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스트링머신을 자동, 수동이라고 구별을 짓고 있지만, 아쉽게도
그 자체가 잘못 규정되어있음을 말씀드립니다.
정확하게 분류 지으려면 콘스탄트풀 (constant pull)과 인스턴트오프(instant
off) 이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뉘는 것이 올바릅니다. 님께서 언급하신 록아웃
(lock out) 머신은 후자인 인스턴트오프방식의 한 종류에 속합니다.
자동, 수동의 분류가 잘못되었다는 이유를 설명 드리자면, 모든 자동머신이
콘스탄트풀이 아니며, 모든 수동머신이 인스턴트오프 머신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왜 그런지 자동과 수동을 기준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1. 자동머신의 분류
============
자동머신이라함은 전기모터가 텐션을 조절하는 방식을 가리킵니다.
일반적으로 자동머신의 경우 콘스탄트풀머신일 가능성이 높고,
콘스탄트풀과 인스턴트오프 두 가지 옵션을 장착한 머신이 많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자동머신 = 콘스턴트풀이란 등식이 적용되지만 ,
머신의 모터가 스프링에 의해 컨트롤되는 자동머신의 경우는 엄밀히 말해
콘스턴트풀이 아닌 인스턴트오프방식으로 분류가 되어집니다.
더 자세히 분류하자면, 자동머신중에도 모터의 컨트롤이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컨트롤되는 경우는 전자식방식이라고 규정하며,
그렇지 않은 머신의 경우 전기식방식이라고 규정합니다.
텐션의 조절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컨트롤과 센서의 감응장치에 의존하는
고가의 자동머신의 경우가 전자식방식에 속합니다.
2. 수동머신의 분류
============
수동머신이라함은 텐션조절장치가 전기/전자식 방식에 의존하지 않고
작동자가 직접 조작하는 방식을 가리킵니다.
수동머신의 경우 크게 세 가지, 드롭웨이트(drop weight), 록아웃(lock out spring),
브레이크(brake) 방식으로 나눠집니다.
첫 번째인 드롭웨이트 머신은, 추의 무게에 의해 텐션이 조절되는 방식으로
엄밀히 콘스턴트풀방식에 속합니다. 두 번째 록아웃머신과 세 번째 브레이크 방식은
일반적으로 크랭크방식으로 통칭됩니다. 기계에 미리 설정된 텐션에 맞게 손잡이
(크랭크) 를 돌려서 원하는 텐션을 얻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크랭크방식은
인스턴트오프 방식에 속합니다.
그럼 이제, 올바른 분류인 콘스턴트풀 방식과 인스턴트오프 방식에대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3. 콘스턴트풀 vs 인스턴트오프
====================
한 동호인이 원하는 텐션을 50파운드로 가정합니다. 콘스턴트풀방식과 인스턴트오프
방식 모두 당기는 텐션자체는 50파운드로 동일합니다. 하지만, 인스턴트오프 방식에서
최종적인 텐션이 50파운드에 이르게 되면 거기서 당기는 것이 중지가 됩니다.
그에 반해 콘스턴트풀의 경우 클램핑될때까지 줄이 계속 당겨집니다.
클램핑되기전까지 당겨지는 시간이 아무리 잠시라고 하여도 그 당겨지는
시간의 차이 때문에 콘스턴트풀방식과 인스턴트오프방식에서 스트링된 라켓의
최종텐션에서 일반적으로 10퍼센트의 차이가 나게 되는 것입니다.
콘스턴트풀의 방식에 의한 최종텐션이 이상적인 50파운드가 나왔다고 하면, 인스턴트
오프방식의 최종텐션은 45.455파운드 정도가 나오는 거지요.
* 정확한 공식이 되려면 (콘스턴트풀텐션)에 (인스턴트풀의 10퍼센트)을
더하는 것이 맞으나, 그 차이가 1파운드 미만으로 그리 크지 않고 스트링어의 편의를 감안
콘스턴트풀의 10퍼센트를 더하는 것으로 함. 그 이유로, = 과 차이를 두려고 '=. 를 사용함.
그러므로 두 분께서 말씀하신 공식인, (수동 + 10% = 자동) 과 (자동 + 10% = 수동)
두 공식 모두 맞는 공식입니다. 다만,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느냐에 따라 다른 공식이 적용되어야
하지요. 인스턴트오프 머신을 사용해 각 머신의 차이를 상쇄하려는 스트링어의 입장에선 후자의
공식을 사용해야하는 것이 정상이고, 최종텐션의 관점에선 전자의 공식을 사용하는 것이 정상이지요.
다음 단락에서는 각 방식에 해당하는 머신들의 종류들을 들어보기로 합니다.
3.1. 콘스턴트풀 방식
------------------------
a. 마이크로 프로세서 / 센서장착 전자식 방식
b. 스프링 방식이 아닌 전기모터 방식
c. 드롭웨이트 (drop weight) / 추 방식
3.2. 인스턴트오프 방식
--------------------------
a. 스프링 방식의 전기모터 방식
b. 크랭크 방식 - 록아웃 스프링(lock out spring), 브레이크(brake) 방식
4. 맺음말
======
제 글이 그동안 잘못 분류되어진 스트링머신의 종류에 대한 이해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마지막으로 강조하고 싶은 점은,
스트링 머신의 종류보다도 그 스트링 머신의 정확한 튜닝(calibration)과 그 머신을
작동하는 스트링어의 경험과 숙련도가 훨씬 더 중요함을 말씀드리고 싶으며, 되도록이면
같은 기계로 같은 스트링어에게 계속 스트링 서비스를 받는 것이 사용자의 입장에선 일관성의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똑같은 종류의 머신이라고 해도
튜닝의 정도에 따라 큰 텐션차이가 날 수도 있으며, 모든 변수가 같다고 하여도 스트링어의
버릇과 숙련도에따라 차이가 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첫댓글 ㅋㅋ 열이도 테니스닥터에 자주 방문하나 보군~ 상세한 설명 고마우이
뭐가 이렇게 어렵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