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Q10은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CoQ10 에서 Q는 구조에서 Qunone을 의미하고, 10은 구조에서 Isoprenoid 단위가 10개라는 뜻입니다.
Ubidecarenone, Ubiquinone, Ubidecaprenone, Ubiquinone10 등 보통 "유비퀴논"이라는 말을 많이 쓰는데,
"Ubiquitous"에서 온 말로 도처에 널리 퍼져있다는 뜻입니다.
케미칼 이름도 있지만, 이것은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1) 2-[(all-E)-3,7,11,15,19,23,27,31,35,39-decamethyl tetraconta-2,6,10,14,18,22,26,30,34,38-decaenyl]-5,6-dimethoxy-3-methyl benzene-1,4-dione
2) 2-[(2E,6E,10E,14E,18E,22E,26E,30E,34E,38E)-3,7,11,15,19,23,27,31,35,39-decamethyl-2,6,10,14,18,22,26,30,34,38-tetracontadecaenyl]-5,6-dimethoxy-3-methyl-2,5-cyclohexadiene-1,4-dione
3) 2-[(all-E)-3,7,11,15,19,23,27,31,35,39-decamethyl-2,6,10,14,18,22,26,30,34,38-tetracontadecaenyl]-5,6-dimethoxy-3-methyl-p-benzoquinone
4) 2,3-dimethoxy-5-methyl-6-decaprenyl-benzoquinone
2. 개요
1) 생체내 모든 세포에서 발견되며 특히 심장, 간, 잇몸의 미토콘드리아에 많다.
2) 체내 합성 시7개 이상의 비타민이 필요하며, 17단계를 거쳐 생합성됨.
3) Vitamin E와 K와 화학적 구조 비슷, fatty substance
4) 체내 영양 부족을 방지하며 에너지를 공급해준다.
5) 나이가 들면서 체내합성이 감소하고, 음식물 섭취로도 불충분하다.
6) 오랜 기간 복용하여도 부작용 및 독성이 없다.
7) 캐나다, 미국, 일본에서는 건강보조식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3. History
1) 1957년 (Wisconsin University, Dr. Karl Folkers) : Powerful antioxidant 발견, isolation
2) 1958년 (Merck) : 화학적 구조 결정, fermentation에 의해 제조
3) 1960년대 중반 (Japan) : 협심증 치료효과 발견
4) 1972년 (Italy) : 심장관련병에서 CoQ 부족 입증
5) 1970년 중반 (Japan) : 의학적 시도를 위해 대량 생산
6) 1978년 (Peter Mitchell) : 전자 전달계로 Nobel prize 수상
7) 1980년초 : 치료제로서 대량 생산, 피나 조직에서 CoQ10 측정
CoQ10 연구의 아버지 포커스박사
CoQ10의 발견 및 화학구조를 결정한 Dr. Karl Folkers는 CoQ10의 기능을 칭찬하여 비타민 Q로 부르고, CoQ10 연구를 기초로 구축하였다.
그는 현재 "CoQ10연구의 아버지"라 불리고 있다. 또한 실생활에서도 박사는 40년간에 걸쳐 CoQ10을 섭취, 91세(1997년)로 타계할 때까지
현역교수로 정력적으로 연구활동을 계속하였다.
4. 주요작용
1) Antioxidant 이며 free radical scarenger : 비타민E보다 효과적
Adriamycin과 같이 복용시 cardiotoxicity를 제거해 줌
2) 치료효과 : 울혈성 심부전, 심근병증, 심장병, 고혈압, 치주질환,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Hunting’s 질환
3) 보조효과 : AIDS, 협심증, 암, 당뇨, 남성불임, 근이영양증, 비만, 파킨스병
4) Receptagen사 : HIV Antivirals로 USA 임상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