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지난 20년간의 우리 수출은 자동차와 반도체 산업이 두드러지게 성장한 반면, 다른 산업들은 상대적으로 정체된 경향이 뚜렷하며, 이와 연관된 소득탄력성에서 나타나는 산업별 차이에 주목할 필요
소득탄력성이란 전 세계 소득의 퍼센트(%) 변화율에 대한 우리 수출의 퍼센트(%) 변화율로서, 세계 소득의 변화에 우리 제품의 수요가 변화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이는 경기적 요인과는 구별되는 제품 경쟁력 혹은 소비자의 선호도 변화 등의 구조적 요인으로 해석 가능최근의 전 산업과 소재산업의 소득탄력성 하락은 세계 경제의 분절화, 제조업의 현지 생산확대, 중국의 중간재 자급률 상승 등이 주요 원인으로 보임.자동차는 친환경차(전기차, 하이브리드차) 수요 증가와 한류 확산으로 인한 브랜드 이미지 제고로 인해 2022년부터 소득탄력성이 상승세로 전환된 것으로 추정한편, 반도체의 소득탄력성은 최근 설비투자 확대, 기술 발전으로 인한 수요 확대, 그리고 미국의 대중 수출 제재로 인한 반사이익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2015년 이후 가파른 상승세
향후 ① 미‧중 패권전쟁 및 지경학적 분절화로 인한 세계 교역 둔화, ② 탄소 다배출 산업에 불리한 세계적인 탄소중립 기조, ③ 해외 생산의 추세적 확대, ④ 중국의 성장 전략 변화와 첨단산업 육성 강화 등이 소득탄력성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소득탄력성의 하락 요인들에 대응하기 위해 ① RE100에 부합한 투자 환경 조성, ② 첨단전략 산업에서 주도권 확보를 위한 종합적 대책 마련, ③ 공급망 재편으로 안정적 생산 네트워크 구축 등이 요구
출처 : https://www.kiet.re.kr/research/issueView?issue_no=810&skey=&sval=&pg=1&pp=10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