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감시황]
- 코스피시장 -
11/15 KOSPI 2,480.33(+0.23%) 개인 순매수(+), 원/달러 환율 하락(+), 중화권 증시 강세(+), 외국인/기관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엇갈린 Fed 위원 발언 속 차익실현 매물 등에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위험자산 선호 심리 속 일제히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482.76(+8.11P, +0.33%)으로 상승 출발. 장초반 상승폭을 키워 2,485.20(+10.55P, +0.43%)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상승폭을 축소하다 하락 전환. 오전 중 2,463.65(-11.00P, -0.44%)까지 낙폭을 키워 장중 저점을 형성한 뒤 점차 낙폭을 만회해 장중 2,470선 부근에서 하락세를 이어가는 모습. 오후 들어 낙폭을 더욱 축소한 지수는 보합권에서 등락을 거듭하다 장 막판 상승폭을 다소 키워 결국 2,480.33(+5.68P, +0.23%)에서 장을 마감.
밤사이 美 연방준비제도(Fed) 인사들의 엇갈린 발언 속 최근 지수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에 뉴욕 3대 지수가 하락한 가운데, 이날 국내증시는 뚜렷한 방향성 없이 등락을 반복하다 소폭 상승. 원/달러 환율이 재차 하락세를 보인 점과 중국 등 중화권 증시가 강세를 보인 점이투자 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 개인이 이틀 연속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다만, 외국인과 기관 동반 순매도 속 상승폭은 제한된 모습.
삼성전자, SK하이닉스, NAVER,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엔씨소프트 등 반도체, 인터넷, 제약, 게임 업종이 강세를 기록. 반면, 최근양호한 모습을 나타냈던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 2차전지 관련주가 차익실현 매물 등에 하락했고, 자동차, 음식료 업종 등도 부진한 모습.
최근 Fed의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Fed 위원들은 엇갈린 발언을 내놓고 있음. 크리스토퍼 월러 Fed 이사는인플레이션이 둔화했지만 금리 인상 완료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언급한 반면, 레이얼 브레이너드 Fed 부의장은 지난 6월 이후 역사적으로 큰 폭으로 인상된 금리 인상 속도가 곧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음.
한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첫 대면 회담을 진행한 가운데, 美/中 긴장 완화 기대감 등에 중화권 증시가 큰 폭으로 상승한 점은 긍정적으로 작용.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은 대만?경제 등 핵심 이슈에 대해 근본적인 입장차를 보였으나, 긴장격화가 충돌로 이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소통 및 원칙 마련 필요성에는 공감을 표한 것으로 전해짐.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는 7만2,883명을 기록. 지난주 화요일 대비 1만610명 증가하면서 약 2달만에 7만명대를 기록. 위중증 환자는 412명, 사망자는 39명을 기록.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8.3원 하락한 1,317.6원을 기록.
일본, 중국, 대만, 홍콩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상승.
수급별로는 개인이 3,267억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641억, 800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도 개인이 1,995계약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311계약, 164계약 순매도.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9.7bp 하락한 3.753%,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6.7bp 하락한 3.861%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33틱 오른 103.45로 마감. 외국인이 5,469계약 순매수, 은행, 투신은 2,650계약, 1,181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72틱 오른 109.46으로 마감. 외국인이 2,555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2,097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등락이 엇갈림. NAVER(+1.86%), 셀트리온(+1.62%), 포스코케미칼(+0.85%), 삼성전자(+0.81%), SK하이닉스(+0.77%), 현대모비스(+0.68%), 삼성바이오로직스(+0.55%), 삼성물산(+0.41%), 카카오(+0.34%) 등이 상승. 반면, 삼성SDI(-5.40%), LG화학(-2.20%),기아(-2.00%), SK(-1.35%), LG에너지솔루션(-1.32%), 신한지주(-1.21%), SK이노베이션(-1.11%), POSCO홀딩스(-1.02%), 현대차(-0.85%), KB금융(-0.10%)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상승 업종이 우세. 의약품(+1.88%), 의료정밀(+1.71%), 운수창고(+1.33%), 서비스업(+1.12%), 종이목재(+1.03%), 증권(+0.84%), 비금속광물(+0.66%), 기계(+0.57%), 유통업(+0.33%) 등이 상승. 반면, 보험(-1.47%), 음식료업(-1.28%), 운수장비(-0.57%), 통신업(-0.40%), 화학(-0.24%) 업종 등이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480.33P(+5.68P/+0.23%)
- 코스닥시장 -
11/15 KOSDAQ 744.96(+2.11%) 외국인/기관 순매수(+), 원/달러 환율 하락(+), 중화권 증시 강세(+)
밤사이 뉴욕증시가 엇갈린 Fed 위원 발언 속 차익실현 매물 출회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30.33(+0.79P, +0.11%)으로 강보합 출발. 장중 저점으로 출발한 지수는 시간이 지날수록 상승폭을 확대했고, 오후 장중 740선을 회복하는 모습. 장후반 상승폭을 더욱 키운지수는 결국 장중 고점인 744.96(+15.42P, +2.11%)으로 장을 마감.
美 증시 하락에도 원/달러 환율이 재차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 수하며 지수 급등을 이끌었음. 최근 대형주에 집중했던 외국인 수급이 중소형 위주로 이동하면서 코스피 대비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 특히, 반도체, 통신, 제약/바이오, 게임 업종의 강세가 두드러짐.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628억, 855억 순매수, 개인은 2,316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종목이 상승. 알테오젠(+10.42%), 동진쎄미켐(+6.41%), 천보(+5.91%), 리노공업(+5.55%), 오스템임플란트(+5.17%), 펄어비스(+5.01%), 위메이드(+4.97%), CJ ENM(+3.68%), 셀트리온제약(+3.58%), JYP Ent.(+2.46%), 카카오게임즈(+2.41%), 씨젠(+2.31%), 솔브레인(+2.29%), 스튜디오드래곤(+2.15%), 더블유씨피(+1.89%), 셀트리온헬스케어(+1.63%), 에코프로비엠(+0.78%), 엘앤에프(+0.74%) 등이 상승. 반면, 에코프로(-1.63%), HLB(-0.64%) 등은 하락.
업종별로도 대부분 업종이 상승. 반도체(+4.28%), 음식료/담배(+3.96%), 디지털컨텐츠(+3.63%), 통신서비스(+3.58%), 제약(+3.50%), 통신장비(+3.27%), 비금속(+3.03%), 기타서비스(+2.87%), IT H/W(+2.74%), 오락/문화(+2.72%), 통신방송서비스(+2.60%), IT S/W & SVC(+2.42%), 방송서비스(+2.11%), 의료/정밀 기기(+2.04%) 업종 등이 큰 폭 상승. 반면, 기타 제조(-1.03%), 운송장비/부품(-0.32%), 정보기기(-0.28%) 업종만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744.96P(+15.42P/+2.11%)
[특징 테마]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DRAM 탑재량 증가로 인한 내년 업황 반등 전망 및 버크셔해서웨이 TSMC 지분 매입 소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원희룡 국토부장관, 자카르타 중전철(MRT) 4단계 개발협력 MOU 체결 소식에 철도 테마 상승. ▷현대차그룹, 인도네시아 신수도청과 AAM 생태계 구축 관련 MOU 체결에 드론(Drone)/ UAM(도심항공모빌리티) 테마 상승.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두달만에 7만명 재돌파 소식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주요 엔터사, 지속 가능한 성장성 입증 분석 등에 엔터테인먼트 테마 상승. ▷10월 견조한 성장세 분석 등에 미용기기/ 의료기기/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보톡스(보툴리눔톡신) 테마 상승. ▷애플페이 도입 임박 속 애플페이 테마 상승. ▷컴투스 그룹 FTX 손해 관련 사실 무근 입장 및 지스타 개최를 앞둔 기대감 등에 게임/모바일게임/NFT(대체불가토큰) 테마 상승. ▷이 외에 제약업체, 마이크로바이옴, mRNA(메신저 리보핵산), 치매, 면역항암제,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갤럭시부품주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검찰, 'LH공사 보험 입찰 담합' 관련 손보사 7곳 압수수색 소식 속 일부 손해보험 테마 하락. ▷美 민주당 상원 다수당 유지 및 삼성SDI, GM·볼보와 배터리 합작사 설립 추진 소식 등으로 전일 상승했던 2차전지 테마 하락. ▷빈 살만 방한을 앞두고 네옴시티 관련주 하락. ▷지난밤 美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 OPEC 원유 수요 전망치 하향 등에 급락 속 정유 테마 하락. ▷CJ제일제당 등 주요 음식료株 3분기 실적 부진 속 일부 음식료업종 테마 하락. ▷이 외에 희귀금속(희토류 등), 자동차 대표주, 패션/의류, 비철금속, 통신, 철강 중소형, 화학섬유, 도시가스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
반도체 관련주 | DRAM 탑재량 증가로 인한 내년 업황 반등 전망 및 버크셔해서웨이 TSMC 지분 매입 소식 등에 상승 |
▷DB금융투자는 보고서를 통해 당분간 메모리 재고 증가와 가격 급락, 그에 따른 실전 부진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지만, 2023년 하반기부터 업황이 반등할 것으로 전망. DRAM 수요 반등을 기대하는 부분은 항상 DRAM 가격 급락은 차세대 디바이스의 DRAM탑재량 증가로 연결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 이번 DRAM 가격 급락 구간에도 내년 1분기까지 충분히 낮아진 DRAM 가격이 기기당 DRAM 탑재율을 증가시키며 수요를 창출시킬 것이고, 마침 메모리 업체들의 강도 높은 투자 축소와 감산으로 공급이 제한될 것이라고 밝힘. 이에 내년 하반기 이후 출하 증가가 가격 상승으로 연결돼 DRAM업황 반등을 이끌 것으로 전망 ▷NAND의 경우에도 DRAM보다는 1~2분기 업황 반등이 늦어지겠지만, NAND도 금번 가격 급락 구간에 가격이 충분히 낮아졌기 때문에 기기당NAND 탑재율을 증가시키며 수요를 창출시킬 것으로 전망. 이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분기 실적도 내년 하반기에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 ▷현지시간 14일 외신에 따르면, 버크셔해서웨이가 TSMC 주식을 처음으로 포트폴리오에 담은 것으로 전해짐. 버크셔해서웨이는 보유지분공시를 통해 3분기 약 90억 달러를 주식에 투자했고, 이 가운데 TSMC 주식 매입에 41억 달러 가량을 지출했으며, 지난 9월말 기준 버크셔해서웨이의 TSMC 주식 예탁증권 규모는 6,010만주로 알려짐. ▷한편, 피터 베닝크 ASML 최고경영자(CEO)는 오는 16일 경기도 화성시에서 열릴 ASML ‘뉴(New) 캠퍼스’ 기공식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했음. 피터 베닝크 최고경영자는 이날 서울 강남구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한국의 반도체 산업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ASML은 한국에서 장비와 기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장기적으로 고객사와 협력하며 향후 10년간 성장할 반도체 산업에 기여하겠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DB하이텍, 하나마이크론, 마이크로컨텍솔, ISC, 네패스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 |
철도 | 원희룡 국토부장관, 자카르타 중전철(MRT) 4단계 개발협력 MOU 체결 소식에 상승 |
▷전일 언론에 따르면,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인도네시아 발리를 방문해 자카르타 철도·신수도 사업에 한국 기업이 적극 참여하도록 인도네시아 정부의 관심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짐. 특히, 국토부는 원 장관이 인도네시아 교통부 장관, 신수도청 장관, 자카르타 주지사 대행을 만나 자카르타 중전철(Mass Rapid Transit·MRT) 4단계 개발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신수도 공무원 주택 시범단지 추진을 논의했다고 밝힘. ▷MOU는 올해 6월 부디 카리야 수마디 인도네시아 교통부 장관이 방한했을 당시 원 장관과 논의한 내용을 토대로 이뤄졌으며, 사업시행자인 자카르타 주와 함께 양해각서 체결로 진전시킨 것이고, 이와 관련 국토부는 그간 주로 일본이 참여해 온 MRT 사업에 국내 기업 참여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설명. ▷이 같은 소식에 대호에이엘, 대아티아이, 부산산업, 푸른기술 등 철도 테마가 상승. | |
드론(Drone)/ UAM(도심항공모빌리티) | 현대차그룹, 인도네시아 신수도청과 AAM 생태계 구축 관련 MOU 체결에 상승 |
▷현대차그룹은 전일 `B20 서밋 인도네시아 2022` 기간 중 인도네시아 신수도청과 MOU를 체결하고 인도네시아에드론택시·무인항공기 등 AAM(미래항공모빌리티)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음. AAM은 도심항공모빌리티(UAM)를 도시 간, 지역 간 이동으로 공간적 개념을 확장한 것으로, 이번 MOU는 인도네시아가 추진 중인 수도 이전에 발맞춰 신수도의 스마트 모빌리티 시스템 실현을 위한 AAM 선제 도입을 목표로 이뤄졌다고 밝힘. 이어 현대차그룹은 신수도 내 AAM 적용 계획을 수립하고 지상-항공 통합 모빌리티 개념을 검증하며, AAM을 시험 비행하는 등 AAM 생태계를 운영하는 실증사업을 펼칠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피씨디렉트, 제이씨현시스템, 한화시스템,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한국카본, 서연이화 등 드론/UAM(도심항공모빌리티)테마가 상승. | |
코로나19 관련주 |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두달만에 7만명 재돌파 소식 등에 상승 |
▷금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7만2,883명을 기록. 신규 확진자가 7만명을 넘어선 건 지난 9월15일(7만1,444명) 이후 61일 만으로 이는 지난 9월14일(9만3,949명) 이후 62일 만에 최다 규모임. 일주일 전인 지난 8일(6만2260명)과 비교해도 1만733명 증가. ▷한편, 전일부터 코로나19 BA.4/5 변이를 기반으로 개발된 화이자 개량백신(2가백신)의 접종이 시작된 가운데, 한덕수 국무총리는 전일 국무회의에서 “다소 진정 기미를 보이고 있던 코로나가 겨울철을 맞아 재유행이 본격화하고 있다”며 “확산세를 조기에 안정시키기 위한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신풍제약, 진매트릭스, EDGC, SK바이오사이언스, 일동제약 등 코로나19 관련주가 상승. | |
엔터테인먼트 | 주요 엔터사, 지속 가능한 성장성 입증 분석 등에 상승 |
▷다올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엔타사들이 각자의 과제를 해결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성을 입증하고 있다고 분석. 에스엠은 체질 개선이라는 과제를 안정적인 실적을 통해 입증하고 있으며, JYP Ent.는 성장성에 대한 우려를 아티스트의 성실한 활동으로매번 보여주고 있다고 밝힘. 와이지엔터테인먼트는 밸류에이션 매력은 여전하지만, 단일 라인업 의존을 우선 벗어나야 한다고 분석. 이중 밸류에이션 매력이 두드러지는 에스엠을 최선호주로, JYP Ent.는 차선호주로 제시한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에 JYP Ent., 에스엠, 와이지엔터테인먼트를 비롯해 IHQ, 큐브엔터 등 엔터테인먼트 테마가 상승. | |
미용기기/ 의료기기/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보톡스(보툴리눔톡신) | 10월 견조한 성장세 분석 등에 상승 |
▷다올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미용의료기기, 보툴리눔 톡신, 임플란트 업체 등이 10월 분기말 효과로 9월 대비 MoM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나, 여전히 전 부문 YoY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힘. ▷이와 관련, 미용의료기기 업체는 10월 YoY 9.7%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10월 루트로닉 수출은 YoY 52.0% 성장세를 보이면서 여전히 북미 중심의 견조한 성장세가 달성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힘. 보툴리눔 톡신 업체는 10월 미국향 1배치 기록했으며 브라질, 태국 중심ROW 국가들의 안정적 성장세에 주목해야된다고 밝힘. 임플란트 업체는 10월 수출 52.0백만 달러를 달성하여 YoY 12.9% 성장했다고 언급. 종목별로는 4분기 볼뉴머 출시로 매출 성장 기대되는 클래시스가 Top pick이며, 톡신 업종은 대웅제약의 선호 의견을 지속하고 휴젤은 상하이 락다운 해제 이후 중국 수출 회복에 주목해야 된다고 밝힘. 임플란트 업종은 오스템임플란트과 덴티움을 선호한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에 오스템임플란트, 덴티움, 휴온스 등을 비롯해 이루다, 세종메디칼, 한국비엔씨, 오스코텍 등 미용기기/의료기기/치아 치료(임플란트 등)/보톡스(보툴리눔톡신) 테마가 상승. | |
손해보험 | 검찰, 'LH공사 보험 입찰 담합' 관련 손보사 7곳 압수수색 소식 속 일부 관련주 하락 |
▷언론에 따르면, 검찰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공사) 보험 입찰에서 담합한 혐의를 받는 7개 보험회사(KB손해보험, 삼성화재, MG손해보험, 한화손해보험, 흥국화재, 메리츠화재, 코리안리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중인 것으로 전해짐. ▷이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올해 4월 손보사 7곳과 보험대리점 공기업 인스컨설팅에 시정명령과 과징금 17억6,400만원을 부과하고, 담합을 주도한 KB손보의 실무자 2명과 인스컨설팅의 대표이사를 검찰에 고발한 것에 대한 연장선인 것으로 알려졌음. ▷이에 금일 DB손해보험, 현대해상, 삼성화재 등 일부 손해보험 테마가 하락. |
[특징 종목]
= 코스피 =
특징종목 | 이슈요약 |
STX (011810) 5,160원 (+29.97%) | 태백시 희소 금속 가공 산단 추진 소식에 상한가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전일 서울 중구 본사에서 박상준 대표와 이상호 태백시장 등 양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희소 금속 등 핵심 원료 가공 산업단지 조성'을 골자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협약에 따라 동사는 첨단 기술 제품에 쓰이는 희소 금속 생산시설의 태백시 내 유치에 나설 예정이며, 희소 금속 가공 산업단지를설립해 해외에서 들여온 원광을 제련 ·정련해 고순도의 금속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할 예정. 또한,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료인 리튬·니켈을 포함해 코발트·텅스텐·탄탈륨·네오디움 등 4차 산업혁명에 필수적인 희귀 금속으로 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힘. | |
서연 (007860) 7,250원 (+29.93%) | 3분기 호실적에 상한가 |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8,003.34억원(전년동기대비 +38.73%), 영업이익 434.02억원(전년동기대비 +138.94%), 순이익 764.24억원(전년동기대비 +192.02%) | |
일동제약 (249420) 40,000원 (+29.87%) | 日 시오노기 제약과 개발중인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오는 22일 日 긴급사용승인 여부 관련 회의 개최 예정 소식에 상한가 |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와 시오노기제약이 개발중인 경구용(먹는) 코로나19 치료제 'S-217622'(제품명 조코바)의 일본 긴급사용승인 여부를 결정지을 회의가 오는 22일 개최된다는 소식이 전해짐. 승인될 경우 한국에서의 승인 논의도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전망되고 있음. ▷ 승인 여부를 결정지을 핵심 요건은 조코바 임상 3상 탑라인에 대한 협의회 평가로, 시오노기가 공개한 결과에 따르면 임상 참여 환자들 중 조코바 투여자들의 증상 해소 시간은 위약 투여자에 비해 크게 감소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동사와 최대주주인 일동홀딩스가 상한가를 기록. | |
일진디스플 (020760) 1,425원 (+14.00%) | 대주주 지분매각 검토 중단 결정 속 급등 |
▷동사는 지난 8월2일 보도된 매각 추진 기사에 대한 해명 공시로 동사의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전략적 검토를 진행하여 왔으나, 보도와 관련된 대주주 지분매각 검토는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힘. | |
서연이화 (200880) 8,900원 (+12.52%) | 3분기 호실적에 급등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072.52억원(전년동기대비 +38.72%), 영업이익 361.55억원(전년동기대비 +88.44%), 순이익 681.99억원(전년동기대비 +152.16%). | |
한국카본 (017960) 12,100원 (+11.01%) | 3분기 실적 호조 및 내년 사상 최대 실적 경신 기대감 등에 급등 |
▷다올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2에 매출액은 1,140억원(YoY +46%, QoQ +59%), 영업이익은 120억원(+37%, +381%)으로 서프라이즈를 시현했다고 언급. LNG 보냉재 매출이 늘어난 만큼 영업이익률 10.5%로 7.0%p 수익성 개선을 확인했다고 언급. ▷아울러 조선사들의 LNG선 건조 스케쥴에 따라서 2023년에는 2020년을 넘기는 사상 최대 매출과 사상 최대 이익이 예약된 상태라고 언급. ▷투자의견 : BUY -> STRONG BUY[상향], 목표주가 : 17,000원[유지] | |
삼화콘덴서 (001820) 38,400원 (+10.98%) | 3분기 실적 컨센서스 부합 분석 및 4분기 가동률 개선 기대감 등에 급등 |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매출액은 602억원(QoQ -10.1%, YoY -14.4%), 영업이익은 67억원(QoQ -34.4%, YoY -48.9%)으로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했다고 언급. 산업 및 전장향 MLCC 출하는 견조했으나 가전, TV 등 IT향 수요 위축 영향이 컸다고 분석. ▷이어 3Q22 재고 관리와 가동률 조정이 tight하게 이루어져 4Q22 가동률은 전분기보다 개선될 것으로 전망. MLCC 전방 믹스도 전장 비중이 40% 수준에 달해 다른 업체 대비 실적 방어에도 유리하다고 언급. ▷다만, IT 수요 위축 우려를 반영해 2023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각각 14%, 21% 하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도 하향 조정한다고 언급.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75,000원 -> 50,000원[하향] | |
이수페타시스 (007660) 6,320원 (+10.30%) | 3분기 호실적에 급등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707.19억원(전년동기대비 +32.36%), 영업이익 343.25억원(전년동기대비 +101.54%), 순이익 321.85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 |
KC코트렐 (119650) 2,290원 (+9.83%) | 유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 급등 |
▷전일 장 마감 후 유상증자로 인한 권리락 효과가 금일 발생한다고 공시. 기준가격은 2,085원임. ▷한편,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60.02억원(전년동기대비 +14.87%), 영업이익 20.33억원(전년동기대비 +99.11%), 순손실 37.2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 |
현대리바트 (079430) 10,050원 (+7.72%) | 사우디 빈 살만 왕세자 방한 예정 속 현대건설 수주 사우디 프로젝트 가설공사 담당 사실 부각 등에 강세 |
▷17일 사우디아라비아의 빈 살만 왕세자가 한국을 방문할 예정인 가운데, 시장에서는 빈 살만 왕세자가 주도하고 있는 네옴시티 사업과 관련해 동사의 수혜가 기대되고 있음.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는 현대건설이 사우디에서 수주한 Marjan Increment Program PKG 6, Marjan Increment Program PKG 12, Jafurah Gas Processing Facilities Project 등의 가설공사를 담당하고 있는것으로 알려짐. | |
케이씨 (029460) 17,200원 (+7.50%) | 3분기 호실적에 강세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390.42억원(전년동기대비 +118.99%), 영업이익 297.78억원(전년동기대비 +348.53%), 순이익 329.63억원(전년동기대비 +261.02%). | |
DB하이텍 (000990) 49,000원 (+7.46%) | 3분기 호실적에 강세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473.80억원(전년동기대비 +36.21%), 영업이익 2,203.56억원(전년동기대비 +85.20%), 순이익 1,708.27억원(전년동기대비 +84.34%). | |
코스맥스 (192820) 59,500원 (+7.21%) | 3분기 양호한 실적 등에 강세 |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매출액 3,968억원(전년동기대비 +1%), 영업이익 197억원(전년동기대비 -21%)을 기록해 우려대비 양호한 실적을 보였다고 밝힘. 이는 중국 화장품 수요 위축이 중국 법인뿐 아니라 한국법인에도 영향을 미쳤으나 대손상각비 환입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밝힘. ▷아울러, 중국의 코로나19 방역 정책에 변화가 일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상승하고 있다며 내년 이익전망 미세조정에도 불구하고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60,000원 -> 65,000원[상향] | |
이연제약 (102460) 21,950원 (+7.07%) | 3분기 실적 호조에 강세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89.01억원(전년동기대비 +6.31%), 영업이익 28.78억원(전년동기대비 +5,664.89%), 순이익 20.87억원(전년동기대비 +14,334.75%). | |
화승코퍼레이션 (013520) 1,570원 (+6.80%) | 3분기 흑자전환에 강세 |
▷전일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191.75억원(전년동기대비 +29.89%), 영업이익 173.51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220.33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 |
코리아써키트 (007810) 16,450원 (+6.47%) | 3분기 호실적 분석 및 FC BGA 매출 확대 기대감 등에 강세 |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별도기준 3분기 매출액 2,282억원(+28.9% yoy/ +12.2% qoq), 영업이익 275억원(+29.4% yoy/ +21.1% qoq)으로 분기 기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힘. 연결기준 매출액은 4,342억원(+7.0% yoy/ +9.2% qoq), 영업이익은 398억원(+11%yoy/ +20.2% qoq)으로 분기 기준으로 최고 매출을 기록했지만, 종전 추정대비 소폭 하회했다고 분석. 별도/연결 기준으로 3분기 실적은 전분기, 전년동기대비 성장이 긍정적이라고 밝힘. ▷아울러 2023년 미국 고객사향으로 FC BGA 매출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2023년 패키지 매출은 5,993억원으로 2022년 4,389억원(추정)대비 36.5%(yoy) 성장할 것으로 전망. ▷다만, 2022년 및 2023년 매출과 영업이익을 종전대비 하향 조정하면서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1,000원 -> 27,000원[하향] | |
한화손해보험 (000370) 3,940원 (+5.77%) | 3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 |
▷전일 장 마감 후 22년3분기 실적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1.49조원(전년동기대비 +2.3%), 영업이익 1,101.03억원(전년동기대비 +20.6%), 순이익 832.85억원(전년동기대비 +28.0%). | |
황금에스티 (032560) 7,860원 (+5.08%) | 인도네시아 니켈 공장 화재 속 니켈 활용 스테인리스 코일 판매 사실 부각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中 중웨이구펀(CNGR)이 운영하는 인도네시아 니켈 매트 공장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짐. 해당 공장은 中 중웨이구펀과 싱가포르 금융사 리케자와 합작사를 설립해 운영 중인 공장이며 이번 화재로 인해 생산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에 런던거래소에서 니켈 가격이 급등세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니켈을 활용해 제작하는 스테인리스 코일을 판매하고 있는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 |
삼양식품 (003230) 102,500원 (-5.53%) |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 등에 하락 |
▷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매출액 2,115억원(전년동기대비 +30.8%), 영업이익 193억원(전년동기대비 +27.3%)을 기록해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하회했다고 밝힘. 이는 주요 원부재료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동종업계 내에서 가장 늦은 가격 인상을 결정했기 때문이라고 밝힘. ▷다만, 11월1일자로 가격 인상이 단행되어 원가율 상승 부담은 올해 하반기가 정점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60,000원[유지] | |
애경케미칼 (161000) 9,880원 (-5.90%) | 3분기 실적 부진에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449.98억원(전년동기대비 +30.98%), 영업이익 88.03억원(전년동기대비 -60.88%), 순이익 131.08억원(전년동기대비 -24.85%). | |
세아특수강 (019440) 23,050원 (-6.49%) | 3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696.17억원(전년동기대비 +15.98%), 영업이익 62.45억원(전년동기대비 -51.39%), 순이익 41.23억원(전년동기대비 -55.65%). | |
그린케미칼 (083420) 10,450원 (-9.91%) | 3분기 실적 부진에 급락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736.69억원(전년동기대비 -3.92%), 영업이익 32.14억원(전년동기대비 -44.52%), 순이익 33.18억원(전년동기대비 -33.35%). | |
에스엘 (005850) 28,900원 (-12.02%) |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 등에 급락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조714억원(전년동기대비 +50.30%), 영업이익 485.16억원(전년동기대비 +114.01%), 순이익 437.42억원(전년동기대비 +162.73%).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크게 하회했다고 밝힘. 이는 한국법인의 성과금 약 200억원 지급, 미국법인의 인건비 부담과 높은 인력 Turn over에 따른 생산효율성 하락이 부각되었기 때문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5,000원 -> 40,000원[하향] | |
에이프로젠 (007460) 720원 (-26.53%) | 66.66% 비율 감자 결정 등에 급락 |
▷66.66% 비율의 감자 결정(기준일:2022-12-30, 상장예정:2023-01-19) 공시. ▷아울러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76.80억원(전년동기대비 +315.75%), 영업손실 402.6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206.17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이 같은 소식에 에이프로젠 H&G, 에이프로젠제약도 동반 하락. |
= 코스닥 =
특징종목 | 이슈요약 |
카나리아바이오 (016790) 19,100원 (+26.49%) | GSK, PARP 억제제 적응증 축소에 따른 반사이익 기대감에 급등 |
▷언론에 따르면, GSK가 지난 9월 제줄라의 4차 이상 치료 적응증을 자진취하 한데 이어 11월에는 2차 이상 치료에서 BRCA변이 이외의 환자에서 사용을 제한한다는 서한을 의료계에 전달한 가운데, 동사의 반사 수혜가 예상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나한익 대표는 "BRCA변이 이외 환자군에서 PARP억제제를 사용한 환자들의 전체 생존기간이 오히려 줄어드는 결과가 나왔다는 것은 PARP억제제가 화학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높이는 것이 아닌지 의심할 수 밖에 없다"라며, "따라서, BRCA변이 이외 환자 시장에서 완전히 퇴출될 수 있다고도 보여진다. 그렇다면 오레고보맙이 BRCA변이 이외 시장에서는 유일한 치료제가 될 수 있다"고 밝힘. 이어 "PARP억제제 입지가 위축되면서 다국적 제약사들과의 판권 계약 협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언급했음. | |
와이오엠 (066430) 1,550원 (+21.57%) | 유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 급등 |
▷전일 장 마감 후 유상증자로 인한 권리락 효과가 금일 발생한다고 공시. 기준가격은 1,275원임. | |
아스타 (246720) 4,455원 (+14.52%) | 사우디-한국 산업단지 프로젝트 참여 재부각 속 네옴시티 관련주로 부각에 급등 |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동사는 사우디-한국 산업단지 프로젝트(Saudi-Korea Industrial Village(SKIV) Project)에 참여기업으로 선정되어, 2021년부터 프로젝트가 시작된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프로젝트 전체 투자금액 중 동사-사우디 합작회사의 투자금액은 3억5,000만달러(한화 4,000억원) 또는 그 이상으로 진행될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동사가 사우디 네옴시티 관련주로 부각되는 모습. | |
대성창투 (027830) 3,675원 (+10.69%) | 사우디 투자청, 시프트업 본사 방문 소식 속 시프트업 투자 이력 부각에 급등 |
▷언론에 따르면, 살레 알리 캅티(Saleh Ali Khabti) 사우디아라비아 투자부 차관과 모태펀드 운용사인 사우디벤처캐피탈(SVC) 고위 관계자들이 지난 10일 강남구 시프트업 본사를 방문한 것으로 전해짐. ▷이는 지난 9월 국부펀드(PIF)와 사우디벤처캐피탈의 방문 이후 두 번째 방문으로, 김형태 시프트업 대표가 직접 나서서 회사를 소개하고 내부 탐방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음. 또한, 이번 방문을 통해 향후 다양한 협업 가능성이 나오고 있는 상황으로 알려졌음. ▷이 같은 소식 속 ‘승리의 여신: 니케’ 개발사 시 프트업에 투자한 바 있는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 |
압타바이오 (293780) 15,300원 (+10.07%) | 美 신경학회서 동물실험 파킨슨병 치료 효과 입증 발표 예정 소식에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샌디에이고 현지 시각 기준 11월 12일부터 16일에 개최되는 미국 신경과학학회(Society for Neuroscience, SFN)에서 'APX-NEW(Comp-11)'의 파킨슨병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고 밝힘. ▷지난 4월 파킨슨병 치료제 분야 전문가인 미국 델라웨어 대학 김용환 교수 연구팀과 'APX-NEW'의 파킨슨병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하고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를 논문으로 게재했으며, 논문 게재에 이어 ‘APX-NEW(Comp-11)’의 파킨슨병 치료 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 결과를 이번 학회에서 발표할 예정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의 관계자는 "지난 논문 게재에 이어 파킨슨병의 주요 발병 기전인 알파시누클레인의 축적에 NOX 단백질이 핵심적인 기전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혀냈다"며 "NOX 단백질의 기능 저해를 통한 산화스트레스 조절이 파킨슨병을 치료할 수 있는 혁신적인 해결책이 될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 |
티에스이 (131290) 43,450원 (+9.86%) | 4분기 실적 반등 전망 등에 급등 |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2 매출액 894억원(+22% YoY), 영업이익 87억원(-20% YoY)을 기록해 추정치인 영업이익 199억원을 하회했다며, 판관비 증가, 해외向 프로브 카드 단가 하락, 비수기 영향 등에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고 분석. ▷다만, 4분기 반등에 주목할 시기라며, 프로브카드 해외向 매출 및 수익성 부진은 지속될 전망이지만, 고수익성 제품인 소켓 및 자회사 실적 개선을 기대해 볼만하다고 언급. 아울러 2023년 소켓 및 프로브카드 증설에 따른 생산 능력 확대가 본격 가동 될 것으로 전망. 이에 2023년 소켓 매출액은 전년대비 33% 증가한 534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70,000원[유지] | |
위메이드플레이 (123420) 22,050원 (+9.70%) | 애니팡 IP 기반 모바일게임 3종 글로벌 사전예약 개시 속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애니팡 IP 기반 모바일 게임 3종(‘애니팡 매치’, ‘애니팡 블라스트’, ‘애니팡 코인즈’)의 글로벌 사전 예약을 진행한다고 밝힘. 해당 게임은 대중적인 애니팡 IP 활용을 공통 분모로 동사가 동시 사전 예약에 나서는 글로벌 출시 준비작이며, 특히 '애니팡4' 기반의 '애니팡 매치'와 '애니팡 터치'를 활용한 '애니팡 블라스트', 신작 '애니팡 코인즈'의 동시 공개는 동사만의 풍성한 캐주얼 게임 라인업을 선보이는 기회가 될 것 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음. ▷이와 관련 이호대 동사 대표는 "애니팡 IP와 자사의 개발 노하우를 더한 신작 3종은 해외의 다양한 캐주얼 게임 팬들에 대한 공동 마케팅으로 시너지 효과를 더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연말부터 내년까지 준비한 다양한 게임 라인업으로 해외 시장 공략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힘. ▷한편, 신작 모바일게임 3종은 위믹스 플레이를 통해 연말께 출시될 예정. | |
에이비엘바이오 (298380) 23,450원 (+9.58%) | 3분기 흑자전환에 급등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83.78억원(전년동기대비 +6,656.51%), 영업이익 249.92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274.49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 |
ISC (095340) 34,700원 (+9.29%) | 인텔 사파이어 래피즈 출시 수혜 기대감 및 매수 적기 분석 등에 급등 |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매출액은 490억원으로 전년대비 26.4% 증가했고, 당사 추정치 496억원에 부합한 반면,영업이익은 158억원(+72.7% YoY, 영업이익률 32.3%)을 기록해 추정치 176억원을 하회했다고 밝힘. 이는 서버 CPU향 러버 소켓 매출액이 늘어나면서 전년대비 영업이익 증가세는 유지했지만, 상대적으로 마진율이 낮은 저부가 제품 매출도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설명. ▷다만, 비메모리 매출 비중 확대로 샘플(R&D) 소켓 매출 비중도 3분기 기준 55%로 늘어나 메모리 반도체 업황 둔화에도 실적의 하방 경직성이 높아졌다며, 메모리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지금이 매수 적기라고 밝힘. ▷아울러 인텔의 사파이어 래피즈가 2023년 1월 10일에 출시될 예정인 가운데, DDR5용 메모리 소켓(DDR4 대비 ASP 30% 이상 상승 추정)이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출하될 것으로 전망. 이에 사파이어 래피즈용 비메모리 소켓 매출액은 내년 초부터 반영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2022년 CPU/AP 합산 매출액은 전년대비 175.5% 증가한 757억원, 2023년은 28.7% 늘어난 974억원으로 추정.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50,000원[유지] | |
이엠앤아이 (083470) 6,500원 (+8.33%) | 3분기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강세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02.03억원(전년동기대비 +14.07%), 영업이익 0.31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2.46억원(전년동기대비 +3.41%). | |
에치에프알 (230240) 34,650원 (+8.28%) | 3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분석 및 성장세 지속 전망 등에 강세 |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매출액은 1,270억원(+122%, 이하 YoY), 영업이익은 413억원(+226%)으로 컨센서스(OP 269억원)를 상회하는 호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힘. 최근 연속적인 분기 서프라이즈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환율 효과, 기존 북미 고객사향 추가 물량 공급 확대 등 때문이라고 언급. ▷아울러 22년 업종 내 압도적인 실적 흐름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북미 고객사의 투자 흐름 및 신규사업(Private 5G) 구체화까지 감안할 때 관련 성장세는 23년까지 가파르게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8,000원 -> 50,000원[상향] | |
원익QnC (074600) 27,700원 (+8.20%) | 3분기 호실적에 강세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039.37억원(전년동기대비 +28.52%), 영업이익 370.72억원(전년동기대비 +38.88%), 순이익 238.80억원(전년동기대비 +42.54%). | |
이노와이어리스 (073490) 29,900원 (+7.94%) |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에 강세 |
▷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가 주식회사 엘아이지에 보유주식 1,414,852주를 470.29억원에 양도하는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변경예정일:2022-11-16) 공시. | |
네오오토 (212560) 7,460원 (+7.34%) | 3분기 실적 호조에 강세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397.61억원(전년동기대비 +25.40%), 영업이익19.42억원(전년동기대비 +6,747.01%), 순이익 24.44억원(전년동기대비 +388.51%). | |
서플러스글로벌 (140070) 2,965원 (+7.23%) | 3분기 실적 호조에 강세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34.27억원(전년동기대비 +27.53%), 영업이익 97.53억원(전년동기대비 +61.39%), 순이익 59.01억원(전년동기대비 +31.50%). | |
컴투스홀딩스 (063080) 45,300원 (+7.22%) | 엑스플라, 사가와 웹3 인프라 강화 파트너십 체결 등에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메인넷 엑스플라(XPLA)가 웹3 인프라 기업 ‘사가(SAGA)’와 웹3 게임 사업 협력을 위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엑스플라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사가의 기술을 통합해 웹3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며, 양사의 공동 웹3 프로젝트 참여 및 기술 워크샵 진행 등 향후 구체적인 로드맵을 실현해갈 예정임. ▷동사 관계자는 "누구나 마우스 클릭 한 번으로 자체 체인을 구축할 수 있는 사가의 솔루션은 XPLA가 추구하는 철학과 부합한다"며, "양사는 긴밀한 기술적 협력을 통해 콘텐츠 창작자와 이용자 모두의 이익이 선순환되는 웹3 생태계를 이뤄가겠다"고 밝힘. ▷한편, 최근 FTX 거래소 붕괴 사태로 엑스플라(XPLA) 코인의 재무적 손실이 발생했다는 주장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했음. 동사 측은 "최근 문제가 불거진 FTX 거래소에는 컴투스홀딩스 등 컴투스 그룹이 투자한 바가 없기 때문에 재무적인 손실은 전혀 없는 상황"이라며, "XPLA 프로젝트를 주도한 컴투스 그룹이 FTX 때문에 손해를 봤을 것이라는 막연한 추측은 사실과 다르다"고 언급했음. | |
동성화인텍 (033500) 11,800원 (+6.79%) | 수주잔고 증가 추세 지속 및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상회 등에 강세 |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2년 3분기 말 기준 수주잔고는 1.6조원으로 3년치 이상 일감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힘. 이에 향후 매출 규모 성장에 따른 고정비 부담 감소 영향 등을 감안하면 중장기적 이익 성장 모멘텀은 충분히 확보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힘. ▷아울러 동사의 영업이익은 112억원을 기록하면서 전분기대비 91.8%, 전년대비 108.6% 증가해 컨센서스를 상회했다고 밝힘. 이는 외형 성장에 따른 고정비 부담 감소가 나타났으며 PU단열재에서 이익률 높은 반제품 비중이 증가했기 때문 등으로 분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7,000원[유지] | |
인탑스 (049070) 31,200원 (+6.67%) | 3분기 실적 추정치 상회 분석 및 성장 모멘텀 기대감 등에 강세 |
▷이베스트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2 매출액은 2,335억원(-22.8% yoy, -16.7% qoq), 영업이익은 235억원(+4.8% yoy, -22.4% qoq), 순이익(지배주주)은 198억원(+8.8% yoy, -29.6% qoq)으로 기존 추정치(Sales 2,187억원, OP 146억원, NI 95억원)대비 OP 61.3% 상회한 수준을 기록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신사업에서 영업이익이 큰 기여가 있음을 확인하였다고 설명. ▷아울러 동사의 성장모멘텀은 EMS(Electronics Manufacturing Service: 전자제품 전문 생산, IT & 바이오 기업을 대상으로 고객사의 제조기능 전체를 담당)로 특히, 국내 대형 기업과 협업으로 의료용 로봇 생산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라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0,000원[유지] | |
삼아제약 (009300) 16,000원 (+6.67%) | 3분기 호실적에 강세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15.21억원(전년동기대비 +76.18%), 영업이익58.46억원(전년동기대비 +381.18%), 순이익 41.27억원(전년동기대비 +567.69%). | |
쏠리드 (050890) 5,390원 (+6.10%) | 3분기 실적 호조에 강세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29.43억원(전년동기대비 +65.55%), 영업이익 101.00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154.36억원(전년동기대비 +1,037.87%). | |
아우딘퓨쳐스 (227610) 2,545원 (-6.09%) | 3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80.30억원(전년동기대비 -21.43%), 영업손실 22.84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 확대), 순이익 10.00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 |
나래나노텍 (137080) 8,990원 (-6.35%) | 3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01.99억원(전년동기대비 -19.24%), 영업이익 11.24억원(전년동기대비 -79.93%), 순이익 21.51억원(전년동기대비 -54.41%). | |
비에이치아이 (083650) 8,490원 (-6.70%) | 164.50억원 규모 파생상품거래 손실 발생에 약세 |
▷전일 장 마감 후 164.50억원(자기자본대비 25.5%) 규모 파생상품거래(통화선도, 외환스왑거래) 손실 발생 공시. ▷한편,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859.49억원(전년동기대비 +61.84%), 영업이익 14.22억원(전년 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손실 79.4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 |
더코디 (224060) 9,400원 (-6.93%) | 3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5.74억원(전년동기대비 -69.49%), 영업손실 21.36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 확대), 순이익 11.30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 |
이노시스 (056090) 1,280원 (-7.25%) | 1,178.32억원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에 약세 |
▷전일 장 마감 후 1,178.32억원(자기자본대비 225.06%) 규모 파생상품 거래((전환사채등) 평가손실 발생) 손실 발생 공시. | |
에스티큐브 (052020) 17,500원 (-7.65%) | 3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5.17억원(전년동기대비 -31.32%), 영업손실 54.3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 확대), 순손실 51.9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 확대). | |
풍원정밀 (371950) 13,300원 (-8.59%) | 3분기 적자전환에 약세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86.59억원(전년동기대비 -19.85%), 영업손실 4.3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6.32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 |
코이즈 (121850) 2,345원 (-8.75%) | 3분기 적자지속에 약세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8.00억원(전년동기대비 -54.30%), 영업손실 21.48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22.13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 |
대창솔루션 (096350) 378원 (-8.92%) | 3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27.98억원(전년동기대비 -3.68%), 영업손실 13.03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18.34억원(전년동기대비 적지지속). | |
엠피대산 (065150) 460원 (-10.51%) | 3분기 실적 부진 등에 급락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19.16억원(전년동기대비 +173.21%), 영업손실 39.04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 확대), 순손실 25.48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폭 확대). | |
엑스큐어 (070300) 3,490원 (-13.72%) | 3분기 실적 부진에 급락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28.23억원(전년동기대비 -4.61%), 영업이익 0.77억원(전년동기대비 -73.66%), 순이익 4.23억원(전년동기대비 +16.73%). | |
노바렉스 (194700) 10,350원 (-14.81%) | 3분기 실적 부진에 급락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81.41억원(전년동기대비 -14.29%), 영업이익41.81억원(전년동기대비 -29.10%), 순이익 37.62억원(전년동기대비 -30.33%). | |
에스티오 (098660) 2,840원 (-15.98%) | 3분기 적자지속에 급락 |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22년3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44.76억원(전년동기대비 +16.70%), 영업손실0.7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2.14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 |
메디콕스 (054180) 7,970원 (-22.24%) | 120.32억원 규모 파생상품 거래손실 발생에 급락 |
▷전일 장 마감 후 120.32억원(자기자본대비 19.50%) 규모 파생상품거래 손실 발생 공시. ▷한편, Oramed Pharmaceuticals, Inc.,와 경구용 인슐린 캡슐 (ORMD-0801)의 국내 유통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 선급금 및 마일스톤비용은 500만 달러(66.70억원) 규모이며, 전년도 자기자본(연결기준) 대비 10.08%임. | |
코센 (009730) 2,520원 (-26.64%) | 상장유지 결정 속 거래재개 첫날 급락 |
▷전일 장 마감 후 코스닥시장위원회 심의결과, 상장유지 결정으로 금일 거래재개 공시. 상장 유지 결정 등으로 관리종목 지정사유 일부 해제 공시. ▷한편, 동사는 지난 20년9월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사유발생)으로 주식 매매 거래가 정지된 바 있음. |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종 목 | 상한가 일수 | 사유 |
KH 건설 (226360) 468원 (+30.00%) | 1 | 우크라이나 재건 수혜 기대감 지속 부각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상승 속 상한가 |
STX (011810) 5,160원 (+29.97%) | 1 | 태백시 희소 금속 가공 산단 추진 소식에 상한가 |
일동제약 (249420) 40,000원 (+29.87%) | 1 |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및 日 시오노기 제약과 개발중인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오는 22일 日 긴급사용승인 여부 관련 회의 개최 예정 소식에 상한가 |
일동홀딩스 (000230) 33,950원 (+29.83%) | 1 |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및 자회사 일동제약, 日 시오노기 제약과 개발중인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오는 22일 日 긴급사용승인 여부 관련 회의 개최 예정 소식에 상한가 |
서연 (007860) 7,250원 (+29.93%) | 1 | 3분기 호실적에 상한가 |
피씨디렉트 (051380) 10,350원 (+26.84%) | 현대차그룹, 인도네시아 신수도청과 AAM 생태계 구축 관련 MOU 체결에 드론 테마 상승 속 급등 | |
카나리아바이오 (016790) 19,100원 (+26.49%) | GSK, PARP 억제제 적응증 축소에 따른 반사이익 기대감에 급등 | |
와이오엠 (066430) 1,550원 (+21.57%) | 유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 급등 | |
부산산업 (011390) 79,000원 (+17.21%) | 철도 테마 상승 속 3분기 흑자전환에 급등 | |
오스코텍 (039200) 20,500원 (+17.14%) | 10월 견조한 성장세 분석 등에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 |
하나마이크론 (067310) 11,800원 (+15.12%) | DRAM 탑재량 증가로 인한 내년 업황 반등 전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한국비엔씨 (256840) 6,640원 (+14.88%) | 보톡스/의료기기 테마 상승 및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두달만에 7만명 재돌파 소식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아스타 (246720) 4,455원 (+14.52%) | 의료기기 테마 상승 및 사우디-한국 산업단지 프로젝트 참여 재부각 속 네옴시티 관련주로 부각에 급등 | |
STX엔진 (077970) 15,100원 (+14.39%) | STX, 태백시 희소 금속 가공 산단 추진 소식 속 과거 STX그룹 계열사였던 점이 부각되며 급등 | |
일진디스플 (020760) 1,425원 (+14.00%) | 대주주 지분매각 검토 중단 결정 속 급등 | |
서연이화 (200880) 8,900원 (+12.52%) | 일부 UAM(도심항공모빌리티) 테마 상승 속 3분기 호실적에 급등 | |
에이프릴바이오 (397030) 18,700원 (+12.31%) |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국가신약개발사업단 지원 과제 선정 모멘텀 지속에 급등 | |
마이크로컨텍솔 (098120) 6,240원 (+12.03%) | DRAM 탑재량 증가로 인한 내년 업황 반등 전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셀리버리 (268600) 14,950원 (+11.99%) |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두달만에 7만명 재돌파 소식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IHQ (003560) 652원 (+11.84%) | 주요 엔터사, 지속 가능한 성장성 입증 분석 등에 엔터테인먼트 테마 상승 속 급등 | |
한국카본 (017960) 12,100원 (+11.01%) | 일부 UAM(도심항공모빌리티) 테마 상승 속 3분기 실적 호조 및 내년 사상 최대 실적 경신 기대감 등에 급등 | |
샤페론 (378800) 8,070원 (+11.00%) |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두달만에 7만명 재돌파 소식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삼화콘덴서 (001820) 38,400원 (+10.98%) | 3분기 실적 컨센서스 부합 분석 및 4분기 가동률 개선 기대감 등에 급등 | |
비씨월드제약 (200780) 8,070원 (+10.85%) |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두달만에 7만명 재돌파 소식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신풍제약 (019170) 30,300원 (+10.79%) |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및 피라맥스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임상 2상 종료 모멘텀 지속 속 급등 | |
대성창투 (027830) 3,675원 (+10.69%) | 사우디 투자청, 시프트업 본사 방문 소식 속 시프트업 투자 이력 부각에 급등 | |
이수페타시스 (007660) 6,320원 (+10.30%) | 3분기 호실적에 급등 | |
압타바이오 (293780) 15,300원 (+10.07%) |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美 신경학회서 동물실험 파킨슨병 치료 효과 입증 발표 예정 소식에 급등 | |
티에스이 (131290) 43,450원 (+9.86%) |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4분기 실적 반등 전망 등에 급등 | |
KC코트렐 (119650) 2,290원 (+9.83%) | 유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 급등 | |
오로스테크놀로지 (322310) 12,900원 (+9.79%) | DRAM 탑재량 증가로 인한 내년 업황 반등 전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위메이드플레이 (123420) 22,050원 (+9.70%) | 애니팡 IP 기반 모바일게임 3종 글로벌 사전예약 개시 속 급등 | |
대모 (317850) 17,050원 (+9.65%) | 우크라이나 재건 수혜 기대감 지속 부각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에이비엘바이오 (298380) 23,450원 (+9.58%) | 3분기 흑자전환에 급등 | |
메카로 (241770) 12,050원 (+9.55%) | DRAM 탑재량 증가로 인한 내년 업황 반등 전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대호에이엘 (069460) 1,625원 (+9.43%) | 원희룡 국토부장관, 자카르타 중전철(MRT) 4단계 개발협력 MOU 체결 소식에 철도 테마 상승 속 급등 | |
ISC (095340) 34,700원 (+9.29%) |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인텔 사파이어 래피즈 출시 수혜 기대감 및 매수 적기 분석 등에 급등 | |
레고켐바이오 (141080) 38,350원 (+9.26%) | 의료기기 테마 상승 및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두달만에 7만명 재돌파 소식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