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기차 가치의 50%는 배터리(전지)에 의해 좌우 -
- 러시아의 전기 배터리의 수입의존도는 96% -
□ 시장 개요
배터리(축전지)는 전기차 가치의 50%를 차지할 정도로 핵심 부품이며 배터리의 축전시간, 축전량(연비), 무게부피 등이 배터리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 차량의 배터리(Starter Battery)는 조명, 가열 등 일반 가전의 전지 기능만 수행하며 전기차량의 배터리(Traction Battery)는 엔진 동력의 기능을 수행한다. |
ㅇ 러시아 전기차 배터리로 알려진 전지는 납산전지, 니켈수소 전지, 니켈 염화 나트륨 전지, 리튬 이온전지임.
- 러시아 전기차 시장에서 리튬 이온전지가 전기차 베터리로서 가장 잘 알려져 있음.
- 납산전지, 니켈 수소 전지는 저온에서 기능이 저하된다는 점에서 러시아 환경에 적합치 않음.
- 니켈 염화 나트륨 전지는 저온 시 난방 에너지 비용이 급증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리튬 이온전지 다음으로 보편적인 전기차 배터리임.
전기자동차용 구동 전지 유형
전지 유형 | 내용 |
납산 전지 Lead acid battery | - 과거에 가장 보편적이던 유형 - 차체보다 수명이 짧아 일반적으로 3년마다 교체 필요 - 딥 사이클 전지의 효율은 저온에서 감소 |
니켈 수소 전지 Nickel-metal hydride battery | - 납산 전지보다 고 에너지 밀도 보유 - 단점: 낮은 효율, 높은 자체 방전률, 저온에서 기능 저하 |
니켈 염화 나트륨 전지 Sodium Nickel Chloride Battery | - 저온에서 난방 비용 증가 외에는 전지 성능 영향없음. - 무독성 - 단점: 축전 연비가 낮은 편 |
리튬 이온 전지 Lithium-ion battery | - 노트북, 휴대 전화 등에 보편적 사용(Li-ion 및 이와 유사한 Li-pol Li-pol) - 최근 가장 보편적인 전기 자동차용 전지로 사용 |
ㅇ 리튬이온 전지의 세계 생산량 중 63%가 중국에서 생산되며, 한국과 일본은 13% 비중 차지
- 리튬이온 전지가 사용되는 상품은 전기차, 포터블 전자제품, 전기발전 축전 시스템, 노트북 등임.
· 러시아 SKOLKOVO(첨단산업단지)는 리튬이온전지와 전기차 개발연구의 선두 기관으로 관련 정보를 정기적으로 발표 중ㅇ 세계 리튬이온 전지 수요처는 가전이 65%를 차지하는 반면 러시아는 92.5%를 차지
- 세계 기준으로 전기차에 사용되는 리튬이온전지 비중은 16%인 반면 러시아는 1.1% 정도임.
- 산업용 사용 비중은 세계 기준 12%, 러시아는 3.7% 정도임.
- 2017년 기준 러시아 시장 내 리튬이온전지 거래량은 1,137만 7,258개이며, 2018년 상반기 동안 559만 6320개가 유통된 것으로 파악
- 금액 기준 러시아 리튬이온전지 거래 규모는 2017년 1억1162만 달러이며 2018년 상반기 기준 5836만 달러임.
러시아 및 전 세계 리튬 이온 전지 소비 패턴 비교
구분 | 전 세계(%) | 러시아(%) |
가전(Consumer electronics) | 65 | 92.5 |
전기차(Electric vehicle) | 16 | 1.1 |
네트워크 드라이브(Network drives) | 7 | 2.7 |
산업(Industry) | 12 | 3.7 |
총 | 100 | 100 |
자료: 러시아내 리튬 이온 전지 소비전망
(http://alexmasanov.ru/blog/litium-ion-batteryin-russia)
ㅇ 리튬이온전지 생산의 가장 큰 장애는 전기 밀도(Power Density)와 전지 생산가격임.
- 현재까지 생산되고 있는 리튬이온전지의 전기 밀도는 250Wh/kg으로 휘발류 연료의 2%이며 수소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
- 세계 최대 리튬이온전지 생산업체인 Panasonic에 따르면 향후 5년 내 전기 밀도가 휘발류의 20-30%까지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
- 리튬이온전지 생산가격은 2017년 기준, 2010년 대비 65%가 절감되었다고 Bloomberg New Energy Finance는 발표한 바 있으나 kWh당 220-230달러 정도의 생산가로 정부 지원이 없이는 생산 수지가 맞지 않는 상황
- BNEF에 따르면, 현재의 리튬이온전지 생산가로는 2022년까지 정부지원이 필요하며, 2026년에는는 60달러까지 낮아질 전망
- 한편, 리튬이온전지의 높은 생산가는 전지 생산 원부자재로, 고가의 코발트, 희귀금속 리튬 등이 주 원자재이며, 고가인 코발트를 산화알루미늄(Aluminum Oxide) 등으로 대체하려고 개발 중이나 리튬 황 전지와 같이 안전문제 또는 효율성 문제로 대체재 개발이 어려운 상황
ㅁ 러시아 전기제품 배터리 수입동향
ㅇ 러시아의 전기 배터리 수입 의존도는 96%에 이르며, 2018년 금액 기준 수입은 전년대비 20% 상승
- 2018년 러시아의 전기 배터리 수입규모는 6억 달러
- 러시아의 전기 배터리 수입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분량(Unit)은 감소 중으로, 세계 배터리 가격의 상승이 그 원인 것으로 파악
ㅇ 2018년 러시아 수입 전기배터리 종류별로, 리튬이온전지가 비중이 가장 높음
- 러시아 수입 전기 배터리 중 리튬이온전지 비중은 27%로 960만 개이며, 두번째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니켈수소전지로 26%를 차지하고 930만 개가 수입됨.
- 세번째 비중을 차지하는 배터리는 일반 납 축전지로 20.5% 비중이고 730만 개가 수입되었으며, 출발신호 피스톨용 납 전지는 약 15%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ㅇ 러시아의 리튬이온전지 수입규모는 연간 7,000만-1억2,000만 달러로 매년 크게 증가
- 러시아 리튬이온전지 주요 수입처는 중국으로 2018년 기준 73% 비중을 차지
- 두번째 주요 수입국은 한국이나 비중은 5%에 불과하나 연간수입 증가율이 매우 높아지고 있음.
리튬 이온 전지 수입동향 (HS Code: 850760) | ||||||||
순위 | 교역국 | 금액 (천USD) | 점유율(%) | 증감률(%) | ||||
2016 | 2017 | 2018 | 2016 | 2017 | 2018 | 2018/2017 | ||
| 총계 | 70,018 | 88,443 | 123,095 | 100.0 | 100.0 | 100.0 | 39.2 |
1 | 중국 | 49,549 | 65,747 | 89,991 | 70.8 | 74.3 | 73.1 | 36.9 |
2 | 한국 | 1,252 | 2,151 | 6,311 | 1.8 | 2.4 | 5.1 | 193.5 |
3 | 일본 | 2,028 | 2,522 | 5,824 | 2.9 | 2.9 | 4.7 | 130.9 |
4 | 말레이시아 | 4,979 | 6,885 | 5,335 | 7.1 | 7.8 | 4.3 | - 22.5 |
5 | 프랑스 | 754 | 1,049 | 3,366 | 1.1 | 1.2 | 2.7 | 220.8 |
6 | 독일 | 4,181 | 1,828 | 2,066 | 6.0 | 2.1 | 1.7 | 13.0 |
7 | 대만 | 860 | 1,151 | 1,574 | 1.2 | 1.3 | 1.3 | 36.7 |
8 | 미국 | 960 | 1,682 | 1,551 | 1.4 | 1.9 | 1.3 | - 7.8 |
9 | 베트남 | 2,461 | 2,259 | 1,550 | 3.5 | 2.6 | 1.3 | - 31.4 |
10 | 홍콩 | 718 | 968 | 1,128 | 1.0 | 1.1 | 0.9 | 16.5 |
자료: GTA(https://www.gtis.com/gta/)
ㅇ 대러시아 한국 리튬이온전지 수출은 가치(금액) 기준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분량(톤) 기준으로는 2018년 동안 감소
- 2018년 기준 대 러시아 한국 리튬이온전지 수출규모는 631만 달러로 전년대비 193%가 증가하였으나 양적 기준으로는 7만8,551톤(2017년)에서 2만2,113톤으로 크게 감소
- 금액 증가율 대비 양적 기준 수출 감소는, 전지 가격이 크게 상승했거나 고가 전지 수출 비중이 높았졌음을 암시
리튬 이온 전지 (HS Code: 850760)
지표 | 2015 | 2016 | 2017 | 2018 | 증감률(%) 2017/2016 | 증감률(%) 2018/2017 | 순위 |
가치 | |||||||
USD 천 | 1,180 | 1,252 | 2,151 | 6,311 |
|
| 2 |
점유율 | 2.16 | 1.79 | 2.43 | 5.13 | 71.74 | 193.45 |
|
규모(톤) | |||||||
규모(톤) | 84,900 | 69,989 | 78,551 | 22,113 | 12.23 | - 71.85 | 9 |
자료: GTA(https://www.gtis.com/gta/)
ㅁ 시장수요동향
ㅇ 러시아 전기배터리 시장에서 가장 잘 알려진 회사는 중국의 CATL, BYD 이며 한국은 LG화학 제품임.
- 러시아 전기 배터리 시장에서 선두하는 외국 제조사는 중국의 CATL이며, Panasonic과 BYD(중국)이 다음 순위로 알려져 있음.
- CATL사의 리튬이온전지 용량은 12GWh으로 2017년 대비 74%의 용량이 증가함.
- Panasonic(일본)의 리튬이온전지 용량은 10GWh이며, BYD의 용량은 7.2GWh임.
- 러시아 시장의 4위순인 LG화학 리튬이온전지 용량은 5.5GWh이며 5순위인 Optimum Nano Energy(중국) 전지 용량은 4.5GWh임.
외국기업 전기배터리 진출 현황
기업 (웹사이트) | 국가 | 직원 수 (명) | 수익 (달러) | 주요 내용 | 리튬 이온 전지 사진 |
Samsung SDI |
한국 |
8,401 |
59억 | · 삼성 그룹 계열 · 1970년 설립 · BMW 및 Volkswagen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lug-in hybrids)용 전지 생산 |
|
LG 화학 |
한국 |
24,928 |
241억
| · 1947년 설립 · 전지 사용처: - GE : Chevrolet Volt Gen 1, Gen 2, Chevy Spark, Chevy Bolt, Cadillac ELR - Renault: Renault ZOE, Renault Twizy - Hyundai: Hyundai Sonata Hybrid - FoMoCo: Ford Focus Electric - Volvo Cars: Volvo S60 II, Volvo V60,Volvo XC90 II, Volvo S90/V90 II |
|
Panasonic |
일본 |
N/A |
253억 (자동차 산업 제품 통합 판매) | · 주로 Tesla Motors사에 자동차 전지 및 셀(cells) 생산 · 2019 년, Toyota Motor Company와 전기차용 전지 생산 위한 합작 투자 계획 중 · 지분: Toyota ( 51 %), Panasonic (49 %) · 목표: 긴 수명과 안전성을 갖춘 차세대 충전지 개발
|
|
Tesla Gigafactory |
미국 |
3,000 |
N/A | · 2016년 설립 · Tesla 리튬 이온 전지 생산 공장 · 2017년 7월, 전지 셀(cells) 생산 개입 관련 Panasonic의 공장 투자 협정 발표 · 총 투자액 20억 |
|
Automotive Energy Supply Corporation (AESC) |
일본 |
N/A |
N/A | · 2007년 Nissan, NEC 및 Tokin Corporation 과 합작 투자로 설립 · 전기차용 리튬 이온 전지 제조사 · 2010년, AESC 전지를 장착한 Nissan Leaf 전기차 생산 시작 |
|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CATL)
|
중국 |
N/A |
N/A | · 2011년 설립 · Panasonic 및 BYD가 뒤따르는 EV, HEV, PHEV의 전지 솔루션의 최초이자 최대 공급 업체 · PSA, Hyundai, BMW와 협력 |
|
BYD Auto Co., Ltd. |
중국 |
N/A |
153억 3천 | · 2002년 설립 · 충전지의 세계 선두 공급업체 · 광물 전지 셀부터 전지 팩까지의 완벽 공급체인 레이아웃 보유 · 전기차 생산 |
|
Valence Technology, Inc. |
미국 |
240 |
4천 2백만 | · 1989년 설립 · 모든 전기 및 하이브리드 개인 수송차량,하이브리드 요트 등에 다양하게 사용 가능 |
자료: 기업 웹사이트,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18-05-29/world-s-biggest-electric-car-battery-maker-curbs-ipo-ambitions,
https://reneweconomy.com.au/worlds-biggest-makers-ev-batteries-46208/
ㅇ 러시아에서 제조된 리튬이온전지는 아직 상용화되지 않은 상황이나 노보시르스크 소재 Liotech 공장에서 단기 내 생산될 예정
- 러시아에서 소규모로 생산되는 리튬이온전지는 상업용이 아니고 방위산업용이며 주문식 생산만 수행
- 현재까지 상업용 리튠이온전지 생산이 가능한 곳은 Liotech으로 알려져 있으며, Aspil Energy 등은 중국 기업과의 합작으로 완제품 조립 공장을 운영 중
- 축전지 생산으로 특화된 러시아 현지기업들은 현재 리튬이온전지를 개발 중임.
러시아 현지생산기업
기업 | 웹사이트 | 직원 수 (명) | 수익 (백만 달러) | 주요 내용 | 제품 사진 |
Aspil Energy |
|
N/A |
N/A | · 2007년 설립 · 러시아-중국 합작 생산 · 중국 선전에서 부품 생산 후, 러시아 퍄티고르스크(Pyatigorsk)에서 완제품 조립 | |
Liotech LLC |
|
161 |
4.39
| · Rosnano의 프로젝트 기업 · 2010년, 중국 기업Thunder Sky과 합작 · 트롤리 버스용 전지 생산 |
|
Accumulator company "RIGEL" |
|
500
|
10.08
| · 1897년 설립 · 러시아 최초 전지 공장 · 차량, 자율 및 무정전 전원 시스템 등 축전지 첨단화 개발 | |
Scientific and Production Association “SSK” |
|
N/A |
1.2
| · 1993년 설립 · 인도 기업Energy-Saving Technologies (INPSC)와 최대 1000Ah 용량 및 최대 300V 전압 리튬 이온 모듈 제조 기술 공동 개발 |
|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Istochnik (Source )" |
|
349 |
11.4
| · 1924년 설립 · 개발 및 생산: 니켈-수소 합금 전지, 리튬 – 이온 전지, 몰리브덴 – 리튬 전지(molybdenum-lithium) |
|
Closed JSC “Experimental Plant of the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Current Sources |
|
345 |
8.57
| · 1996년 설립 · 항공 니켈 카드뮴 전지 생산 · 석유 및 가스 산업용, 항법 장치용 리튬 전지 개발 및 생산 |
|
JSC "ENERGY" |
|
1500 |
30.47
| · 1941년 설립 · 화학 전류원 생산 전문 |
|
자료: 기업 웹사이트, Spark-Interfax 정보, http://echemistry.ru/postavshhiki/himicheskie-istochniki-toka1.html
ㅁ 현지기업 인터뷰
ㅇ Neosun Energy사 CEO Ilya Likhov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전기차 생산 대비 전기 배터리 공급은 절대부족
- Ilya Likhov 사장은 중국 광저우에 Neosun Enery 공장(태양광셀 생산)을 운영하면서 전기차량용 배터리 시장을 연구하였는데, Tesla를 비롯한 전기차 생산 증가율 대비 전기차량용 배터리 생산이 크게 부족한 상황
- 러시아 Liotech 사는 조만간 100km까지 운행이 가능한 리튬이온전지를 생산할 것, 다만 전지 생산 원가 절감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
ㅁ 유용정보
ㅇ 러시아 대표적인 운송기기 전시회(박람회) MIMS와 기술엔지니어링Innoprom (예카티린부르크)에서 관련 품목 참관 가능
전시회명 | MIMS Automechanika Moscow 2019 |
품목 | 러시아 및 동유럽의 자동차 예비부품, 자동차 부품, 장비 및 차량 유지 보수 제품 |
개최 장소 | 러시아 모스크바 엑스포센터 |
날짜 | 2019년 8월 26-29일 |
주최 | ITEMF Expo |
웹사이트 | |
전시회명 | INNOPROM 2019 |
품목 | - 첨가물 제조(Additive manufacturing) - 전력 엔지니어링 기술(Power Engineering Technologies) - 기계 건설 및 기계 공학용 구성 요소 (Machine Building and Components for mechanical engineering) - 자동화 및 IoT |
개최 장소 | 러시아 예카테린부르크 엑스포 대로 |
날짜 | 2019년 7월 8-11일 |
주최 | Formika expo |
웹사이트 | https://www.innoprom.com/ |
ㅇ 수입관세는 영세율이며, EEC의 CE인증(ATEX : On safety of equipment for work in explosive atmospheres) 필요
HS 코드 | 리튬 이온 전지(HS Code 850760) |
관세 | 0% |
소비세 | 0% |
부가가치세 | 20%(기준율) |
인증 | 관세 동맹 유라시아 경제위원회(EEC)의 "폭발성 환경에서의 작업을 위한 장비 안전성(On safety of equipment for work in explosive atmospheres)" 관련 기술 규정 준수 확인 필요 |
ㅁ 시사점
ㅇ 전기차량용 배터리뿐만 아니라 산업 자본재로 사용될 리튬이온전지의 수입대체화가 급격히 이루어질 전망
- 러시아는 수입의존도가 절대적인 전기차량용 및 산업용 리튬이온전지의 국제가격이 높아질 것임을 예상하고 있기 때문에 수입대체를 위한 연구개발의 시급성을 인지하고 있음.
ㅇ 전기차 가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핵심 부품인 전기차량용 배터리 개발은 기술제휴, 원자재 및 기술인력 소싱이 중요하기 때문에 한국과의 기술협력이 확대될 전망
- 최근 러시아 산업통상부와 스콜코보(Skolkovo) 교통기술과의 전기 배터리 개발 관련 한국과의 협력 의지를 적극 표명한 바 있음.
자료: 러시아 전기차 배터리 관련 사이트(http://www.battery-industry.ru/2018/01/15/, https://efut.ru/a/135-tjagovye-akkumuljatory-dlja-jelektromobilej.html, https://www.dw.com/ru/ , https://www.autocentre.ua, https://itc.ua/news/,http://echemistry.ru/, https://hype.ru/, http://renen.ru), GTA, 무역관 상품조사 및 인터뷰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