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한 운동은 보약 아닌 毒 걷기만해도 사망 위험 25% 낮춰 70대는 100세 건강의
골든타임
한 복지회관에서 노인들이
요가 수업을 받고 있 다. 전문가들은 70대 이상
노인들은 안전을 최우 선으로 고려하면서
운동을 해야
한다고 50대 못지않은 체력을
과시했던 김수민 씨는
79세였던
2012년 유산소운동 기구
스테퍼를 이용하다 갑자기
쓰러졌다. 매일 유산소운동과
근육운동 2시간, 사우 나 1시간을 할 정도로
체력이
왕성했기에충격은 더했다. 병원으로
옮겨진 김 씨는
뇌출혈 수술을 받았다.
2년 6개월가량 재활치료에 매달린
끝에
지팡이를 짚고 걸을
정도로 상태가 좋아졌다. 하지만 나이를
생각하지 않고 격렬한
운동을 즐겼 던 자신을 후회했다.
운동이 과하면 안
하느니만 못하다는 것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운동은 70대 이후의
건강한 삶을 위해 필 수적이다.
하지만 김 씨의
사례처럼 심폐 지구력, 근력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70대
이후에는 무리한 운동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60대까지는
운동량이 중요 했다면 70대 이후에는 신체 기능을 유지 할 수
있는 안전한 운동이 더 중요하다고
○ 70대 이후 운동은 ‘안전’이
최우선 70대는 근육의 크기와
세포의 대사 능력 이 감소한다. 이럴 경우 중추신경계의
퇴화가 촉진돼 신경 자극이 감소하고
운동 능력이 떨어
진다.
평균적으로 60대 이후
10년마다 근육량이 10%씩 떨어진다. 70대가 되면 최대
산소섭취량도 30대에 비해 절반가량 줄어든다. 결국 신체 능력은
20∼40% 떨어지게 된다.
진영수 서울아산병원
스포츠건강의학센 터 교수는 “70대 이후 노인은
자신의 신체 기능을 주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 다”며
“적절한 운동 처방을 받고, 자신에 게
맞는 강도의
운동을 찾는 게 중요하
다”고 말했다
70대 이상 노인의 경우
격렬한 운동이 아 닌 가벼운 걷기
운동만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다.
노르웨이 연구진이
1997∼2007년
10년 동안 노르웨이인 5만339명을
추적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일주일에 3시간 미만의
걷기 운동만으로
전체 사망 위험을
25% 낮출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표 가족력 질환인
심근경색으로
사망할 위험도가 24%
낮아졌다.
○ 등산 조깅보다는
수영 자전거가 효과적 먼저 근력운동은 20회 이상 동작을 반복할 수 있는 가벼운
기구를
사용해야 한다. 고무줄,
튜 브를 이용해서 근육을 잡아당기는
운동이대표적이다. 60대까지는
1일 평균 20분 정도 근육운동을
했다면 70대 이후에는
10∼15분가량으로 줄여야 한다. 심폐지구력
운동은
등산, 조깅 등보다는
걷기, 수영, 수중 걷기 등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기구를 이용한
유산소운동을 할 때도 트레드밀(러닝머 신)보다는 자리에 앉아서 할 수
있는 자전거가 더 안정적이다.
70대는 유연성과 균형
운동이 더 중요한 시기다. 스트레칭, 노인 요가,
외발로 서서 1분 버티기 등 가벼운 유연성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면 노화 속도를 늦출 수 있다.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운동으로는 사교댄스, 라지볼 탁구 등이
있다. 사교댄스는 좌우전후로
보행을 계속하기 때문에 균형감 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라지볼
탁구는 일반 탁구공보다
큰 44mm 공을
사용해 눈에 잘 띄고 속도도
일반 공보다 느려 노인들에게 안성맞춤이다. 개인마다 천차만별인
신체적 능력을 고려 해
개인 트레이너와
함께 맞춤형 운동을 하는
70대 노인도 늘어나는 추세다.
최호준
맥스퍼스널트레이닝스튜디오 “1 대 1 트레이닝은
최근 3년 사이 70대 이상 노인들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 70대 포기하기엔
이르다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70대 이후에도 운 동을 하면 건강해질 수
있다는 믿음을 갖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실제로 대한노인병학회
노인증후군연구 회가 국내외 논문들을
분석한자료에 따르면 심폐기능이
좋지 은 70∼82세 노인이
포기하지
않고 적절한 운동을 계속할
경우 심장 및 폐
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을 최소 36%에서 최대 52%까
지 낮출 수
있다
(최호천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첫댓글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