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월신사의 생애
1. 동학 입도 이전 - 우리주변의 평범한 이웃
1827년 3월 21일
경주 황오리에서 탄생.
부친 종수(宗秀), 모친 월성 배(裵)씨. 처음 이름은 경상(慶翔)
1832년(6세)
모친 월성 배씨 환원.
어린 시절은 영일군 신광면 기일[터일]에서 자람
1841년(15세)
부친 종수 환원. 이후 여동생과 함께 친척집에 의탁
1843년(17세)
신광 터일의 제지소에서 직공으로 생계 도모
1845년(19세)
흥해 매곡의 밀양 손씨를 배필로 맞아 결혼
1854년(28세)
신광면 마북동으로 이사. 마을 집강의 직책을 맡음
1859년(33세)
신광면 금등골[검곡]으로 이주 화전으로 생활
2. 동학 입도와 종교체험 - 새로운 인생의 시작
포덕원년(1860, 34세)
대신사 후천개벽의 무극대도인 동학ㆍ천도교 득도
포덕2년(1861, 35세)
경주의 용담으로 가 대신사를 뵙고 동학에 입도. 이후 주문공부에 전념
포덕3년(1862, 36세)
1월 하순부터 천어를 듣는 등의 종교체험
“찬물에 갑자기 앉는 것은 몸에 해롭다.”
7월 초 박대여의 집에 은거하시는 대신사를 찾아 뵘.
대신사께 종교체험을 논하고 포덕의 명을 받음.
경상도 동해안 일대(영덕, 상주, 흥해, 예천, 청도, 울진 등) 포덕
포덕4년(1863, 37세)
7월 23일 대신사로부터 북도중주인(北道中主人)의 직임과 해월(海月)의 도호를 받음
3. 대신사 순도와 영해교조신원운동 - 스승의 순도와 첫 시련
포덕4년(1863, 37세)
8월 14일 도통을 전수받아 동학의 제2세 교조가 됨
12월 10일 새벽 용담에서 대신사 체포 압송
포덕5년(1864, 38세)
1월 6일 대신사 대구 감영에 수감된 이후 대구로 잡입 옥바라지
1월 20일 대신사 명으로 태백산 중 안동으로 피신. 이무중 안동접주의 도움으로 은거
3월 10일 대구 장대에서 대신사 순도
4월 영덕 직천의 강수의 집을 거쳐 영해, 평해 황주일의 도움으로 여름을 남
포덕6년(1865, 39세)
1월 울진군 죽병으로 옮김
3월 영양의 용화동 윗대치로 은거하여 농사를 지음
7월 용화동의 아래대치로 옮김(위대치는 대신사 사모님과 가족이 기거
10월 28일 윗대치 사가에서 대신사 탄신향례와 법설.
“인내천 강론과 귀천 차별 폐지” 법설
가을부터 도인들이 용화동일대로 모여들기 시작
포덕7년(1866, 40세)
3.10 대신사순도 항례(용화동 윗대치)
10,28 대신사탄신 제례. 대신사 제례를 위한 계안 송부
포덕8년(1867, 41세)
3월 10일 대신사순도제례.
대신사탄신 및 순도제례를 위한 계조직(경주 북도중, 영덕도인 중심)
10월 중순 흥해 매곡동 방문.“양천주” 법설
포덕9년(1868, 42세)
4월 영양 용화동 윗대치로 이주
포덕10년(1869, 43세)
2월 강원도 양양 도인들 해월신사를 찾아 윗대치로 방문
3월 강원도 양양 방문 30여 호 포덕(이듬해까지 양양, 인제, 정선, 영월 충북 단양 등 포덕)
포덕12년(1871, 45세)
3월 10일 영해교조신원운동(교조신원과 탐관오리 영해부사 이정 처단)
※참석지역 : 영해, 평해, 울진, 진보, 영양, 안동, 영덕, 청하, 흥해, 연일, 경주북산중, 울산, 장기, 상주, 대구, 경남 영산, 칠원
※참가인원 : 5~6백명
※주동인물 : 이필제, 최경오, 강사원, 김진균, 전인철, 남두병, 박영관 등
※결과 : 문초중 사망-12명, 효수-32명, 중형 후 정배-21명 등의 인적 손실과 경상도 북부지방의 동학조직 괴멸
4. 강원 남부서 동학 재건 - 다시 시작하는 동학
포덕12년(1871, 45세)
3월 영해교조신원운동 이후 피신
(윗대치→봉화군 춘향→영월 중동면 소미원의 사가→단양 가산 정기현의 집→단양 정석현의 집에서 머슴살이)
5월 강수와 영월 직동의 정진일의 집으로 피신
6월 영양접주 황재민과 재회
8월 이필제 문경사변으로 지목이 심해져 산중으로 은거
9월 영월 직동 박용걸의 집에 은거하며 49일 기도(지달준의 도움)
12월 정선도인 유인상 등 영월 직동 방문.“대인접물” 법설
포덕13년(1872, 46세)
1월 5일 참회고천제례(영해교조신원은둥의 과오를 참회)
1월 20일 순흥 박용걸의 형집 방문
1월 22일 대신사 큰아들 세정 양양감옥에 수감
3월 18일 양양으로 가 세정의 옥사 살핌, 정선 유인상의 집을 거쳐 직동으로 옮
4월 5일 영월직동 박용걸의 집에서 창도기념제례
4월 8일 정선 유인상의 집 방문
5월 12일 세정 양양에서 옥사
5월 하순 세정을 위한 49일 기도
10월 16일 갈래산 적조암에서 49일 기도(신사, 강수, 전성문, 김해성)
“태백산공사십구” 지음
포덕14년(1873, 47세)
1월 전성문과 의형제를 맺음(강수, 박용걸, 전성문을 의제로 삼음)
이후 여러 곳을 돌아가며 도인들의 수련을 지도
12월 9일 대신사 박씨 사모님 환원(정선 동면 화암리 싸내)
12월 10일 정선 유인상의 집에서 박씨 사모님 환원소식을 듣고 싸내로 가서 가매장으로 장례
포덕15년(1874, 48세)
1월 1일 영춘 장항리 박용걸의 집에서 새해를 맞음
1월 10일 단양의 강수가 방문
1월 15일 순흥의 박용걸의 형 집 방문
2월 초 정선 유도원의 집 방문, 적조암 방문과 철수좌 스님 입적 다비
2월 19일 정선 싸내에서 박씨 사모님 장례식
2월 그믐 영춘 장현곡 박용걸의 집으로 돌아옴
4월 초 단양군 대강면 사동[절골]로 이사, 김씨 사모님과 혼례
12월 9일 박씨 사모님 첫제사를 위해 싸내에 강수와 김연국을 보냄
5. 제례를 통한 포덕교화 - 다양한 교화방안의 모색
포덕16년(1875, 49세)
1월 22일 대신사의 둘째아들 세청 급사
2월 절골에서 송두둑으로 이사
8월 15일 천제 봉행
9월 초 영남 행(문경→상주→선산→신령→용담 가정리→청하→달성)
10월 18일 고천제 봉행(추수가 끝나고 행한 전통의 제례 계승).
강수를 차도주에 임명. “용시용활” 법설. 이름을 시형(時亨)으로 고침
11월 13일 정선 유시헌의 집에서 고천제 치제. 유시헌을 도접주에 임명
포덕17년(1876, 50세)
봄에 대신사 사위들이 박씨 사모님 묘소를 단양 영춘 의풍으로 이장
(1943년 용담으로 이장)
4월 인제 남면 김연호의 집에서 고천제례
7월 손씨 사모님과 재회
포덕18년(1877, 51세)
10월 3일 인제 갑둔리 김연호가에서 고천제를 구성제라 명명하고 치제
포덕19년(1878, 52세)
7월 25일 정선 무은담 유시헌의 집에서 개접(開接).
“시(侍)자의 뜻을 해석해보라.”
포덕20년(1879, 53세)
2월 경주 내왕(강수, 김연국 동행)
3월 10일 영양 일월면에서 대신사순도제례(큰사위집)
3월 36일 강원 영서 순회(영월, 정선). 영월 하동면 거석리에서 신몽
윤3월 7일 인제 남면 갑둔리 김치운의 집에서 구성제
4월 초 구성제를 인등제로 바꿔 치성(매년 10월, 11월, 4월에 관례로 행함)
11월 10일 정선 남면 방시학의 집에 대신사수단소를 설치하고 사적편찬
6. 사적 편찬과 경전 간행 - 역사서와 경전의 간행
포덕21년(1880, 54세)
1월 정선 동면 전세인의 정서로 사적 간행
5월 9일 인제 남면 갑둔리 김현수의 집에 경전간행소를 설치하고 판각 착수
6월 14일 목판본 동경대전 백여 부 간행
6월 15일 경전간행 봉고제례
포덕22년(1881, 55세)
6월 단양 남면 천동 여규덕의 집에서 용담유사 수백권 간행(인제접에서 비용 마련)
포덕23년(1882, 56세)
가을부터 청주와 목천 지역 등지에서 입도자 증가
포덕24년(1883, 57세)
2월 천원군 목천 김은경의 집에서 동경대전 백여부 간행
충청도 일대 포덕 활발. 생활규범 11개조 실천요목 제정
5월 경주판 동경대전 간행
8월에 용담유사 간행
포덕25년(1884, 58세)
3월 10일 대신사조난기념예식. 교인들의 내왕이 많아 지목 심해짐
6월 전라도 익산 금마면의 사자암에서 4개월 은거
가족은 상주 화서촌 봉촌리 앞재[전성]에 이사
10월 4일 공주 가섭암에서 21일 수도. 강서 3종 받음
10월 24일 육임제 제정.
13자 주문을 ‘봉사상제일편심(奉事上帝一片心) 조화정만사지(造化定萬事知)’로 고침
10월 28일 단양 장정리에서 대신사탄신제례에 각포 두령 82명 참석
포덕26년(1885, 59세)
5월 단양군수 최희진 동학지도자 잡아들임
신사 보은 장내리에 은신하며 청주, 진천 순회
청주 서택순의 집에서‘천주직포(天主織布)’법설
6월 공주 마곡사로 피신
8월 보은으로 돌아와 영일 기계면 화계리에 은거
9월 상주 화령 전성촌으로 이사(최보따리 이야기)
11월 도인들 내방과 법설(천주직포, 이천식천, 사인여천, 천인합일, 귀신과 조화의 실체, 부부화목, 사인여천은 대신사의 가르침, 공직에 대한 자세 등)
포덕27년(1886, 60세)
4월 위생준칙 반포
6월 하순에 콜레라 괴질, 동학도 무탈로 입도자 증가
충정, 전라, 경상, 경기도 등지의 도인들이 전성촌 내방
포덕28년(1887, 61세)
1월 1일 ‘무극대도작심정 원통봉하우통통’의 시를 지음
2월 24일 김씨부인 환원
3월 21일 해월신사 환갑. 갈래사에서 49일 기도(서인주 손천민)
‘불의사월사월래 금사옥사우옥사’ 지음.
5월 보은 장내리에 육임소 설치, 육임직 임명
10월 인제 갑둔리 김현경의 집으로 옮김
7. 호남 포덕 - 삼남이 동학의 세상이 되다
포덕29년(1888, 62세)
1월 호남북부지방 순례(전주→삼례)
3월 10일 대신사순도제례. 도인들이 행할 새로운 절목[신정절목]10개조공포
3월 인제접에서 동경대전과 용담유사 중간(무자판)
전라북도와 충정도지역에 포덕 대치
9월 흉년이 들자 도인들간에 서로돕기 통문
포덕30년(1889, 63세)
1월 15일 정선민란과 인제민란으로 동학에 대한 지목 심해짐
7월 보은 장내리의 육임소를 파하고 괴산 신양동(? 수수면 수리 새양동)으로 피신
10월 문경사변으로 서인주, 강한형, 정현섭 등 피체.
신사 피신(음성→ 인제군 갑둔리 김현경의 집→간성 왕곡마을 김하도의 집에서 과세)
포덕31년(1890, 64세)
1월 인제 갑둔리로 옮김
2월 15일 성황거리 이명수의 집으로 옮김
3월 충주 외서촌 보뜰로 가족들과 옮김(손병희 주선)
4월 양구군 죽곡리 길운성의 집에 은거
5월 15일 인제 갑둔리 김연호의 집으로 옮김
7월 초에 성황거리 이명수의 집으로 옮김
“저 새소리도 시천주의 소리”
7월 가족 공주 정안면 활원으로 이사(윤상오 주선)
8월 활원에서 가족들과 상봉
9월 가족 진천군 초평면 용산리 금성동으로 이사(서택순 주선)
10월 영남순례
11월 김산군 구성면 복호동 김창준의 집
“내칙ㆍ내수도문” 반포
12월 공주 신평 윤상오의 집에서 과세
포덕32년(1891, 65세)
2월 공주 정안면 평정리 동막으로 가족 이사(윤상오 주선)
3월 호남포덕 증가로 윤상오를 우도편의장, 남계천을 좌도편의장에 임명. 이후 분란이 생기자 남계천을 좌ㆍ우도 편의장과 도접주 임명
5월 호남 순례
(옥천→익산 오산 남계천의 집→부안 신리 윤상오의 집→옹정→고부→태인 동곡 김낙삼의 집→지금실 김기범의 집→원평 용계마을 김덕명의 집→전주→공주 동막)
“문벌이 천미한 자라도 두령의 자격이 있다.”
7월 금성동에서 “관관일기정심처” 지음. 임사실천10개조 반포
12월 초 충주 외서촌 보뜰로 이사
“모든 산이 검게 변하고 모든 길에 비단이 깔리고 만국과 교역할 때”
포덕33년(1892, 66세)
1월 충청감사 조병식 동학탄압 극심
1월 진천군 초평면 부창리로 피신(손병희 주선)
1월 19일 건실한 생활자세로 수행하라는 통유문 띄움
1월 25일 생활자세에 대한 요목 통유
2월 26일 3월 1일부터 100일간 기도하라는 통유(해시에 청수봉행)
2월 29일 각종 임첩 납발 방지 통유
5월 15일 상주 공성면 효곡리 윗왕실에 거처(권병덕 주선)
“식즉천[먹는 것이 하늘이다]”법설
동학의 확산으로 관의 탄압이 심해져 충청도와 전라도 수령들이 동학도의 재산을 몰수
8. 교조신원운동과 반외세운동 - 스승의 신원을 통한 공인운동
5월 관의 탄압으로 충청도 도인은 보은 장내리로 전라도 도인은 금구 원평으로 모여듬
7월 교조신원운동 논의(서인주, 서병학 건의)
10월 교조신원운동 시작. 청주 남쪽 솔뫼에 의송소를 설치하고 신원 협의
10월 17일 교조신원을 알리는 입의통문 발송
10월 20일 동학도 천여명이 공주 집결
10월 21일 서인주, 서병학을 앞세워 충청감사에 의송단자[소원문] 제출
10월 22일 충청감사 조병식 제사를 동학도에 전해줌
“동학에 관한 권한은 조정에 있다.”
일부 동학도들의 농성에 충청감사는 감결을 수령에 보내 횡포와 침탈을 못하게 함
10월 25일 동학지도부 해산
10월 25일 전라도 삼례에 동학도회소를 설치
10월 27일 삼례집회를 알리는 경통 발송
11월 1일 전봉준, 유태홍이 의송단자를 전라감사 이경직에 제출
11월 7일 동학도는 이경직의 결단을 촉구하는 글을 재차 제출
11월 9일 이경직의 제음을 받음 “동학은 나라에서 금한다.”
동학지도부 해산하지 않고 시위 계속, 전라감사는 영장 김시풍으로 하여금 군졸을 동원하에 해산하려 함. 김시풍과 서인주 삼례남쪽 한천[만경강]에서 담판. 동학의 기세에 눌린 김시풍은 전주로 돌아감
11월 11일 전라감사 각 군ㆍ현에 감결 발송. “동학도의 재산 약탈금지”
11월 12일 지도부 해산
11월 12일 각 접과 도소에서 군ㆍ현에 단자를 올려 부정에 시정하자는 경통 발송
11월 19일 서울에서 교조신원운동을 할 것을 알리는 통문 발송
11월 21일 전라감사는 각 군ㆍ현에 동학도 탄압을 중지하라는 감결 재차 발송
11월 말 서학과 대립하지 말라는 경통 발송
12월 초 정부 상대 교조신원운동 준비 착수. 보은 장내리에 동학도소 설치, 육임 임명, 상소문 작성
12월 초 소장을 올려 정부의 반응 살핌, 정부는 소장 접수치 않고 도소에 돌려보냄
포덕34년(1893, 67세)
1월 청원군 산동면 용곡리 권병덕의 집에서 서병학에 복합상소 허락
봉소도소를 청원군 송산리 솔뫼[남일면 신송리] 손천민의 집에 설치
1월 10일경 제소문안 작성
1월 20일 두령에 서울 집결 경통 발송(복합상소일을 2월 11일로 정함)
2월 8일 왕세자탄신일 별시(別試) 시행
2월 1일 서병학 등 선발대 복소를 위한 도소인 서울 남서 남소동 최창한의 집에 집결
2월 10일 도소에서 봉소를 위한 봉고식
2월 11일 봉소인 9명이 주의(周衣)를 입고 광화문에서 복소(伏疏), 천여명의 도인 운집
※봉소인 : 소수 박광호 제소 손천민 서소 남홍원 봉소 박석규 임규호 손병희 김낙봉 권병덕 박원칠 김석도
2월 12~13일 광화문에서 복합상소
2월 13일 오후 정부가 사알을 보내 “집으로 돌아가 생업에 임하면 소원에 따라 베풀어준다.”는 말을 전하고 돌아감
2월 14일~15일 동학도들 해산하여 서울을 빠져나감
※광화문복합상소를 하면서 동학도는 반외세운동을 전개
2월 7일 서학교두를 지목하는 괘서
2월 13일 서울 외국인 거리, 18일 서양공관, 24일에는 일본인을 경고하는 글
3월 2일 일본국 상려관에 방을 내걸음
3월 10일 대신사순도제례(옥천군 청송면 거포리 갯밭의 김연국의 집)
동학지도부 척왜양창의를 건의.
신사 보은 장내에 모든 교인을 모으도록 통유
보은관아 부산성문 등 경상, 전라, 충청의 주요지역에 척왜양창의와 보국안민의 방을 내걸음
3월 11일 신사 보은 장내리로 옮
3월 13일부터 각지의 도인 집결 시작
3월 15일 1만명 이상의 도인 집결
3월 16일 동원독촉의 통문 재차 발송
3월 16일 정부는 해산령을 내림. 금구 원평에도 도인 집결
3월 17일 호조참판 어윤중을 양호도어사로 임명 사태수습
3월 18일 장내리 뒷산 옥녀봉에 돌담 축조. 각포에 포명 제정
3월 19일 전라도 도인 집결 시작
3월 20일 척왜양창의와 40여 포명 깃발 게양
3월 21일 2만여명 집결
3월 23일 보은 군수 이중익 등 장내리에서 해산 종용
3월 25일 조정에서 보은신원운동 대책회의
3월 25일 양호도오사 어윤중 보은에 도착
3월 26일 장내리에서 어윤중과 동학지도부 면담 후 조정에 장게 올림
3월 29일 경군 6백명 청주 도착
3월 28일 고종의 윤음 하달
3월 30일 어윤중 고종의 윤음 동학도에 전달 “해산 후 생업 종사 종용”
4월 1일 청주병정 1백명 보은에 도착
4월 2일 해월신사 해산명령 후 장내리를 빠져나와 상주 공성면 효곡리 왕실집으로 돌아옴
4월 3일 금구 원평의 동학군 해산
4월 10일 정부 동학지도부 체포령
4월 15일 경상도 지역 순회(인동 배성범의 집→칠곡군 율림리 광우원[칠곡군 왜관읍 금남리 율촌]의 집→인동→금산 편사언의 집→황간 김선달의 집)
8월 청산군 문바위골[옥천군 청산면 한곡리]로 이사(조재벽 주선)
문암리에 대도소를 설하고 각포에 법소와 도서를 설치 12월 중순 경부터 새로운 활동
9. 동학농민혁명 - 미완의꿈
포덕 35년(1894, 68세)
1월 문암리에 강석(講席) 마련
1월 10일 새벽 전봉준 등 고부관아 점령
1월 17일 민요군 말목장터로 옮김
2월 15일 고부군수 박명원 임명
3월 3일 민요군 일부해산
3월 5일 민요군 백산 이전
3월 7일 안핵사 이용태 진상규명을 구실로 동학도와 농민 탐학
3월 9일 동학군 원평에 집결
3월 16일 동학군 무장현 동음치면 구엄리 구수 당산으로 이동
3월 20일 동학군 무장 용현에서 기포
3월 25일 동학군 백산으로 이동 ‘호남창의대장소’ 설치. 격문 선포
3월 29일 조정에서 홍계훈은 양호초토사로 임명 장위영소속 500명과 인천 출발
4월 6일 동학군 황토현 전투 승리
동학군 남진(정읍→흥덕→고창→무장→영광→힘평)
4월 7일 홍계훈 전주성 도착
4월 23일 동학군 장성 황룡촌 전투 승리
4월 27일 동학군 전주성 입성
5월 7일 전주 화약. 전라도 53개 군ㆍ현에 집강소 설치
6월 25일 청ㆍ일 전쟁
9월 동학군 2차 기포 논산 집결
9월 18일 신사 각포 두령에 기포하라는 통유 발송
10월초 황산에서 충청 지역 동학도 집결. 손병희 통령으로 임명
10월 16일 논산에서 손병희와 전봉준의 동학군 합세 공주 진격
10월 21일 동학군 세성산전투 패배
10월 23일 공주 공략을 위해 이인전투, 효포ㆍ곰치전투
11월 9일 동학군 효포ㆍ곰치ㆍ우금치 세 방면으로 총공격
11월 11일 동학4군 노성으로 후퇴
11월 15일 동학군 논산 황화대에서 관군에 대패
11월 18일 동학군 전주성으로 후퇴
11월 25일 금구 원평ㆍ태인 전투 패배. 전봉준과 손병희부대 나뉨
12월 2일 동도대장 전봉준 순창 피로리에서 체포.
김개남 대접주 태인 종송리에서 체포
12월 3일 김개남 대접주 전주 초록바위에서 효수
10. 혁명 후의 수난과 순도 - 고난의 삶을 내려놓다
포덕 35년(1894, 68세)
11월 태인전투 후 손병희 임실 갈담에서 신사와 재회
12월 신사 손병희와 함께 오수 장수 무주를 거쳐 영동, 용산, 청산, 보은, 북실 경유
12월 24일 무극 장대에서 대패 후 강원도 홍천으로 피신
포덕36년(1885, 69세)
1월 인제군 느릅정의 최영서의 집에 은거
6월 홍천군 고대의 최우법의 집 방문
12월 원주 치악산 중 수례촌으로 이사(임학선 주선)
포덕37년(1896, 70세)
1월 5일 손병희에 의암의 도호 수여
1월 11일 손천민에 송암, 김연국에 구암의 도후 수여. 3암의 집단지도체제 임명
1월 18일 개벽운수 법설
2월 초 충주 외서촌 마르택으로 이사(이용구 주선)
3월 초 상주 높은터로 은거
4월 음성군 창곡으로 이거
5월 “성ㆍ경ㆍ신” 법설
6월 청주군 청천면 산막리로 이거
8월 상주군 은척원으로 이거
12월 마음을 경계하는 통문 배부
포덕38년(1897, 71세)
2월 음죽군 앵산동으로 이거. 지목이 심해짐
4월 5일 창도기념식을 향아설위로 봉행
7월 황해도와 평안도 포덕을 위해 ‘북접법헌’의 명첩을 ‘용담연원’으로 변경
8월 여주 전거론으로 이사
10월 28일 인제군 느릅정 최영서의 집에서 대신사탄신향례
12월 24일 의암에 도통전수
포덕 39년(1897, 72세)
1월 3일 권성좌의 밀고로 여주 전거론에서 피체의 위기를 당하나 손병희의 기지로 모면
1월 4일 지평군 갈현 이강수의 집에 며칠 은거하다 홍천군 서면 제일동 오창섭의 집으로 피신하였다가 며칠 뒤 홍천 동면 방아재의 용여수의 집에 은거하다 2월 그믐에 여주 임학선의 주선으로 원주군 송골 원진여의 집으로 이주
4월 4일 창도기념식을 봉행하러온 두목을 집으로 보냄
4월 5일 정오 경 송경인의 밀고로 원주 송골에서 경군에 체포됨
문막을 거쳐 여주에서 배편으로 서울로 압송됨
5월 11일 법정 심문
5월 말일 좌도난정율로 사형 언도 후 한상감옥으로 이감
6월 2일 하오 2시 한성감옥에서 교형으로 순도
(참고문헌) 표영삼, 동학1,2 천도교백년약사 동학의 원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