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이브라햄 링컨(Abraham Lincoln,
에이브러햄 링컨(Abraham Lincoln, 1809~1865)은 정말 노예해방을 위해 평생 노력한 (전통적인) 기독교이었을까?
난 에이브러햄 링컨이 노예해방을 위해 평생을 바친 평등주의자인 줄 알았다. EBS 지식채널을 접하기 전에는
“노예를 해방해 정치적, 사회적으로 우리와 동등하게 만든다고요? 내 감정은 그것을 허락할 수가 없습니다. 우리는 그들과 동등해질 수 없어요.”
이것이 에이브러햄 링컨의 입장이었다. 남북전쟁 대 북군이 수적으로 수세에 몰리기 전까지는.
그는 남북전쟁 전 1860년 16대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한다. 당시 농업 위주의 남부는 공산품에 관한 관세를 내리자고 요구했고 공업 위주의 북부는 공산품 관세를 높이자고 요청했다. 아브라함 대통령은 관세를 당시 미국 역사상 최고 수준으로 올렸고 무역정책에 관한 심각한 남북 간의 갈등으로 전쟁이 시작되었다.
전쟁 이전 노예제도에 관한 그의 태도는 늘 모호했다. 그가 노예제도의 확장을 반대한 것은 맞다. 그러나 그렇다고 노예제도 자체를 급진적으로 반대한 것은 아니었다. 모호한 링컨의 태도는 1861년 3월 4일 취임연설에서도 드러난다.
“나의 최고의 목적은 연방을 유지하여 이를 구제하는 것이지, 노예제도 문제는 아니다.”
남북전쟁은 당시 인종갈등이 아니라 산업전쟁이었다. 그리고 북군이 전쟁에 질 경우 정치적 생명이 위태로웠던 링컨은 원래 계획에 없었던 특단의조처를 한다.
“노예를 해방하겠다. 흑인 노예 중 적합한 조건을 갖춘 자는 미합중국 군대에 입대해 적당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그의 결정에 분노한 상당수 북부 군인들은 노예를 위해 피를 흘릴 수는 없다며 탈영을 하였다. 그러나 수많은 흑인의 입대로 북군의 위세는 강화되었고 전세는 역전되었다.
아브라함은 정확하게 말하자면
노예해방에 회의적이었지만
전쟁참패의 위기 속에
노예해방으로 전쟁의 승리를 얻고
후대에 명성을 얻는 미합중국 대통령이었다.
“진실의 가장 큰 적은 거짓이 아니라 신화다”
-존 F. 케네디-
EBS 지식채널 6 (41-49에서).
당시 노예제도를 옹호한 남부연합군 최고 사령관이었던 로버트 리 장군은 분명 헌신된 독실한 기독교인이었다. 하지만 링컨은 로버트 리 장군과 비하면 상대적으로 전통적인 기독교인이 아니었던 것은 틀림없다. 로버트 리 장군이 초반부 승리한 것 때문에 링컨 대통령이 노예해방을 결정한 것을 보면 역사란 불가사의하다.
그럼 링컨은
1809~1865)은 정말 (전통적인) 기독교인었을까요?
1. 링컨은 위대한 그리고 탁월한 미국의 근대화에 앞장선 정치가였습니다. 노예제도를 악으로 규정하는 오늘날의 시각으로 전쟁 이전 링컨의 노예제도에 관한 모호한 태도를 판단해서는 안 됩니다. 노예제도에 대해 중립적 입장만 해도 당시는 매우 진보적 사상이었죠.
2. 사실 링컨이 기독교인이었는가란 질문은 그가 암살당한 후 초기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그의 전기들이 앞다투어 출판되기 시작하면서였죠. 그는 보수적인 침례교 집안에서 자라났으나 평생 한 번도 교회에 소속된 적은 없습니다. 또한, 자신이 그리스도인이라고 공적으로 말한 적은 지금까지 알려진바 단 한번도 없었습니다.
3. 젊었을 때 그는 오히려 기독교 신앙을 조롱하기를 좋아했지요. 그는 아내와 두 자녀와 함께 정기적이진 않아도 다양한 교단의 교회 예배에 참석했습니다. 훗날 자녀 둘이 사망하고 난 후 종교에 좀 더 관심을 두었다고 합니다.
4. 물론 링컨 사후 의회의 사목(Chaplain of the Senate Phineas Grey)과 그의 아내는 그가 그리스도인이었다고 주장하지만, 링컨과 많은 대화를 나눈 가까운 친구들인 Ward Hill Lemon과 William Herndon은 이를 어림없는 사실이라고 부인했죠(Steiner, Franklin, 1936, "Abraham Lincoln, Deist, and Admirer of Thomas Paine". Religious Beliefs of Our Presidents. Retrieved 2010-05-31). 그들과의 대화에서 링컨은 오히려 이성주의자였고 마지막에는 이신론자였다고 합니다.
이신론
이신론(理神論, deism)은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에 등장한 철학(신학)이론이다. 세계를 창조한 하나의 신을 인정하되, 그 신은 세계와 별도로 존재하며 세상을 창조한 뒤에는 세상, 물리법칙을 바꾸거나 인간에게 접촉하는 인격적 주재자로 보지 않는다. 그에 따라 계시, 기적 등이 없다고 보는 철학, 종교관이다. 자연신교(자연신론) 라고도 한다(위키백과).
지금까지 밝혀진 증거들을 보면 링컨은 그리스도의 신성은 부인했지만, 하나님의 존재를 믿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젊었을 때는 결국 모두가 구원받을 것이라는 만인 구원론을 믿었고, 그의 신에 관한 믿음도 불가지론적인 것이었고 노년까지도 전통적인 종교에는 회의적이었다고 하네요(Guelzo, Director of Civil War Era Studies at Gettysburg College in Pennsylvania, Abraham Lincoln: Redeemer President in 1999에서 인용). 그가 기독교인이라도 전통적인 기독교인은 아니었던 것 만큼은 틀림없는 것 갔습니다.
5. 흥미로운 점은 본토 미국에서도 없는 링컨에 관한 신화가 왜 우리나라에서만 유독 꽃을 피웠는가 하는 점입니다. 제 생각에 그 이유는 아마 번영신앙 탓 같습니다. 미국, 백인, 백악관, 대통령이란 단어가 주는 성공과 “복"에 대한 이미지 때문이겠죠. 하나님의 기준을 따르면 크게 성공한다를 믿고 싶어 링컨을 독실한 신앙인으로 만든 것이겟죠. 다른 이유 있겠지만, 그쪽은 잘 모르겠습니다.
6. 우리가 알고 있는 예회의 잘못된 부분을 밝히는 것이 신앙을 흔드는 일이 아니었으면 합니다. 저의 작업이 순진한 신앙에서 성숙한 신앙으로 나아가는 디딤돌이 되었으면 합니다.
이민규 신학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