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폰 교재
- 목 차 -
Ⅰ. 스마트폰의 의미와 특징------------------------ 1
1. 스마트폰이란 ---------------------------------- 1
2. 스마트폰의 종류 -------------------------------- 2
Ⅱ. 스마트폰의 외부구조와 기능 -------------------- 3
1. 기본 조작 방법 -------------------------------- 3
2. 용어 ----------------------------------------- 5
Ⅲ 스마트폰의 환경 설정 ------------------------ 6
1. 상태 표시줄 (상태 바) ------------------------- 6
2. 환경 설정 메뉴 알아보기 ----------------------- 7
Ⅳ. 스마트폰 사용하기 -------------------------- 13
1. 통화하고 연락처 관리하기---------------------- 13
가. 전화걸기와 받기 --------------------------- 13
나. 연락처 등록, 수정 및 삭제하기---------------- 14
2. 스마트폰으로 문자메시지 주고받기 --------------- 16
가. 문자메시지 보내기 -------------------------- 16
나. 그룹 만들기 ------------------------------- 17
다. 문자메시지 받기 --------------------- ------ 18
3. 카카오톡 사용하기 -----------------------------19
가. 카카오톡 설정하기 -------------------------- 19
나. 카카오톡으로 대화하고 자료 주고받기 ---------- 20
4. 카메라 사용하기 ------------------------------ 24
가. 카메라로 사진찍기 -------------------------- 24
나. 사진 보정하기 ----------------------------- 28
5. 음악과 YouTube(동영상),DMB(TV) -------------- 32
가. 음악(뮤직) -------------------------------- 32
나. 유튜브 ------------------------------------ 35
다. DMB(TV시청) ----------------------------- 37
라. 녹음기 ------------------------------------ 37
마. 외국어 번역기 ------------------------------ 38
6. 지도와 길 안내 앱 사용하기 --------------------- 40
가. 지도 -------------------------------------- 41
나. 길찾기 ------------------------------------ 42
7. 일정 관리하기 --------------------------------- 43
가. S플래너 ----------------------------------- 43
나. 명함 관리 ---------------------------------- 45
8. 스마트폰 관리 및 활용하기 ----------------------- 46
가. 바이러스 검사하기 --------------------------- 46
나. 파일 정리하기 ------------------------------- 47
다. 불루투스 기기연결 --------------------------- 49
9. 스마트폰과 컴퓨터의 연결 ------------------------ 50
가. 스마트폰의 내파일 앱 사용하기 ----------------- 50
나. 스마트폰과 컴퓨터를 연결하여 자료 주고 받기------ 52
Ⅰ. 스마트폰의 의미와 특징
1. 스마트폰이란?
휴 대 폰 + 컴 퓨 터 (전화, 문자메시지) (인터넷, 정보검색, 문서작업)
즉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전화기라고 할 수 있으며 인터넷 검색은 물론 영화 감상, 음악 감상, 텔레비전(지상파)을 시청할 수도 있습니다.
1) 스마트폰은 가지고 다니기가 편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전화기나 컴퓨터를 휴대하고 다니는 것과 같음.
- 컴퓨터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좋음.
2) 스마트폰을 통해 인터넷을 언제 어디서나 할 수 있습니다.
- TV나 신문을 몸에 지니고 다니는 것과 같아서 늘 뉴스, 오락, 영화, 게임 등을 스마트폰을 통해 볼 수 있음.
3) 스마트폰은 응용 프로그램(앱,어플)을 실행하여 사용합니다.
- 각종 생활 정보나 전문지식 등 관련 앱을 무료 또는 유료로 사용함.
4) 앱을 설치하고 삭제하기가 쉽습니다.
5) 다양한 앱은 일상생활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습니다.
- 다양한 센서 기술의 집합체
6) 여러가지 S/W와 앱을 사용하기 위해 강력한 H/W 스펙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 카메라, GPS, 가속도센서, 조도센서 등 편리한 기능을 제공
7) 운영체제(안드로이드, iOS 등)를 쉽고 빠르게 업데이트 할 수 있습니다.
- 컴퓨터의 윈도우처럼 스마트폰에도 운영체제가 있는데 계속 발전시키고 있으며 그것을 쉽게 받아서 바꿀 수 있음.
8) 자유로운 스마트폰을 셋팅하여 개인에 최적화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스마트폰의 여러 가지 앱이나 위젯을 자유롭게 자신이 편리한대로 위치를 바꾸거나 조절하여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음.
9) 앱을 쉽게 알아 볼 수 있도록 아이콘을 사용합니다.
- 앱은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인데 쉽게 찾아서 쓸 수 있도록 아이콘으로 되어 있음.
2. 스마트폰의 종류
운영체제에 따라
- 애플의 iOS(아이폰)
- 구글의 안드로이드(삼성, LG, 모토롤라, HTC 등)
Ⅱ. 스마트폰의 외부구조와 기능
1. 기본 조작 방법
가. 전원 버튼
- 누르면 전원이 켜지거나 꺼집니다.
- 길게 누르면 전원 끄기, 비행기 탑승 모드, 다시 시작(리셋) 화면이 뜹니다.
나. 홈 버튼
- 짧게 누르면 홈 화면이 실행됩니다.
- 길게 누르면 최근 사용한 앱 목록이 나타납니다.
- 짧게 두 번 누르면 S보이스 앱이 실행됩니다.
다. 메뉴 버튼
- 짧게 누르면 해당 화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메뉴로 연결 됩니다.
- 길게 누르면 구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합니다.
라. 취소(되돌리기) 버튼
- 짧게 누르면 이전 화면으로 전환됩니다.
- 길게 누르면 멀티윈도우 패널이 열리거나 닫힙니다.
마. 터치 화면
- 1920X1080 해상도의 화면
바. 음량 버튼
- 위쪽을 누르면 커지고,
- 아래쪽을 누르면 작아집니다.
사. 근접 센서
- 모션이나 에어 제스처 등의 동작을 인식합니다.
아. 전면/후면 카메라
- 촬영이나 영상 통화를 합니다.
(화소수 : 전면보다 후면이 더 큽니다.)
자. 안테나
- TV안테나. (갤럭시 S4는 없음)
차. 스피커
- 통화 수신음이나 녹음, 녹화한 후 소리를 들려줍니다.
카. 마이크
- 통화를 할 때 목소리, 녹음을 할 때 음을 입력합니다.
타. USB커넥터
- 충전기나 USB를 연결하여 배터리 충전이나 외부와 연결합니다.
[출처] 스마트폰의 구조와 기능/작성자 장두현
2. 용 어
ㅇ 어플리케이션
- 응용 프로그램.
- 간단히 앱 또는 어플이라 함.
ㅇ 아이콘
- 어플리케이션을 쉽게 알아 볼 수 있도록 조그만 그림(단추)으로 화면에 표시한 것.
Ⅲ. 스마트폰의 환경 설정
1. 상태 표시줄 (상태 바)
① 현재 시각이 나타냅니다.
② 배터리 잔량이 남아있음을 나타냅니다.
③ 전파 세기 : 흰색으로 나타나는 것이 전파의 세기입니다.
④ LTE 표시가 있으면 데이터 네트워크가 사용되고 있다는 표시이고, LTE 표시가 없으면 와이파이(Wi-Fi)가 사용되고 있다는 표시입니다.
⑤ 전화의 음질 (HD Voice)을 나타냅니다.
⑥ 알람이 설정되어 있다는 표시입니다.
⑦ 나머지 표시(붉은 선 안)들은 현재 사용하던 앱을 나타냅니다.
2. 환경 설정 메뉴 알아보기
홈 화면을 위에서 아래로 끌어내리면 다음과 같은 화면으로 바뀝니다.
① 상단의 톱니바퀴 모양을 누르면 [설정 화면]이 나타납니다.
② 톱니바퀴 모양 옆에 있는 도구는 설정화면 표시방법을 바꿀 수 있습니다.
③ 설정 영역이 ‘연결’, ‘디바이스’, ‘입력 및 제어’, ‘일반’으로 구분되어 표시합니다.
④ ‘네트워크 연결’은 전파를 받아서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차단합니다.
가. 네트워크 연결
- Wi-Fi(와이파이)
무선 데이터 전송 시스템 (Wireless Fidelity의 약자)
-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이어폰, 마우스, 마이크 등의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 테더링 및 모바일 핫스팟
휴대폰을 인터넷 모뎀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능으로 노트북 등 IT기기를 휴대폰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비행기 탑승 모드
비행기가 이, 착륙할 때 전파에 인한 방해를 받지 않기 위해 스마트폰의 통화 및 메시지 기능과 모바일 데이터 사용을 차단합니다.
- 다운로드 부스터
다운로드 부스터는 대용량의 파일을 좀 더 빨리 받을 수 있는 기능인데 와이파이와 LTE를 묶어 하나의 통신망으로 사용하는 것이어서 요금을 더 많이 부담해야 하므로 자신의 요금제에 따라서 활용합니다.
- 데이터 사용
데이터 사용량을 측정하여 보여줍니다.
- 위치
구글이 (스마트폰을 가진)사람들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원리는 내 스마트폰이 위치를 구글에 알려주면 구글이 상대방(스마트폰)에게 전달하는 것입니다.
- T 로밍
외국에 나가서 휴대폰을 이용할 때 (SK텔레콤이) 데이터 이용량 및 이용 기간별로 상품을 다양화해서 제공하는 맞춤형 요금제입니다.
나. 연결 및 공유
-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아주 가까운 거리의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기술이다. 교통카드, 신용카드, 티켓 등 여러 서비스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S Beam
내 디바이스를 다른 NFC디바이스에 맞대어 파일을 공유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스마트폰 갤러리의 이미지나 동영상 파일, 노트, 문서 등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 주변 디바이스
Wi-Fi, Wi-Fi다이렉트, 모바일 핫스팟으로 미디어 파일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 Screen Mirroring
내 디바이스 화면을 다른 디바이스와 공유할 수 있습니다.
다. 디 바 이 스 ( 장 치 )
- 소리 및 알림
벨소리, 미디어, 알림, 시스템, 통화 중 알림음 등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소리 모드(소리, 진동, 무음)를 비롯한 각종 소리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 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 화면의 자동꺼짐 시간, 화면 모드, 읽기모드, 화면의 밝기 조절, 화면 보호 기능, 화면 자동 회전 등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멀티 윈도우
애플리케이션 두 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LED 상태표시등
여러 가지 상태(충전 중, 배터리 부족, 알림, 음성 녹음 등의 상태를 LED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 잠금 화면
화면 보안을 위해 화면 잠금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화면 잠금 방법은 서명, 패턴, PIN, 비밀번호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배경화면
홈 화면과 잠금 화면의 배경화면을 바꿀 수 있습니다.
- 서체
여러 가지 서체 종류 선택 및 글자 크기를 작게 또는 크게 바꿀 수 있습니다.
- 알림창
밝기조절, 추천 앱 바로가기, 빠른 설정 버튼을 직접 설정할 수 있습니다.
라. 입 력 및 제 어
- 언어 및 입력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독일어 등 언어의 변경, 키보드 입력방식, 손글씨 입력, 음성 입력, 포인터의 속도 바꾸기 등 여러 가지 기능을 바꿀 수 있습니다.
- 음성 제어
음성 명령을 사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합니다.
- 헨즈 프리 모드
수신 전화 및 새 알림 메시지를 자동으로 읽어줍니다.
- S 펜
노트 시리즈에 있는 펜을 사용할 때 여러 가지 상태를 변화시켜줍니다.
- 한 손 조작 모드
한 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키보드의 위치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조절시켜줍니다.
- 모션 제어
에어 제스쳐, 에어 뷰, 에어 커멘드, 모션, 손바닥 모션, 스마트 화면, 터치 민감도 높이기 등의 기능이 있습니다.
Ⅳ. 스마트폰 사용하기
1. 스마트폰으로 통화하고 연락처 관리하기
가. 전화 걸기와 받기
1)‘연락처’로 전화 걸기와 받기
홈 화면에서 [전화]를 터치하고 [연락처]를 터치해서 [검색창]에서 연락할 전화번호를 검색합니다. 이름이 나와 터치하면 신호가 갑니다.
2) [키패드]로 전화 걸기
위 중간의 그림이 키패드입니다. 전화를 하고자 하는 곳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아래쪽 [전화]를 누르면 신호가 갑니다.
3) 최근기록으로 찾아서 전화하기
[최근기록]을 터치하면 최근에 전화를 주고받은 기록이 나타나는데 필요한 전화를 찾아서 터치하면 신호가 갑니다.
4) 영상통화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영상통화 표시를 누르면 영상을 통화할 수 있습니다.
나. 연락처에 등록하고 수정, 삭제하기
1) [연락처]에 등록하기
[연락처]를 누르면 [+]를 누르면 [이름]과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창이 나옵니다. 이름, 전화번호, 그룹, 벨소리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다른 입력난 추가]에서는 조직, 이메일, 메신저, 주소 등 다른 여러 가지 사항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2) [즐겨찾기]에 등록하기
자주 통화를 하는 사람의 전화번호를 빨리 찾을 수 있도록 [즐겨찾기]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 등록되어 있는 이름을 찾아서 아래 오른쪽 화면의 별표를 터치하면 별이 노란색으로 변하면서 [즐겨찾기]에 등록이 됩니다.
3) [연락처]를 수정 또는 첨가하거나 삭제하기
위의 가운데 그림에서 연필모양의 도구를 누르면 수정 상태가 되므로 수정한 후 [저장]을 터치하면 됩니다.
4) 연락처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기
[연락처]를 다른 사람이 알려달라고 하는 경우 위의 오른쪽 그림에서 세 개의 점이 있는 곳을 터치하면 아래와 같이 나올 때 [연락처 정보전송]을 터치하고 문자메시지 화면에서 보낼 사람의 이름을 입력하여 보내기를 하면 됩니다.
5) 연락처(전화번호) 삭제
연락처 목록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부분을 길게 눌러 이름 앞에 나온 □을 선택하고 상단의 휴지통을 누르면 삭제됩니다.
2. 스마트폰으로 문자메시지 주고 받기
가. 문자메시지 보내기
1) 문자 메시지 보내기
홈 화면에서 문자 메시지 앱인 [엽서]표시를 터치하면 가운데 그림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수신인]란에 문자메시지를 받을 사람을 찾아서 입력하고 보낼 메시지를 작성한 후 [보내기]를 터치하면 문자 메시지가 발송됩니다.
2) 문자 메시지로 사진, 노래 등 자료 보내기
문자 메시지와 함께 첨부자료(사진)를 보내려면 아래쪽의 클립모양을 터치해서 오른쪽 그림이 나오면 [이미지]를 터치합니다.
그러면 내 스마트폰의 갤러리가 열리고 그 속에서 보내고 싶은 사진을 터치해서 보내기를 터치하면 됩니다. 단, 한꺼번에 너무 많은 사진이나 용량이 큰 자료는 전송이 되지 않습니다.
3) 문자 메시지를 그룹으로 보내기
모임이나 단체에 소속된 여러 사람들에게 동시에 같은 내용의 메일을 보내려면 옆의 사진모양을 누르고 [그룹]이 나오면 그룹을 선택해서 보내면 됩니다.
그룹을 찾는 방법은 [연락처]앱을 터치하고 사람모양의 그림을 찾아서 터치하면 그룹이 나옵니다.
나. 그룹 만들기
그룹을 만들려면 [연락처]에서 그룹에 포함시키려는 사람을 찾아서 [수정]을 터치하고 그룹이 나오면 그룹을 지정(또는 선택)한 후 저장을 해야합니다. 그리고 난 후 [그룹]을 불러오면 그 그룹에 포함된 사람들의 명단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다. 문자 메시지 받기
상대방에게 문자메시지가 오면 홈 화면의 메시지 앱(위의 왼쪽 그림)에 숫자가 나타나고 ‘메시지’를 터치하면 상대방이 나에게 보낸 문자를 확인할 수있다. 그리고 하단의 ‘메시지를 입력하세요’라고 적힌란을 터치하면 키패드가 나오는데 답장을 적은 후 보내기 버튼을 누르면 답장이 전송됩니다.
3. 카카오톡 사용하기
가. 카카오톡 설정하기
1) 카카오톡 시작하기
[Play 스토어]에서 ‘카카오톡’앱을 검색하여 홈 화면에 설치합니다.
카카오톡을 실행하면 자신의 ‘전화번호’가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다음]을 터치한 후 ‘전화번호 인증’화면이 나타나면 [확인]을 터치하면 홈 화면에 카카오톡 앱이 나타납니다. 카마오톡 앱은 가장 많이 사용되므로 왼쪽 그림처럼 아래쪽 고정으로 나타나는 앱의 목록에 포함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2) 카카오톡 메인 화면 알기
카카오톡 메인화면(위의 가운데 그림)의 상단에서 가장 왼쪽이 친구 목록입니다. 친구 목록에는 자신의 스마트폰 연락처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중에서 카카오톡을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이 가나다 순으로 표시됩니다. 친구를 찾고 싶으면 위의 돋보기 모양을 터치한 후 이름을 입력하면 됩니다.
3) 내 프로필 사진 넣기
① ‘내 프로필’화면에서 실루엣 사진을 터치합니다.
② ‘사진선택’메시지 창에서 [사진 앨범]을 터치합니다.
③ 사진 앨범에서 갤러리에 저장된 사진 중 하나를 골라서 선택합니다.
④ 카카오톡 화면에 선택한 사진이 나타나면 화면 아래의 자르기 메뉴를 터치해서 원하는 크기로 조절한 후 선택한 후 조절한 이미지를 확인합니다.
나. 카카오톡으로 대화하고 자료 주고받기
1) 대화 주고 받기
① 친구 목록에서 돋보기를 눌러 대화할 친구를 찾아서 터치하면 상대방의 프로필 화면이 나타납니다.
② 1:1 채팅을 터치한 후 하단의 란에 하고 싶은 이야기를 적은 후 전송을 터치합니다.
2) 이모티콘 사용하기
① 대화 내용을 입력한 후 입력상자의 얼굴모양을 터치하면 이모티콘이 나타납니다.
② 이모티콘으로 말로 하는 대답 대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3) 사진 파일 주고받기
① 대화 창의 + 을 터치하면 ×로 변하면서 왼쪽 그림처럼 화면이 바뀝니다.
② 아래 그림과 같이 [사진]을 터치하면 갤러리가 열리면서 가운데 그림과 같이 사진들이 보이는데 보낼 사진을 선택합니다.
③ 선택한 후 [전송]을 터치하면 사진이 발송됩니다.
4) 음성 메시지 보내기
① 음성 메시지를 만들려면 왼쪽그림에서 [음성 메시지]를 터치합니다.
② 화면이 가운데 화면과 같이 바뀌면 빨간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시간이 표시되면서 음성 녹음이 시작됩니다. 다시 터치하면 녹음이 끝나고 보내기를 터치하면 음성 메시지가 발송됩니다.
5) 여러 사람들에게 동시에 문자나 사진, 동영상 보내기
① 채팅창에서 왼쪽 화면 아래에 나타난 말풍선기호를 터치합니다.
② 가운데 화면에서 일반채팅을 터치합니다.
③ 대화상대를 검색하여 선택하기를 반복합니다.
④ 원하는 대화상대가 모두 초대되었으면 오른쪽 위의 ‘확인’을 터치하고
⑤ 하단의 +가 있는 글상자에 하고 보내고 싶은 말을 입력합니다.
⑥ 함께 보내고 싶은 사진이나 동영상, 음성메시지 등이 있으면 +를 누르고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찾아서 터치한 후 보내기를 합니다.
4. 카메라 활용하기
가. 카메라로 사진찍기
1) 카메라의 각 부분 명칭 및 용도
① 화면전환
‘셀프카메라’로 쓸 때 한 번 터치한다. 다시 한 번 더 누르면 원래대로 돌아간다.
② 노출보정
어두울 때는 윗부분(+)을 터치하면 화면이 밝아지고, 너무 밝을 때 아랫부분(-)을 터치하면 화면이 점점 어둡게 된다.
③ 타이머
셀프카메라로 찍을 때 2초, 5초, 10초 중에서 선택한다. 'OFF'로 되면 셀프타이머 기능이 없어진다.
④ 플래시
실내나 역광 촬영 등 광선이 부족할 때 활용한다.
빛이 약해서 어두울 때나 가까운 거리에서만 효과가 있다.
⑤ 설정
여러 가지 상황에서 변경하여 촬영할 수 있음을 알려준다.
⑥ 동영상
한 번 누르면 화면의 왼쪽 위에 붉은색'●REC'이 나타나면서 동영상 촬영(●의 깜빡거림)이 시작되고, 한 번 더 누르면 정지한다.
⑦ 카메라
터치하면 ‘찰깍’소리가 나면서 사진이 찍힌다.
⑧모드선택
파노라마, 연속촬영, HDR, 야간 등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 뷰티페이스 : 사람의 얼굴을 인식해서 피부를 깨끗하게 보정해서 촬영합니다.
○ 파노라마 : 카메라를 한 방향으로 움직이며 촬영합니다. 넓은 범위의 사진을 한 장의 사진에 담을 수 있습니다.
○ 후면 셀프샷 : 후면 카메라로 셀프사진을 촬영할 때 얼굴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초점을 맞추어줍니다.
○ 연속 촬영 : 카메라 버튼을 길게 눌러 연속으로 여러 장의 사진을 촬영합니다.
○ HDR : 내부적으로 여러장의 사진을 다른 노출값으로 촬영하여 합성한 후 명암을 조절한 한 장의 사진으로 만들어줍니다.
○ 야간 촬영 : 플래시 없이도 저조도에서 밝고 선명한 사진을 촬영해 줍니다.
○ 움직이는 GIF : 사진을 연속으로 촬영하여 에니메이션 이미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설정을 터치했을 때 보여주는 화면
➀ 노출값
사진의 밝기를 조절해서 찍을 수 있습니다.
➁ ISO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가 빛을 받아들이는 정도 즉 감도 숫자가 높을수록 감도가 높아 어두운 곳에서도 빛을 많이 받아들여 사진이 찍히지만 사진이 거칠어집니다.
➂ AWB 화이트밸런스
색상의 왜곡을 없애기 위해 조정하는 값 즉 자연색 그대로 표현하기 위함. 색온도를 조절하여 바꿀 수 있습니다.
➃ 측광모드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의 양을 측정하는 것으로 보통 스팟측광, 중앙부중점측광, 다분할 측광의 세 가지가 있습니다.
➄ 눌러서 사진촬영
한 번 터치하여 'OFF'가 없어지면 사진을 촬영할 때 셔터가 아닌 화면을 눌러도 촬영이 됩니다.
➅ 동영상 크기
숫자가 클수록 화면을 더 크게 확대해도 깨끗한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➆ 동영상 모드
‘일반’과 ‘MMS첨부용’의 두 가지가 있는데 첨부용은 크기가 작습니다.
➇ 위치 태그
실행(OFF 해제)하면 사진에 위치정보가 함께 저장됩니다.
➈ 저장 위치
‘디바이스’에 저장하는지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지를 알려줍니다. 자유롭게 바꿀 수 있습니다.
➉ 안내선
화면에 안내선 넣기와 없애기를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다.
⑪ 음성제어
사진 촬영할 때 ‘스마일’‘김치’‘촬영’등 음성으로 찍을 수 있습니다.
⑫ 음량버튼
‘사진’, ‘동영상’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나. 사진 보정하기
1) 각 부분의 이름 및 용도
① 뒤로가기
‘터치’하면 이전 화면으로 돌아갑니다.
② 공유
‘터치’하면 공유할 수 있는 앱이 나타납니다.
③ 이전에 공유했던 앱이 표시됩니다.
④ 사진보정
터치하면 사진을 보정하는 상태로 됩니다.
⑤ 휴지통
터치하면 삭제 여부를 묻는 대화상자가 나타납니다.
⑥ 사진에 작업하기
터치하면 ‘슬라이드쇼’ ‘인쇄’‘이름변경’등 사진에 작업을 할 수 있는 항목이 나열됩니다.
⑦ 갤러리에 들어있는 사진들을 보여줍니다.
터치하면 그 사진으로 바뀌어 보여줍니다.
2) 사진 보정 작업 : 자르기
3) 사진 보정 작업 : 색상
① 자동조절
찍은 사진을 자체 프로그램 상 가장 적당한 상태로 조절해 줍니다.
② 밝기
사진의 밝기 정도를 조절합니다.
③ 대비(콘트라스트)
현저히 다른 두 요소들을 대립시켜 어떤 특징과 징과 속성을 두드러지게 강조하는 원리
④ 채도
빛깔의 엷고 짙은 선명도를 이르는 말, 엷은 것은 채도가 낮고 진한 것은 채도가 높다.
⑤ RGB 조정
Red(적색), Green(초록), Blue(파랑)색상 조정
⑥ 색온도
색온도로 색상 변화를 가져옵니다.
⑦ 노출
밝고 어두운 정도를 조절합니다.
⑧ 색조
그림이나 사진상에 나타난 빛깔의 강하고 약한 짙고 엷음 또는 그 배합 따위의 정도나 차이를 말합니다..
예) 대비(콘트라스트)
5. 음악과 YouTube(동영상),DMB(TV)
가. 음악(뮤직)
1) 앱스 화면에서 [뮤직]앱을 터치하고 원하는 곡을 찾아서 듣습니다.
① 재생 목록 (플레이 리스트) : 즐겨듣는 곡, 많이 재생한 곡, 최근에 재생한 곡 등으로 목록이 작성되어 있습니다.
② 곡 :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는 곡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③ 앨범 : 앨범별로 곡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④ 아티스트 : 가수나 악단별로 분류하여 저장되어 있습니다.
⑤ 장르 : 발라드, 트롯, 클래식 등 장르별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⑥ 폴더 : 음악을 저장한 폴더별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⑦ 작곡가 : 작곡가별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2) [4shared]앱을 이용하여 원하는 곡을 찾아 [뮤직]에 가져옵니다.
① 내 4shared에 있는 것
② 나와 공유한 것
③ 저장된 파일
④ 카메라 업로드
⑤ 피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⑥ 계정 및 설정
나. 유튜브
1) 동영상 보기
① 유튜브 앱을 터치하여 왼쪽과 같은 화면이 나오면 ‘돋보기 모양’을 터치합니다.
② 글상자가 나오면 찾아서 보고 싶은 동영상의 제목을 입력하고 터치합니다.
③ 찾고 있는 동영상이 나오면 터치하여 플레이합니다.
2) 유튜브에 동영상 올리기
① 유튜브에 자기가 만든 동영상을 올리려면 앱스 화면에서 유튜브앱을 터치하여 왼쪽 화면처럼 나오면 위쪽의 캠코더 모양( )을 터치한다. ( 유튜브에 자신의 계정을 만들어주어야 동영상을 올릴 수 있는데 계정이 등록되어 있으면 오른쪽 ( )모양이 나타난다.
② 가운데 화면처럼되면 올리려는 동영상을 찾아서 터치하고 오른쪽 화면과 같이 나오면 제목, 설명을 적어 넣고 공개 여부를 결정한 뒤에 세부정보 추가란의 오른쪽 비행기모양( )을 터치하면 동영상이 올라가기 시작한다.
다. DMB(TV방송)
1) 스마트폰에서 TV(지상파, 음악)방송을 시청하려면 안테나를 뽑아내야 하는데 건물 안에서는 신호세기가 약하여 시청이 어렵다. 별도의 안테나가 없는 스마트폰은 (안테나 역할을 하는) 이어폰을 연결합니다.
2) [DMB]앱을 찾아 터치하고 채널 검색을 한 후 보려고하는 방송을 터치합니다.
라. 녹음기
1) 앱스 화면에서 [음성 녹음]을 터치합니다. ‘음성 녹음’화면의 [녹음]버튼을 터치한 후 내용을 녹음합니다. 녹음이 완료되면 [중지]버튼을 터치합니다.
2) 녹음한 파일이 목록에 표시되는데 파일을 터치하면 녹음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목록을 꾹 누르(길게 터치하)면 선택이 되는데 오른쪽 상단의 [설정]을 눌러서 이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4) 삭제할 때는 선택을 한 후 [휴지통]을 터치하면 삭제됩니다.
5) 녹음을 하기 전에 저장 위치, 녹음 음질, 기본 파일 이름 등을 설정하려면 위의 가운데 화면에서 오른쪽 위의 [설정]을 터치하여 지정할 수 있습니다.
마. 외국어 번역기
1) 앱스 화면에서 왼쪽 화면에 있는 [Man Tong]을 찾아서 터치합니다.
2) 화면이 가운데 화면처럼 바뀌면 하단의 왼쪽의 말하려는 언어는 [한국어]. 오른쪽은 통역하려는 언어는 [영어] 임을 확인한 후
3) 스마트폰에 통역하고 싶은 말을 하면 위쪽에 입력이 되고 아래쪽에 통역한 말이 나타납니다.
4) 만통의 경우 통역할 수 있는 언어가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이태리어, 터키어, 러시아어, 베트남어, 태국어, 홍콩 등 13개국 언어입니다.
5) 통역 앱에는 [파파고], [S번역기], [글로벌통역기], [올인원번역기]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6. 지도와 길 안내 앱 사용하기
가. 지도
1) 앱스 화면에서 [지도]앱을 터치한 후 ‘구글 지도’가 실행되면 팝업창의 [설정]을 터치합니다.
2) ‘위치’화면으로 이동하면 가운데 화면에서 [모드]①를 터치하고
3) 오른쪽 화면에서 ‘위치 인식 방법’이 나타나면 ‘높은 정확도’②를 터치합니다.
4) 지도 화면이 나타나면 상단의 ‘여기서 검색’ 또는 ‘직장’을 사용해 보세요.가 있는 검색창 오른쪽 끝에 있는 마이크 모양을 터치하고 찾고자 하는 곳을 말합니다.
5) 찾고자 하는 곳은 빨간풍선 모양으로 나타납니다. 지도를 두 손가락으로 화면을 벌리거나 오므리면서 위치를 확인합니다.
6) 검색창 왼쪽의 ☰을 터치하면 내장소, 참여, 위치 공유, 와이파이 전용, 오프라인지도, 교통정보, 대중교통, 위성, 지형, 및 도움말 및 유용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나. 길찾기
1) 지도화면에서 위쪽의 검색창에 찾고자 하는 검색어를 입력하고 터치하면 검색 결과가 지도에 표시됩니다.
2) 길찾기를 하려면 왼쪽 화면의 오른쪽 아래에 있는 ‘확인’을 터치하면 가운데 화면이 보입니다. 내 위치를 확인하고, 목적지를 입력하거나 지도에서 선택한 후에 승용차, 대중교통, 걷기 중에서 선택하면 찾아가는 길이 표시된다.
3) 아래 오른쪽 화면은 대중교통을 선택했을 때 시내버스, 지하철, 도보로 가는 길과 시간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7. 일정 관리하기
가. [S플래너]
1) [Play스토어]에서 왼쪽 화면과 같은 [S플래너]앱을 찾아서 설치하고 터치하면 가운데 화면과 같이 달력 형식으로 나타납니다.
2) 가운데 화면에서 일정을 추가할 날짜를 두 번 터치하거나 한 번 터치한 후 위쪽의 +를 터치하면 오른쪽 화면과 같이 ‘일정 추가’화면으로 이동하여 입력창이 나타납니다.
3) ‘일정추가’화면이 나타나면 ‘입력창’에 제목, 위치, 시작시각, 종료시각을 입력하고 저장을 터치합니다.
4) 알림 시각을 설정하고 옵션 더보기에서 반복 횟수, 내용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5) 왼쪽 상단의 ≡ 을 이용하여 년, 월, 주, 일, 목록별로 일정을 볼 수 있습니다.
나. 명함 관리
1) [CamCard LITE명함스캐너]앱을 설치한 후 실행합니다. 앱의 홈 화면에서 ‘카메라 모양’을 터치합니다. 앱의 화면이 명함을 스캔할 수 있는 카메라 화면으로 변경되면 명함이 노란색 줄에 꽉 차도록 위치를 지정한 후 초점이 맞으면 ‘카메라 모양’을 터치해서 사진을 찍습니다.
2) 명함이 이미지 파일로 표시되면서 이미지 아래에 명함 정보가 텍스트로 표시됩니다.
3) 명함 정보는 해당 정보를 터치한 후 수정이 가능합니다. 명함 정보를 수정한 후 이름 앞의 ‘카메라 모양’을 터치합니다. ‘개인 사진 변경’창이 뜨면 명함 정보에 사진을 추가하기 위해서 [사진 촬영]을 터치합니다.
4) 사진을 촬영하고 원하는 크기만큼 조정하고 [완료]를 터치한다. ‘개인 사진 변경’창에 촬영한 사진이 등록되면 스마트폰의 [취소]버튼을 터치하여 이전 화면으로 돌아옵니다. 명함 정보에 촬영한 사진이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스캔한 명함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 화면 상단의 ‘저장’ 모양을 터치합니다. ‘전화 연락처 선택’목록에서 [전화 연락처]를 선택한 후 [기본 값으로 설정]을 터치합니다. 명함책에 스캔한 명함이 저장되어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8. 스마트폰 관리 및 활용하기
가. 바이러스 검사하기
1) 앱스 화면에서 [V3 Mobile 2.0]앱을 터치합니다. 바이러스 검사 화면에서 [빠른 검사]를 터치한 후 검사가 완료되면 [정밀 검사]를 터치하여 검사가 완료되면 팝업 창으로 검사 결과가 나타납니다.
2) 그리고 나서 화면 하단 중간의 ‘환경설정’화면에서 [예약 검사 설정]을 터치하고 ‘예약 검사 사용’의 체크 박스를 터치한 후 주기와 시간을 설정하고 [확인]을 터치하면 자동적으로 검사가 실행됩니다.
3) 환경 설정 화면의 ‘보안 수준’항목에서 보안 수준을 ‘높음’이나 ‘낮음’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나. 파일 정리하기
1) [Clean Master(속도 최적화)]앱을 실행합니다.
2) 앱을 실행하면 스마트폰의 저장공간이 표시됩니다. 메뉴 중 [파일정리]를 터치하면 불필요한 파일 목록이 표시됩니다. ‘캐시 파일’의 체크박스를 터치해 선택을 해제한 후 캐시 파일 중 삭제할 파일을 선택하고 [정리]를 터치한다.
3) 클린마스터 메인화면에서 아래쪽 ‘도구’를 터치하면 가운데 화면처럼 도구가 나오는데 ‘앱관리’를 터치하면 설치된 앱 목록이 나타납니다. 제거할 앱이 있으면 체크박스를 선택한 후 제거를 터치합니다. 제거 확인 창이 뜨면 [확인]을 터치합니다.
다. 불루투스 기기 연결하기
1) 불루투스는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이어폰, 스피커 등을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무선기술입니다. 불루투스 기기를 사용하려면 스마트폰의 화면 상단을 아래로 끌어 알림창을 연 후 불루투스를 터치해서 [꺼짐]을 [켜짐]으로 합니다.
2) 현재 사용 가능한 불루투스 기기가 검색되면 사용하려는 기기를 터치합니다. 등록하려는 디바이스 패스키가 있는 경우 입력을 해줍니다.
3) 내 스마트폰과 불루투스 기기가 연결되었다는 메시지가 나타나면 불루투스 기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9. 스마트폰과 컴퓨터의 연결
가. 스마트폰의 내 파일 앱 사용하기
1) 앱스 화면에서 [내 파일]을 터치한 후 가운데 화면에서 ‘내 파일’화면의 [디바이스 저장공간]을 터치하면 오른쪽 화면처럼 스마트폰의 전체 목록이 표시됩니다.
2) 가운데 화면에서 [설정]을 터치한 후 [새 폴더 추가]를 선택합니다.
3) 아래 왼쪽 화면과 같이 '새 폴더 추가‘창이 나타나면 폴더 이름(예: 시니어클럽)을 입력한 후 [확인]을 터치합니다.
4) 가운데 화면과 같이 스마트폰 폴더 목록에 방금 새로운(시니어클럽) 폴더가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오른쪽 화면과 같이 [SD카드]의 폴더 목록에서 ‘Camara'를 터치하고 필요한 사진을 선택하여 ‘복사’한 후
5) [디바이스 저장공간]으로 와서 새로 만들어둔 ‘시니어클럽’폴더에서 오른쪽 위의 ‘여기에 붙여넣기’를 터치하여 붙여넣기를 하면 ‘카메라’폴더에 들어 있던 사진들이 ‘시니어클럽’폴더에도 저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나. 스마트폰과 PC를 연결하고 파일 주고 받기
1) USB 케이블로 스마트폰과 PC를 연결하면 왼쪽 화면과 같이 ‘미디어 디바이스로 연결’이라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2) 스마트폰 화면 상단의 알림창을 열어보면 가운데 화면처럼 ‘미디어 디바이스로 연결’되었다는 연결되었다는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다른 메시지가 나오면 가운데 화면에서 ‘미디어 디바이스로 연결’메시지를 터치하면 오른쪽 화면이 나오는데 ‘미디어 디바이스’를 체크하면 연결이 됩니다.
4) PC화면의 윈도우 탐색기에 스마트폰이 연결되어 [Card]와 [Phone]이 나타나면 [Phone]을 더블클릭합니다.
5) 스마트폰의 폴더목록이 표시되면 ‘Computer'폴더를 확인합니다. 새로운 윈도 탐색기를 실행한 후 복사할 자료가 있는 폴더를 선택하고 복사할 자료를 선택한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를 하거나 스마트폰의 ‘Computer'폴더로 드래그합니다.
6) 이번에는 스마트폰에 있는 자료를 PC로 옮겨봅니다. 윈도 탐색기에서 스마트폰의 'Card'에서 ‘Camara'를 더블클릭하여 옮기고자 하는 사진을 선택한 후 복사를 합니다.
7) 복사한 파일을 컴퓨터에 저장할 폴더를 선택합니다. 폴더를 선택한 후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클릭하고 바로가기 메뉴의 [붙여넣기]를 선택합니다.
윈도 탐색기에서 스마트폰의 'Card'에서 ‘Camara'를 더블클릭하여 옮기고자 하는 사진을 선택한 후 복사를 합니다.
[출처] 어르신들을 위한 최적의 스마트폰 활용 교육 지침서 - 대구 수성시니어 클럽 스마트폰 활용 교육 교재|작성자 스마트폰활용지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