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유불급(過猶不及)
모든 사물이 정도를 지나치면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는 뜻으로, 중용(中庸)이 중요함을 가리키는 말이다.
過 : 지날 과(辶/9)
猶 : 오히려 유(犬/9)
不 : 아닐 불(一/3)
及 : 미칠 급(又/2)
(유의어)
과불급(過不及)
교각살우(矯角殺牛)
교왕과정(矯枉過正)
교왕과직(矯枉過直)
소탐대실(小貪大失)
무슨 일이거나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다. 어른들이 집안 자녀들을 훈계하는 말씀 중에 꼭 들어 있다. 공자(孔子)님 말씀이라며 두고두고 가르쳤다.
그런데 일을 처리하거나 수행할 때 목표를 초과 달성한 것이 모자란 것과 같다는 말인데 언뜻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일반 회사에서의 실적을 두고 보면 목표를 넘겼을 때 표창할 텐데 모자란 것과 같다니.
물론 이 말은 물질적 성과만 가지고 성패를 따지는 것은 아니다. 지나친 것도 모자라는 것도 경계한 중용(中庸)의 중요함을 강조한 것이다.
공자의 제자 중에 고생도 함께 하고 각 분야에 뛰어난 10명을 공문십철(孔門十哲)이라 한다.
이들을 덕행, 언어, 정사, 문학의 사과(四科)로 나누어 평가를 한 내용이 선진편(先進篇)에 나온다.
德行 顔淵 閔子騫 冉伯牛 仲弓, 言語 宰我 子貢, 政事 冉有 季路, 文學 子游 子夏.
過猶不及에 거론되는 자하와 십철에는 빠져있는 자장(子張)을 비교해 자공이 묻는 것에 대해 공자가 답한다.
師也過 商也不及.
자장은 지나치고 자하는 미치지 못한다고 말하면서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다(過猶不及)고 설명한다. 師(사)는 자장, 商(상)은 자하의 이름이다.
공자는 자장의 극단적인 경향과 자하의 소극적인 면을 의식하고 그들에게 중용의 깨우침을 주기 위해 평가한 것이다.
과유불급(過猶不及)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는 뜻으로, 중용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이다.
과유불급(過猶不及)이란 모든 사물이 정도를 지나치면 도리어 안한 것만 못함이라는 뜻으로, 중용(中庸)을 가리키는 말이다.
논어(論語) 선진편(先進篇)에 나오는 말로, 자공(子貢)이 공자(孔子)에게 “사(師:子張의 이름)와 상(商:子夏의 이름)은 어느 쪽이 어집니까?” 하고 묻자, 공자는 “사(師)는 지나치고 상(商)은 미치지 못한다.” 고 대답하였다.
자공이 '그럼 사(師)가 낫단 말씀입니까?'고 반문하자, 공자는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過猶不及)'고 말하였다.
우리는 일상을 살아가면서 중용(中庸)의 도(道)를 지킨다는 말을 흔히 한다. 어떠한 상황에도 한 곳으로 치우침이 없는 도리 진정한 삶의 중심을 지키면서 자신의 주체를 잃지 않는 자세를 중용으로 정의할 수 있겠지만 그것이 개념처럼 쉬운 것은 아니다.
자신의 사욕이 배제될 수 있는 상황이란 정말 어려운 것이다. 그러나 거창한 철학적인 정의를 논하지 않더라도 일상에서의 중용의 도(道)를 지켜 나가는 방법이 있다.
그것이 바로 과유불급(過猶不及)의 고사에서 쉽게 해답을 찾을 수 있다.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함과 같은 것이다는 평범한 구절 속에 우리가 어렵게 지키려고 하는 중용의 도(道)를 찾을 수 있는 것이다.
공자는 커다란 정치적 포부를 가지고 있었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자 제자들을 가르치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그 결과 일생토록 3000명의 제자에 현인 72명, 철인 10명을 두었다.
대표적인 철인으로 자장(子張)이 있다. 공자는 그의 세속적인 명예욕을 나무라면서 군자로서 진정한 양명(揚名; 이름 날리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한 마디로 지덕겸비(智德兼備), 언행일치(言行一致)가 바탕이 되어야 가능하다고 했다.
또 하나의 철인 중에 자하(子夏)도 있다. 공자는 그에게 지식만을 추구하는 데 급급하는 소인유(小人儒)가 되지 말고 인격수양에 치중하는 군자유(君子儒)가 될 것을 강조했다.
한번은 이 두 사람을 두고 제자 자공(子貢)이 물었다. “선생님께서는 자장과 자하 둘 중 누가 더 현명하다고 보십니까?”
뜻밖의 질문에 공자도 당황했지만 평소 제자들의 성품을 꿰뚫고 있던 터라 즉석에서 답했다. “자장은 과(過)하고 자하는 불급(不及)이니라.”
추상적인 대답에 자공은 더욱 궁금해졌다. 그래서 재차 물었다. “그렇다면 자장이 더 낫다는 말씀인지요?”
하지만 공자의 대답은 이번에도 추상적이었다.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함과 같으니라(過猶不及).”
공자에게는 자장이나 자하 둘 다 눈에 차지 않았던 모양이다. 즉 그가 바라는 것은 지나치지도 않고 그렇다고 부족하지도 않은 인격, 다시 말해 중용의 경지였을 뿐이다.
지금 우리 사회는 이것 아니면 저것, 내 편이 아니면 무조건 적 이라는 이분법적(二分法的) 흑백논리(黑白論理)가 판을 치고 있다. 그래서 건전한 비판이 설 자리가 없다.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고 했다. 양쪽을 함께 아우를 수 있는 여유있는 사고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우리나라 사람에게서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특성 중에서 좋은 점도 많지만 쉽게 흥분한다거나 종종 극단으로 흐르는 것은 단점이라고 하겠다.
그동안 수십년 겪어온 노사분규가 대화로 원만하게 해결되기 보다는 극한 투쟁으로 끝장을 본 경우가 더 많다.
개인은 물론, 사회적 국가적인 낭비일 뿐만 아니라 후유증도 만만치 않아 그 손실은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다.
이런 특징을 두고 혹자는 반도국에서 볼 수 있는 공통적인 민족정서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렇게 극단적으로 치닫기 보다는 지금 우리에게는 모자라지도 지나치지도 않은 상태, 그런 마음 자세가 필요할 것 같다. 과유불급(過猶不及)이다.
중국 사람들이 조화를 중시한다. 그래서 자연과의 조화를 위해 천인합일사상(天人合一思想)이 나왔다면 공간과의 조화에서 풍수가, 시간과의 조화를 위해 팔자(八字)가 나왔다. 그리고 인간과 인간과의 조화를 위해서 예의라는 것을 만들었다.
중국사람들이 무척 중시하는 관계 즉 인간관계도 결국은 예의를 통해 서로간에 조화를 실천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조화관념의 근저에 자리 잡고 있는 것이 중용이다. 본디 예기(禮記)의 편명이었던 것이 후에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와 함께 사서(四書)의 하나가 되었다.
그러면 중용의 정확한 의미는 무엇인가. 흔히들 우리는 가운데를 취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그러나 중용에는 보다 중요한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숫자 10을 놓고 보자. 단순히 가운데를 취한다면 5가 바로 중용의 숫자가 된다. 그러나 중용이란 그런 의미가 아니다. 보다 중용에 가까운 숫자는 1과 10 두 개일 수도 있고 4, 5, 6이 될 수도 있으며 아니면 1에서 10까지 모두가 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중용이란 수학적, 물리적인 의미가 아니라 철학적, 화학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굳이 우리말로 쉽게 표현한다면 모자라지도 않고 그렇다고 부족하지도 않은 상태, 즉 치우침이 없는 과유불급의 상태가 바로 중용인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극단이 배격되어야 한다. 중국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이 과격, 내지는 극단적인 것이다.
일도양단(一刀兩斷)이라는 말은 마치 칼로 두부 모를 자르듯이 단칼에 결판내는 것을 말하며, 쾌도난마(快刀亂麻)는 복잡한 문제를 칼로 자르듯 속 시원히 풀어내는 것을 말한다.
물론 중국 사람들은 이와 같은 방법을 달가워하지 않는다. 따라서 중용이란 양극단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 쉽게 말해 독선이 아닌 겸선, 배타가 아닌 포용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조화란 결국 두 개의 극단을 동시에 취함으로써 중용의 상태로 돌아가고자 하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 사람들이 즐겨 말하는 음양사상(陰陽思想)은 조화의 좋은 예이며 심지어 의술과 약, 음식에서까지 조화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물론 이런 예는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드러나는데 건축물을 보면 거의가 좌우 대칭형이다. 어느 한 곳에만 치중하는 것을 싫어하기 때문이다.
▶️ 過(지날 과, 재앙 화)는 ❶형성문자로 过(과)는 간자이다. 뜻을 나타내는 책받침(辶=辵; 쉬엄쉬엄 가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咼(와, 과; 입이 삐뚤어짐)의 뜻이 합(合)하여 바른 길을 지나쳤다는 데서 지나다를 뜻한다. ❷형성문자로 過자는 ‘지나다’나 ‘경과하다’, ‘지나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過자는 辶(쉬엄쉬엄 갈 착)자와 咼(가를 과)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咼자는 ‘뼈’를 뜻하지만, 여기에서는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다. 過자는 어떠한 상황이나 상태가 지나갔음을 뜻하기 때문에 길을 걷는 모습을 그린 辶자가 ‘지나가다’라는 뜻을 전달하고 있다. 다만 지금의 過자는 ‘초과하다’나 ‘넘치다’와 같이 한계를 넘어선다는 뜻이 확대되어 있다. 그래서 過(과)는 지나치는 일, 통과하다, 도를 넘치다, 과오(過誤) 따위의 뜻으로 ①지나다 ②지나는 길에 들르다 ③경과하다 ④왕래하다, 교제하다 ⑤초과하다 ⑥지나치다 ⑦분수에 넘치다 ⑧넘다 ⑨나무라다 ⑩보다, 돌이켜 보다 ⑪옮기다 ⑫허물 ⑬잘못 ⑭괘(卦)의 이름 ⑮예전 그리고 ⓐ재앙(災殃)(화)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지날 력/역(歷), 지날 경(經), 그릇될 와(訛), 그르칠 오(誤),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공 공(功)이다. 용례로는 일이 되어 가는 경로를 과정(過程), 지나간 때를 과거(過去), 예정한 수량이나 필요한 수량보다 많음을 과잉(過剩), 지나치게 격렬함을 과격(過激),정도에 넘침을 과도(過度),지나치게 뜨거워지는 것을 과열(過熱), 잘못이나 그릇된 짓을 과오(過誤), 지나간 일을 과거사(過去事), 조심을 하지 않거나 부주의로 저지른 잘못이나 실수를 과실(過失), 잘못에 대하여 용서를 빎을 사과(謝過), 통하여 지나가거나 옴을 통과(通過), 어떠한 수량을 표하는 말 위에 붙어서 많지 않다고 생각되는 그 수량에 지나지 못함을 가리키는 말을 불과(不過), 사물의 한도를 넘어섬을 초과(超過), 공로와 과오를 공과(功過), 대강 보아 넘기다 빠뜨림을 간과(看過), 때의 지나감이나 시간이 지나감을 경과(經過), 모르는 체 넘겨 버림을 묵과(默過), 모든 사물이 정도를 지나치면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는 과유불급(過猶不及), 구부러진 것을 바로 잡으려다가 너무 곧게 한다는 교왕과직(矯枉過直), 지난날의 잘못을 고치어 착하게 됨을 개과천선(改過遷善), 인과 불인은 곧 알 수 있다는 관과지인(觀過知仁), 공로와 허물이 반반이라는 공과상반(功過相半) 등에 쓰인다.
▶️ 猶(오히려 유/원숭이 유, 움직일 요)는 ❶형성문자로 犹(유)는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개사슴록변(犭=犬; 개)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酋(유)로 이루어졌다. 원숭이의 일종으로 의심 많은 성질이 전(轉)하여, 의심, 망설임의 뜻이다. ❷형성문자로 猶자는 '오히려'나 '망설이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猶자는 犬(개 견)자와 酋(묵은 술 추)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酋자는 여기에서 '추, 유'로의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다. 猶자는 본래 원숭이의 일종을 뜻하기 위해 만든 글자였다. 猶자에 아직도 '원숭이'라는 뜻이 남아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은 이와는 관계없이 '망설이다'나 '오히려'와 같은 뜻으로 쓰이고 있다. 어찌 보면 의심이 많은 원숭이의 특징이 반영된 글자라 생각된다. 그래서 猶(유, 요)는 ①오히려 ②가히 ③다만 ④이미 ⑤크게, 지나치게 ⑥~부터 ⑦그대로 ⑧마땅히 ⑨원숭이(구세계원숭잇과와 신세계원숭잇과의 총칭) ⑩태연(泰然)한 모양 ⑪허물 ⑫꾀하다 ⑬망설이다 ⑭머뭇거리다 ⑮말미암다 ⑯같다, 똑같다 ⑰그림을 그리다, 그리고 ⓐ움직이다(요) ⓑ흔들리다(요)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망설일 유(冘)이다. 용례로는 조카딸이나 형제자매의 딸을 유녀(猶女), 형제의 자손을 유손(猶孫), 조카나 편지에서 나이 많은 삼촌에게 자기를 일컫는 말을 유자(猶子), 망설여 결행하지 않음을 유예(猶豫), 아버지의 형제를 유부(猶父), 아직도 모자람을 유부족(猶不足), 물고기와 물과의 관계처럼 임금과 신하 또는 부부 사이가 친밀함을 이르는 말을 유어유수(猶魚有水), 오히려 모자람 또는 싫증이 나지 않음을 일컫는 말을 유위부족(猶爲不足), 아니함보다는 나음을 일컫는 말을 유현호이(猶賢乎已), 조카들도 자기의 아이들과 같이 취급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을 유자비아(猶子比兒), 물건을 얻었으나 쓸모가 없음을 일컫는 말을 유획석전(猶獲石田), 두려워 할 바 못 됨을 이르는 말을 유공불급(猶恐不及), 다른 것보다는 오히려 훨씬 쉬운 편으로 앞으로 보다 더 어려운 일이 있음을 이르는 말을 유속헐후(猶屬歇后), 아버지 같고 자식 같다는 뜻으로 삼촌과 조카 사이를 일컫는 말을 유부유자(猶父猶子), 모든 사물이 정도를 지나치면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는 뜻으로 중용이 중요함을 가리키는 말을 과유불급(過猶不及), 위급한 경우에는 짐승일지라도 적을 향해 싸우려 덤빈다는 뜻으로 곧 궁지에 빠지면 약한 자가 도리어 강한 자를 해칠 수 있음을 이르는 말을 곤수유투(困獸猶鬪), 들은 말이 아직도 귀에 쟁쟁하다는 뜻으로 들은 말을 귓속에 담아 두고 잊어버리지 않는다는 말을 언유재이(言猶在耳) 등에 쓰인다.
▶️ 不(아닐 부, 아닐 불)은 ❶상형문자로 꽃의 씨방의 모양인데 씨방이란 암술 밑의 불룩한 곳으로 과실이 되는 부분으로 나중에 ~하지 않다, ~은 아니다 라는 말을 나타내게 되었다. 그 때문에 새가 날아 올라가서 내려오지 않음을 본뜬 글자라고 설명하게 되었다. ❷상형문자로 不자는 ‘아니다’나 ‘못하다’, ‘없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不자는 땅속으로 뿌리를 내린 씨앗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아직 싹을 틔우지 못한 상태라는 의미에서 ‘아니다’나 ‘못하다’, ‘없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참고로 不자는 ‘부’나 ‘불’ 두 가지 발음이 서로 혼용되기도 한다. 그래서 不(부/불)는 (1)한자로 된 말 위에 붙어 부정(否定)의 뜻을 나타내는 작용을 하는 말 (2)과거(科擧)를 볼 때 강경과(講經科)의 성적(成績)을 표시하는 등급의 하나. 순(純), 통(通), 약(略), 조(粗), 불(不)의 다섯 가지 등급(等級) 가운데 최하등(最下等)으로 불합격(不合格)을 뜻함 (3)활을 쏠 때 살 다섯 대에서 한 대도 맞히지 못한 성적(成績) 등의 뜻으로 ①아니다 ②아니하다 ③못하다 ④없다 ⑤말라 ⑥아니하냐 ⑦이르지 아니하다 ⑧크다 ⑨불통(不通: 과거에서 불합격의 등급) 그리고 ⓐ아니다(불) ⓑ아니하다(불) ⓒ못하다(불) ⓓ없다(불) ⓔ말라(불) ⓕ아니하냐(불) ⓖ이르지 아니하다(불) ⓗ크다(불) ⓘ불통(不通: 과거에서 불합격의 등급)(불) ⓙ꽃받침, 꽃자루(불)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아닐 부(否), 아닐 불(弗), 아닐 미(未), 아닐 비(非)이고,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옳을 가(可), 옳을 시(是)이다. 용례로는 움직이지 않음을 부동(不動), 그곳에 있지 아니함을 부재(不在), 일정하지 않음을 부정(不定), 몸이 튼튼하지 못하거나 기운이 없음을 부실(不實), 덕이 부족함을 부덕(不德), 필요한 양이나 한계에 미치지 못하고 모자람을 부족(不足), 안심이 되지 않아 마음이 조마조마함을 불안(不安), 법이나 도리 따위에 어긋남을 불법(不法), 어떠한 수량을 표하는 말 위에 붙어서 많지 않다고 생각되는 그 수량에 지나지 못함을 가리키는 말을 불과(不過), 마음에 차지 않아 언짢음을 불만(不滿), 편리하지 않음을 불편(不便), 행복하지 못함을 불행(不幸), 옳지 않음 또는 정당하지 아니함을 부정(不正), 그곳에 있지 아니함을 부재(不在), 속까지 비치게 환하지 못함을 불투명(不透明), 할 수 없거나 또는 그러한 것을 불가능(不可能), 적절하지 않음을 부적절(不適切), 부당한 일을 부당지사(不當之事), 생활이 바르지 못하고 썩을 대로 썩음을 부정부패(不正腐敗), 그 수를 알지 못한다는 부지기수(不知其數), 시대의 흐름에 따르지 못한다는 부달시변(不達時變) 등에 쓰인다.
▶️ 及(미칠 급)은 ❶회의문자로 사람의 뒤에 손이 닿음을 나타내며, 앞지른 사람을 따라 붙는 뜻으로 사물이 미침을 나타낸다. 전(轉)하여 도달하다의 뜻을 나타낸다. ❷회의문자로 及자는 ‘미치다’나 ‘이르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여기서 말하는 ‘미치다’라는 것은 어떠한 지점에 ‘도달하다’라는 뜻이다. 及자의 갑골문을 보면 人(사람 인)자에 又(또 우)자가 그려져 있었다. 마치 누군가를 붙잡으려는 듯한 모습이다. 이것은 누군가에게 다다르고 있다는 뜻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及자는 ‘미치다’나 ‘이르다’, ‘도달하다’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及(급)은 ①미치다(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하여지다), 닿다 ②미치게 하다, 끼치게 하다 ③이르다, 도달하다 ④함께 하다, 더불어 하다 ⑤함께, 더불어 ⑥및, 와 ⑦급제(及第)의 준말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떨어질 락/낙(落)이다. 용례로는 과거에 합격함을 급제(及第), 임기가 다 되었음을 급과(及瓜), 뒤쫓아서 잡음을 급포(及捕), 마침내나 드디어라는 급기(及其), 배우려고 문하생이 됨을 급문(及門), 어떤 일과 관련하여 말함을 언급(言及), 지나간 일에까지 거슬러 올라가서 미치게 하는 것을 소급(遡及), 널리 펴서 골고루 미치게 함을 보급(普及), 마침내나 마지막이라는 급기야(及其也), 어떤한 일의 여파나 영향이 미치는 범위가 차차 넓어짐을 파급(波及), 모든 사물이 정도를 지나치면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는 과유불급(過猶不及), 네 마리 말이 끄는 빠른 수레도 사람의 혀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사불급설(駟不及舌), 맨발로 뛰어도 따라가지 못한다는 족탈불급(足脫不及), 학문은 미치지 못함과 같으니 쉬지 말고 노력해야 함을 학여불급(學如不及), 자기 마음을 미루어 보아 남에게도 그렇게 대하거나 행동한다는 추기급인(推己及人), 아무리 후회하여도 다시 어찌할 수가 없다는 후회막급(後悔莫及), 형세가 급박하여 아침에 저녁일이 어떻게 될지 알지 못한다는 조불급석(朝不及夕)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