능한 봉사 활동 시간을 정해 달성하면, 단계별 ‘축하 인증서’를 발급하는 것. 150시간을 달성하면 여성가족부 장관의 축하 인증서를 받을 수 있다.
자녀 교육을 위한 학부모 강좌는?
학부모 교육 지원 서비스, 학부모온(ON)누리
전국학부모지원센터와 학부모온라인교육센터를 통합한 사이트. 최신 교육정책과 이슈는 물론, 자녀 발달 단계에 맞는 교육법과 다양한 주제를 반영한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무료로 볼 수 있다. ‘개정 교육과정’ ‘자기 주도 학습 전형’ ‘전·편입학’ ‘학교생활’ 등 문의 사항을 질의응답하고, 고충 처리를 지원하는 상담센터를 운영한다.
‘학부모 온라인 교육 센터’를 클릭한 뒤 원하는 온라인 강좌를 신청한다. ‘우리 아이 중학교 보내기’ ‘자유 학기제 코칭 매뉴얼’ ‘자기 주도 학습 코칭’ ‘부모와 함께 하는 진로·진학 지도’ 등 중학생 학부모 대상 교육 강좌를 추천.
미즈내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