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만주철도주식회사, 줄여서 <만철>이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합니다.
1905년 러일전쟁의 승리로 말미암아 일본은 러시아가 남만주에 부설한 철도의 경영권을 획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남만주철도주식회사라는 기업을 설립합니다.
<만철>
정말 흥미로운 기업인데요, 아마 동아시아 최초의 <슈퍼기업>이 아니었을까 합니다.
만철 본사, 중국 대련
만철은 화물과 승객을 운송하는 철도여객사업에 안주하지 않고 후쉰과 옌타이에서 광산을 직접 운영하였고 안동, 잉커우의 항만을 운영하는 등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화물을 보관하는 창고, 여행자를 위한 숙박사업, 그리고 학교와 병원도 운영했습니다. 그리고 정유, 유리생산, 설탕정제, 그리고 강철생산에도 개입하여 정말 (동아시아에 한정해서) 문어발식 사업확장의 원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만철은 정말 이윤이 많이 남는(profitable) 기업이었습니다. 기업의 자산가치는 1908년에 1억 6천만 엔이었는데 1930년에는 10억 엔으로 성장했습니다. 그리고 이윤율은 20~30%에 달했다고 합니다. 규모로 따지면 일본의 가장 거대한 회사였으며 이윤측면에서도 가장 수익성 좋은 기업이었습니다.
1920년대 만철의 수익은 연간 2억180만 엔에 달했는데 이는 당시 일본 정부 연간 세입의 1/4에 달하는 규모였습니다.
만철은 일본인들에게 도전과 모험의 상징이자 동시에 사회적 지위를 높여주는 수단이었습니다. 1930년, 만철에 근무했던 일본인은 21,824명에 달했고 그들은 대부분 화이트 컬러 전문직, 관리자였습니다. 만철에서 그들은 괜찮은 보수를 받으며 만주 현지에서 귀족처럼 지낼 수 있었고 중국인 하인을 부릴 수 있었습니다. 일본 본국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삶의 질을 누렸습니다.
만철은 영국의 <동인도회사>를 모델로 했다고 합니다. 영국의 동인도회사처럼 하나의 거대한 국가 같은 기능(행정, 군사, 외교 등)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가장 큰 목적은 '이윤'인 그러한 존재로 거듭나길 원했죠. 이런 맥락에서 만철은 이윤을 추구하는 사기업이면서 <제국일본>의 '창'이 되는 것이죠.
그런데 만철이 운송, 철강, 숙식, 의료, 광산 등의 산업에 진출하면서도 굉장히 신경 썼던 것은 바로 <싱크탱크>입니다. 민간기업이면서 독자적인 싱크탱크를 설립하여 '지배'에 필요한 '지식'을 배양하기 위해 힘썼습니다. 왜냐하면 만주는 본국 일본으로부터 떨어져 있었으며 러시아, 중국 등과 조우한 상태에 놓여있는 상당히 위험한 위치에 있었기 때문이죠.
따라서 만철은 자원탐사, 산업개발, 경제, 안보 등의 문제를 다룰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두뇌집단이 필요했고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합니다. 만철은 마르크스주의자였던 많은 연구자들을 채용했는데, 만철은 중국의 사회경제적 조건이 미래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알고 싶어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연구자들은 중국의 사회경제적 상황으로 미루어봤을 때 중국 공산당의 발흥이 필연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일례로 오가미 스에히로 등과 같은 마르크스주의자도 <만철조사부>에 일하게 되었고 만철은 괴뢰 만주국을 실험장으로 삼아 자본주의도, 공산주의도 아닌 경제정책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이에 영향을 받은 인물이 만주국에서 일했던 기시 노부스케 (후일 일본의 수상)가 있었고 마찬가지로 만주국 장교로 복무했던 박정희입니다.
아무튼 다시 돌아와서 <만철조사부>에 대한 이야기를 더 해야 하는데, 영어로 Manchuria Railway Company Research Department라고 불리는 이 조직은 정말 동아시아 싱크탱크로서는 정말 어마무시한 규모였기 때문입니다.
이 싱크탱크는 일본의 수많은 신진 학자들을 끌어들였고 중국과 동아시아에 대한 연구에도 엄청난 영향을 끼쳤습니다. 조사부의 본부는 만철의 본사가 있던 대련에 있었지만 나중에는 선양, 하얼빈, 상하이, 난징, 뉴욕 그리고 파리에도 지부를 두게 됩니다. 그리고 6200건에 달하는 분석 보고서를 생산해냅니다.
만철의 영향 아래 만주국은 동아시아에서 최첨단, 최신의 정책과 건축기술 도시계획 등을 입안합니다. 흰 도화지 위에 그림을 그리는 것이 쉽듯이 만철은 만주 자체를 자기들의 거대한 실험장으로 삼았던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철은 동아시아의 많은 젊은 학자들을 끌어들이는 힘이 있었습니다. 자유주의자, 공산주의자, 좌파, 우파를 가리지 않고 젊고 다양한 시각을 모두 수용하는 유일한 기업이었기 때문입니다.
사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창시한 동주 이용희 교수도 1940년부터 44년까지 만주에 있을 때 <국제정치학>이라는 학문에 눈을 뜨게 되었다고 합니다. 실제로 그는 1943년 중국 대련(만철의 본사가 있는 곳)에서 E.H. Carr의 Twenty Years’Crisis(1939) 와 W. Sharp and G. Kirk, Contemporary International Politics(1940)를 사서 읽고 구미의 국제정치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그가 만철과 어떤 관계에 있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만주국과 만철과 완전히 무관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만철은 어떻게보면 바이오하자드에 나오는 <엄블렐라>같은 기업 같은 이미지가 아닐까 싶네요.
아무튼 만주국과 만철의 유산에 대해서도 더 많은 책들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첫댓글 좀 돌 맞을 소리지만, 만철에서 일하면 정말 재밌을 것 같긴 합니다. 광막한 황야에다 사상누각스러운 뻘짓을 자유롭게 하는 곳이었으니 30년대판 갓게임이랄까요 ㅋㅋㅋ... 그리고 수재들이 모이는 곳이라 그런지, 근무환경이 상당히 자유로웠다고 하더군요.
http://www.amazon.com/Manchurian-Railways-Opening-China-International/dp/0765625156/ref=sr_1_1?ie=UTF8&qid=1429535160&sr=8-1&keywords=opening+china+kotkin
코트킨이 쓴 이런 책이 있어요. 나중에 읽어보시면 좋을 듯
일본의 유명한 이슬람학자인 이즈츠 토시히코나 마에지마 신지 모두 만철과 관계가 있었죠.
이즈츠 토시히코에 따르면 그때 오오카와 슈메이에게 얘기하면 희귀하거나 비싼 책들도 다 구해줬다고.
현재 일본의 이슬람연구의 일부는 그런 면에서 만철의 역할이 컸다고 할 수 있겠죠.
만에 하나 만주국과 만철이 유지됐더라면(물론 그렇다는건 조상들로부터 우린 계속 고통받고 있다는거지만) 만주가 동아시아 학문의 중심지가 됐을수도???
만철하면 철도 하나 놓고 지배권 다투는걸로만 알고 있었는데, 이런 흥미있는 얘기도 있었네요.
격동의 20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