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감시황]
- 코스피시장 -
11/22 KOSPI 2,405.27(-0.59%) 외국인·기관 순매도(-), 中 코로나19 재확산(-), 美 FOMC 의사록 경계감(-)
지난밤 뉴욕증시가 Fed 긴축 우려 지속 및 中 코로나19 봉쇄 강화 등으로 하락, 유럽 주요국 증시도 하락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405.96(-13.54P, -0.56%)으로 하락 출발. 장 초반 2,401.50(-18.00P, -0.74%)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상승 전환해 2,426.40(+6.90P, +0.29%)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이후 재차 하락 전환했고,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다 오후 들어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확대. 장 막판 2,403선까지 낙폭을 키우다 결국 2,405.27(-14.23P, -0.59%)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에 코스피지수는 이틀째 하락. 외국인은 이틀째 순매도, 연기금 등은 7거래일 연속 순매도를 지속. 뚜렷한 상승 모멘텀이 부재한 가운데 中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봉쇄 우려, 美 FOMC 의사록 공개 및 추수감사절 연휴를 앞둔 관망세 등이 코스피지수에 하락 압력으로 작용하는 모습.
중국의 하루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역대 최다 수준에 근접하는 등 재확산세가 지속되는 모습. 금일 中 국가위생건강위는 전일 중국 본토 신규 확진자수가 2만8,127명(해외유입 228명 포함)을 기록했다고 밝힘. 이는 역대 최다 수준에 근접한 수준이며, 사상 처음으로 일일 확진자가 1,000명을 돌파한 베이징시 당국은 재차 봉쇄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짐. 특히, 확진자가 밀집한 차오양구는 이날부터 도서관, 영화관, 식당, 미용실, 노래방 등에 운영 중단을 지시.
블랙프라이데이 등 美 최대 쇼핑시즌을 앞두고, 美 물류 대란 우려가 커지는 모습. 美 철도 노조 협상에서 일부 노조가 백악관 합의안을 거부하면서 파업 가능성이 커졌음. 철도 파업시 미국 내 화물운송의 약 30%가 마비될 전망이며, 산업 전반에 운송 문제를 초래해 경기 침체 및 인플레이션 가속화 우려가 커지고 있음. 일각에서는 미국 경제에 하루 평균 20억 달러에 달하는 손실 가능성도 제기되는 모습.
반도체 업황 우려 지 속 등에 삼성전자(-1.30%), SK하이닉스(-1.27%) 등 반도체 대표주가 하락. 반면, 메리츠금융지주, 화재·증권 등 완전자회사 추진 소식 등에 메리츠금융지주(+29.91%), 메리츠화재(+29.97%), 메리츠증권(+29.87%)은 동반 상한가를 기록.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9원 상승한 1,356.6원을 기록.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중국, 대만이 상승했고, 홍콩은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58억, 43억 순매도, 개인은 285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219계약, 366계약 순매도, 개인은 1,834계약 순매수.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0.7bp 상승한 3.844%, 10년물은 전일 대비 0.9bp 상승한 3.773%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틱 오른 103.19 마감. 외국인이 4,516계약 순매수, 금융투자와 은행은 각각 2,884계약, 2,370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5틱 내린 110.05 마감. 외국인과 은행이 각각 1,715계약, 1,161계약 순매도. 금융투자와 보험은 각각 1,672계약, 1,187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카카오(-3.55%), 현대모비스(-2.32%), 포스코케미칼(-2.24%), 삼성SDI(-2.02%), SK이노베이션(-1.76%), 현대차(-1.49%), 삼성전자(-1.30%), SK하이닉스(-1.27%), SK(-1.20%), NAVER(-1.10%), LG전자(-0.67%), LG에너지솔루션(-0.35%) 등이 하 락. 반면, POSCO홀딩스(+1.39%), LG화학(+0.73%), KB금융(+0.20%) 등은 상승. 삼성바이오로직스, 기아, 삼성물산은 보합.
업종별로는 등락이 엇갈림. 서비스(-2.01%), 비금속광물(-1.58%), 전기/전자(-1.15%), 섬유/의복(-0.95%), 운수창고(-0.82%), 음식료(-0.79%), 제조(-0.77%), 화학(-0.68%), 운수장비(-0.49%) 등이 하락. 반면, 증권(+4.53%), 보험(+3.60%), 건설(+2.25%), 종이/목재(+1.25%), 철강/금속(+1.09%), 기계(+1.08%), 의료정밀(+0.99%), 금융(+0.87%)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405.27P(-14.23P/-0.59%)
- 코스닥시장 -
11/22 KOSDAQ 712.26(-0.88%) 외국인·기관 순매도(-), 中 코로나19 재확산(-), 美 FOMC 의사록 경계감(-)
지난밤 뉴욕증시가 Fed 긴축 우려 지속 및 中 코로나19 봉쇄 강화 등으로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16.24(-2.33P, -0.32%)로 하락 출발. 장 초반 상승 전환해 719.80(+1.23P, +0.17%)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했으나 재차 하락 전환.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다 오후 들어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키웠고, 장 막판 711.92(-6.65P, -0.93%)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결국 712.26(-6.31P, -0.88%)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 등으로 코스닥지수는 5거래일 연속 하락 마감. 외국인과 기관은 5거래일 연속 동반 순매도를 기록. 中 코로나19 재확산 소식, Fed 긴축 우려 지속 속 美 FOMC 의사록 공개 및 추수감사절 연휴를 앞둔 관망세 등이 증시 전반에 하락 압력으로 작용.
에코프로비엠(-2.75%), 엘앤에프(-5.74%), 에코프로(-3.07%), 천보(-3.49%) 등 2차전지/전기차 관련주가 하락. 카카오게임즈(-2.95%), 펄어비스(-3.70%) 등 게임주도 하락 마감. 반면, 금일 신규 상장한 인벤티지랩(+17.25%)는 급등 마감.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765억, 744억 순매도, 개인은 1,593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엘앤에프(-5.74%), 알테오젠(-3.98%), 펄어비스(-3.70%), 천보(-3.49%), 스튜디오드래곤(-3.17%),에코프로(-3.07%), 카카오게임즈(-2.95%), 에코프로비엠(-2.75%), 리노공업(-2.75%), 에스엠(-2.39%), 동진쎄미켐(-1.34%) 등이 하락. 반면,씨젠(+3.05%), 더블유씨피(+3.04%), HLB(+2.26%), CJ ENM(+1.76%) 등은 상승.
업종별로도 대부분 하락. IT부품(-2.38%), 통신장비(-2.26%), 디지털컨텐츠(-2.10%), IT H/W(-1.98%), 반도체(-1.70%), 오락문화(-1.68%), 일반전기전자(-1.24%), 인터넷(-1.19%), IT S/W & SVC(-1.09%), 금융(-0.97%), 제약(-0.89%), 화학(-0.88%), 종이/목재(-0.81%), 의료/정밀기기(-0.72%), 섬유/의류(-0.72%) 등이 하락. 반면, 기타제조(+1.98%), 운송(+1.35%), 건설(+1.30%), 방송서비스(+1.16%), 통신방송서비스(+0.66%), 기계/장비(+0.48%)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712.26P(-6.31P/-0.88%)
[특징 테마]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체코 대표단, UAE 바라카 원전 방문 소식 속 체코 원전 수주 본격화 기대감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국내 물류 대란 우려 부각 등에 종합 물류 테마 상승. ▷사우디 네옴시티 수주 기대감 지속 등에 네옴시티 관련주 테마 상승. 건설 대표주, 건설 중소형 테마 등도 상승.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법 리스크 지속 속 정치/인맥(이낙연) 테마 상승. ▷메리츠금융지주, 화재·증권 등 완전자회사 추진 등에 메리츠화재, 메리츠증권이 상한가를 기록한 가운데, 손해보험, 증권 테마 상승. 11월 금통위, 베이비스텝 전망 속 은행, 생명보험 테마 등도 상승. ▷풍력에너지, 태양광에너지 등 신재생 에너지 관련 테마 상승. ▷우크라이나 재건 기대감 속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건설기계 테마 상승. ▷이 외 강관업체,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전력설비, 제지, 마이데이터, 해저터널(지하화/자하도로 등), 철강 중소형, 테마파크, NI(네트워크통합), 피팅(관이음쇠)/밸브, 셰일가스, 쿠팡 관련주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삼성전자·SK하이닉스, 세계 반도체 시장 판매 순위 하락 및 DRAM 업체 마진 악화 우려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 테마 하락. ▷中 코로나19 확산 지속 및 중증환자 급증 소식 등에 면세점, 카지노, 항공, 여행, 화장 품 등 중국 소비 관련 테마 하락. 국내 상장 중국기업 테마도 하락. ▷내년 자동차 수출 감소 전망 등에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테마 하락. ▷美 전기차 관련주 급락 영향 등에 전기차/ 2차전지 테마 하락. ▷美 긴축 우려 지속 등에 기술주 중심 나스닥지수 약세 속 인터넷 대표주, 게임, IT 대표주, 메타버스, NFT 등 기술/성장 관련 테마 하락.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코로나19(진단키트) 등 코로나19 관련 테마 하락. mRNA, 제대혈, 면역항암제, 치매, 제약업체 등 여타제약/바이오 테마도 하락. ▷이 외 크래프톤 관련주, 웹툰, 자전거, 캐릭터상품, 태풍 및 장마, 통신장비, 그래핀, 밥솥, 석유화학, 전자파, 스마트폰, 5G, LED장비, 스포츠행사 수혜(올림픽, 월드컵 등), 보톡스, 바이오인식(생체인식),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 |
원자력발전 | 체코 대표단, UAE 바라카 원전 방문 소식 속 체코 원전 수주 본격화 기대감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21일 체코 대표단이 UAE에 입국해 바라카 원전을 방문한 것으로 전해짐. 이는 한국의 원전 건설/운영 능력을 점검하기 위함으로, 해당 대표단은 바라카 원전을 살펴본 뒤 23일까지 UAE 머무르며 한수원 측과 면담을 진행할 것으로 알려짐. 체코는 현재 남동부 두코바니 지역에 1,200MW급 가압경수로 원전 1기 를 건축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며, 사업 규모는 60억유로(약8조3,000억원)이며 본입찰은 3월에 개시됐음. 한수원은 본입찰이 마감되는 이달 말 입찰서를 제출할 것으로 알려짐. ▷한편, 한수원은 21일(현지시간) 캐나다에서 현지기업 칸두 에너지(Candu Energy)사와 원전해체 분야 사업협력 MOU(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힘. 칸두 에너지는 중수로 원전 관련 원천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이번 MOU는 세계 최초로 중수로 원전 즉시해체를 위한 사전 작업인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에너토크, 서전기전, 지투파워, 보성파워텍, 오르비텍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상승. | |
종합 물류 | 국내 물류 대란 우려 부각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은 24일 0시 안전운임 개악저지, 일몰제폐지, 차종 품목 확대를 주장하며 조합원 2만5,000명이 총파업에 나설 것으로 알려짐. 이번 파업은 철강, 시멘트, 조선기자재, 자동차 부품사업 등 주요 물류거점을봉쇄하고 운송을 거부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것으로 알려짐. 시장에서는 정부와 화물연대 간의 입장이 접점을 찾지 못할 경우 지난 6월보다 파업이 장기화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음. ▷한편, 현지시간 21일 외신에 따르면 백악관이 중재에 나섰던 美 철도노조 협상에서 일부 노조가 합의안에 반대하면서 물류 대란 발생 가능성이 커진 것으로 전해짐. 12개 노조 지부 중 합의안을 부결한 4곳은 다시 사측과 협상할 예정이지만 다음달 9일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파업에 돌입할 것으로 전해짐. ▷이러한 소식 속 동방, KCTC, 세방 등 종합 물류 테마가 상승. | |
네옴시티 관련주 | 사우디 네옴시티 수주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전일 빈살만 왕세자 내한 성과 등 주요현안에 대한 질의응답을 통해 "빠르면 12월,늦어도 1~2월부터는 몇 조원 대의 프로젝트들이 실제로 수주되거나 MOU(업무협약)를 넘어서는 협약이 이뤄지고, 또는 정부행사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힘. ▷아울러 "일단 국토부와 관련해서는 오는 29일 사우디 주택부 장관이 20여명의 대표단과 함께 온다"며 "우리의 기업들과 협회들이 참여한 포럼 형식으로 서울에서 기업들 간의 상견례가 이뤄지도록 할 생각"이라고 밝힘. 이어 "사우디 교통부 장관도 모빌리티와 관련한 우리 정부차원의 프로젝트를 취합한 뒤 내년 초에 초청을 해서 교통과 물류 부분에 있어 진도가 나갈 수 있도록 진행할 생각"이라고 언급. ▷이 같은 소식에 코오롱글로벌, SM Life Design, 한미글로벌, 다스코 등 네옴시티 관련주가 상승. | |
정치/인맥(이낙연)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법 리스크 지속 속 상승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최측근의 잇단 구속에 이어 남욱 변호사의 폭로까지 더해지면서 사법 리스크가 지속되고 있음. 이와 관련, 전일 대장동 개발 사업 비리로 구속됐다가 석방된 남욱 변호사가 2014년 지방선거 당시 성남시장 재선에 도전했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측에 최소 4억원을 건넸다고 밝힘. 이 외에도 대장동 개발사업의 수익금 명목인 700억원 중 각종 경비를 제외한 428억원 상당을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가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에게 지급하려고 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남화토건, 남선알미늄, 삼부토건, 남화산업 등 정치/인맥(이낙연) 테마가 상승. | |
반도체 관련주 | 삼성전자·SK하이닉스, 세계 반도체 시장 판매 순위 하락 및 DRAM 업체 마진 악화 우려 등에 하락 |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3분기에 삼성전자는 세계 반도체 시장 판매 1위 자리를 인텔에 내줬으며, SK하이닉스는 팹리스(반도체 설계전문) 기업 퀄컴에 밀려 4위로 판매 순위가 한 단계 하락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러한 순위 하락은 메모리 시황 악화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음. ▷유진투자증권은 반도체 업종에 대해 팬데믹이 만든 버블이 사라지자 역대급의 재고가 쌓였고 메모리 생산 캐파는 수요를 훨씬 상회하는수준까지 늘어 났다며, 결국에는 감산이 불가피한 상황이라 판단. 이와 관련, 마이크론과 SK하이닉스 등이 감산을 공식화한 가운데 업계 1위삼성전자는 감산 계획을 부인하고 있지만 생산라인 효율화 등의 방법으로 일정 부분 자연스러운 감산은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언급.p xxonclick="window.open('https://new.infostock.co.kr/Theme/ThemeDB/ThemeAllAllowed/380','THEME','width=700px 결과적으로 2023년 DRAM 시장규모는 올해 대비 26% 감소한 600억 달러에 그칠 것이며 이러한 시장 축소로 DRAM 업체들의 마진 악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기가레인, 네패스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 |
중국 소비 관련주 | 中 코로나19 확산 지속 및 중증환자 급증 소식 등에 하락 |
▷언론에 따르면, 중국의 코로나19 신규 감염자가 엿새째 2만 명대를 기록하며 확산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금일 中 국가위생건강위는 전일 중국 본토 신규 확진자수가 2만8,127명(해외유입 228명 포함)을 기록했다고 밝힘. 이는 역대 최다 수준에 근접한 수준임. 아울러 6개월 만에 고령의 코로나19 감염자가 사망한 가운데, 중증환자가 급증하며 방역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는 소식도전해짐. 지난 20일 중국 본토 코로나19 감염 중증환자는 107명으로 지난 14일(21명)보다 엿새 만에 4배가 늘었으며, 코로나19 확산 속에 중증환자가 늘면서 중국 방역 당국의 우려가 커지고 있음. ▷특히, 수도 베이징의 감염자 급증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베이징의 일일 감염자가 1,500명 육박하고 있는 가운데, 감염자가많은 차오양(朝陽)구 등 일부 지역은 음식점 매장 영업을 중단시키고, 사무실 출퇴근 인원을 제한한 데 이어 주요 공원의 문을 닫으며 지난 5월 코로나19 확산 때와 비슷한 준봉쇄 상황으로 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호텔신라, 신세계, 제주항공, 롯데관광개발, 파라다이스, 에프앤리퍼블릭 등 면세점/항공/저가 항공사(LCC)/카지노/여행/화장품 테마 등 중국 소비 관련주가 하락. 한편, 제주항공은 오는 24일 27,234,043주 규모 추가상장(유상증자, 구주주배정)을 앞두고 있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 | |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 내년 자동차 수출 감소 전망 등에 하락 |
▷언론에 따르면, 2025년부터 미국에서 최종 조립된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지원해주는 IRA의 영향으로 내년 자동차 수출이 감소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음. 한국자동차연구원의 내년 자동차산업 전망 산업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반등했던 국내 생산량이 내년 미국과 유럽 수요 감소로 소폭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내년 내수 판매는 전년대비 0.5% 감소한 166만대, 수출 판매는 IRA 영향으로 4.2% 감소한 210만대를 기록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내수와 수출 부진에 국내 생산은 전년보다 3.0% 줄어든 349만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한국투자증권은 현대차에 대해 내년 이익을 전년대비 늘리기 쉽지 않은 외부 환경이라고 밝힘. 경쟁 심화로 인해 인센티브가 늘어나고 우호적이었던 환율이 정상화 되기 때문이라며, 내년 이익은 미국에 달려있다고 밝힘. 그 동안의 성과가 우연이나 반사이익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는 측면에서 진정한 시험대에 진입했다고 밝힘. ▷한편, 일부 언론에 따르면, 최근 현대차와 기아가 화재 위험 가능성으로 미국과 한국에서 수백만대의 전자제어유압장치(HECU) 리콜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대상 차종과 규모가 워낙 커 해당 리콜이 제2의 세타2 엔진 사태로 비화될 수 있는 우려가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HL만도, 현대차, 현대모비스 등 자동차 대표주, 한일단조, 상신브레이크 등 자동차부 품 테마가 하락. | |
전기차/ 2차전지 | 美 전기차 관련주 급락 영향 등에 하락 |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중국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다는 소식 등에 테슬라가 6.84% 급락했으며, 리비안(-6.33%), 루시드 그룹(-8.44%) 등의 여타 전기차 관련주도 동반 급락 마감. 중국 봉쇄 조치가 강화되면 현지 공장 생산 차질 및 소비 심리 위축으로 인한 완성차 판매 부진 우려 부각 등이 하락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음. 아울러 최근 테슬라는 후미등 오작동으로 미국에서 32만1,000대의 리콜을 실시한다고 밝힌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쎄노텍, 탑머티리얼, 엘앤에프, 일진머티리얼즈, 천보, 성일하이텍 등 전기차/2차전지 테마가 하락. |
[특징 종목]
= 코스피 =
특징종목 | 이슈요약 |
메리츠금융지주/메리츠증권/메리츠화재 | 메리츠금융지주, 화재·증권 등 완전자회사 추진 등에 상한가 |
▷메리츠금융지주, 전일 장 마감 후 메리츠화재 및 메리츠증권과 주식교환ㆍ이전 결정(메리츠화재:메리츠금융지주 = 1:1.2657378, 메리츠증권:메리츠금융지주 = 1:0.1607327) 공시. ▷메리츠증권과 메리츠화재의 완전 자회사 편입에 따른 중기 주주환원 정책 수립과 관련한 시장의 예측가능성 제고를 목적으로 자회사의 포괄적 주식교환에 따른 중기 주주환원정책(안) 수립 공시. 2023 회계연도부터 통합될 메리츠금융지주의 배당 및 자사주 매입 소각을 포함한총 주주환원율은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의 50%를 원칙으로 하며, 이와 같은 적극적인 주주환원정책은 중기적으로 지속할 예정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신한투자증권은 메리츠금융지주에 대해 증권과 손해보험 지분 취득을 통해 완전 자회사 추진을 결정했다며, 완전자회사 편입을 근거로 기업가치 8조원을 제시한다고 밝힘. 이는 전일 시가총액 3.4조원 대비 135%의 Upside라고 언급. ▷또한, 메리츠금융지주의 2023년 연결 지배주주 순이익은 1.6조원(+54.6% YoY)이 전망된다며, 현금 배당은 최대 3,900원으로 예상되고 이는 배당수익률 14.6%에 해당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9,000원 -> 38,000원[상향] [종목]: 메리츠금융지주, 메리츠증권, 메리츠화재 | |
금강공업/범양건영/자연과환경/덕신하우징 | 모듈러주택 정책협의체 출범식 개최 예정 소식 속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
▷언론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오는 23일 건설회관에서 정부와 공공기관, 모듈러주택 관련 민간단체로 구성된 정책협의체의 출범식을 개최할 것으로 알려짐. 이번에 출범하는 '모듈러주택 정책협의체'는 제도개선 및 정책발굴에 상호협력하고, 최신기술 동향과 발전의 흐름을 공유하기 위한 워크숍, 세미나 등을 공동 개최하며, 홍보활동 등에 협력할 목적으로 결성된 것으로 전해짐. ▷이번 협의체는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의 네옴시티 관련 사우디 국부펀드와 우리 기업 간 모듈러 사업 협력 MOU가 체결됨에 따라 국내 모듈러 산업의 해외 진출이 가시화되고 있어 다양한 분야의 기업이 해외 진출 본격화에 중요한 구심체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모듈러주택 제조업을 영위중인 범양건영, 모듈러건축업을 영위중인 금강공업, PC모듈러 주택을 연구개발한 바 있는 자연과환경, 모듈러 건축에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 국내 점유율 1위 기업인 덕신하우징 등이 시장에서 부각. [종목]: 금강공업, 범양건영, 자연과환경, 덕신하우징 | |
코오롱글로벌/GS건설/DL이앤씨 | 성남 신흥1구역 재개발사업 시공사 선정에 급등 |
▷전일 장 마감 후 코오롱글로벌, GS건설, DL이앤씨 컨소시엄은 약 1조2,159억원 규모 성남 신흥1구역 재개발사업 시공사 선정 공시. 코오롱글로벌은 2,43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약 5.1%), GS건설은 6,079억원(최근 매출액대비 6.73%), DL이앤씨는 3,648억원(최근 매출액대비 4.78%) 규모임. ▷한편, GS건설은 9,002억원 규모 시민공원주변 재정비촉진지구 촉진1구역 시공자 선정 공시 및 자회사 GPC가 켄달스퀘어자산운용과 3,000억원 규모 PC 공급 MOU 체결 소식도 긍정적으로 작용. [종목]: 코오롱글로벌, GS건설, DL이앤씨 | |
대창단조 (015230) 8,370원 (+13.88%) | 저평가 분석 등에 급등 |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저평가에 따른 밸류에이션 재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힘. 동사의 올해 실적기준 PER은 4.8배로 경쟁사 평균인 7.8배 대비 저평가 되어 있다고 밝힘. 올해 동사 매출액은 4,187억원(전년대비 +18.1%), 영업이익은 490억원(전년대비 +63.3%, 영업이익률 11.7%)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동사는 최근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 및 매크로 센티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주요 고객사인 Komatsu의 실적 발표에서도 드러나듯 건설 기계와 Mining 장비에 대한 수주가 견고하다고 밝히고 있으며, 미국의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미국 법인 Trek Ink의 실적은 지속해서 상승하고 있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12,000원[신규] | |
SNT에너지 (100840) 21,800원 (+4.06%) | 138.40억원 규모 에어 쿨러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
▷SNT Gulf for Industry Co.,Ltd.와 138.4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8.09%) 규모 공급계약(Air Cooler(에어 쿨러)) 체결(계약기간:2022-11-22~2024-07-16) 공시. | |
DL (000210) 66,500원 (+2.94%) | DL케미칼/Cariflex/Kraton 등 스페셜티 화학부문 영업이익 비중 증가 전망 속 소폭 상승 |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스페셜티 화학부문(DL케미칼/Cariflex/Kraton)의 영업이익 비중은 지난해 68%에서 내년 82%로증가할 것으로 전망. 이는 Kraton의 온기 실적 반영 및 약 1,700억원의 일회성 비용(M&A 비용/재고자산 시가평가)이 제거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 ▷아울러 3분기 말 대비 환율 하락으로 올해 4분기 대규모 외화 환산이익이 전망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91,000원[유지] | |
금호석유 (011780) 145,000원 (-1.02%) | 내년 실적 부진 전망 등에 소폭 하락 |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내년 영업이익이 7,210억원(전년대비 -41%)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동사의 주력사업인 NB라텍스 업황이 지난해 중반을 고점으로 하락사이클에 진입한 가운데 2024년까지 공급 과잉 상황이 이어지며, 페놀체인, ABS 업황의 하락 사이클이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기 때문이라고 밝힘. 한편, 목표주가는 자사주 취득 반영을 고려해 상항조정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HOLD[유지], 목표주가 : 140,000원 -> 155,000원[상향] ▷한편, 동사는 이날 언론을 통해 엔지니어링 서비스 전문 기업 테크닙 에너지(T.EN)와 폐폴리스티렌(폐SP) 열분해와 재활용스티렌(RSM) 사업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힘. | |
대원강업 (000430) 3,450원 (-1.57%) | 현대그린푸드 외 2개사로 최대주주 변경 속 소폭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가 (주)현대그린푸드외 2개사로 변경 공시. 변경후 최대주주 등의 동사 지분 소유비율은 29.74%임. | |
롯데케미칼 (011170) 168,000원 (-3.45%) | 유상증자 관련 주주가치 훼손 우려 등에 하락 |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전일 유상증자(보통주 850만주, 총 1.1조원)에 관한 투자자 설명회를 진행한 가운데, 해당 유상증자 결정은 부진한 업황(연간 적자)과 22년 YTD 주가 19.8% 하락에도 불구하고 주주 배당 가이던스 충족 대신 자회사 현금 지원을 추진했다는 점에서 주주가치 훼손 Event로 판단. ▷아울러 23년 석유화학 시황 반등 및 중장기 신규사업 가이던스에 따라 투자의견을 유지하나, 유상증자를 통한 주식수 증가분으로 인해 �/div>弧ㅑ斂〈� 하향 조정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40,000원 -> 200,000원[하향] |
= 코스닥 =
특징종목 | 이슈요약 |
클리노믹스 (352770) 9,450원 (+29.99%) | 인공지능 이용 폐암 조기진단 개발 성공 소식에 상한가 |
▷동사는 언론을 통해 혈액 내에 존재하는 극미량의 암 DNA를 잡아내 폐암인지를 확인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힘. 이번 연구결과는 11월17일 국제학술지 “분자세포검사”(Molecular and Cellular Probe)의 특별호 “암 액체생검”(Liquid biopsy in oncology)의 온라인 판으로 게재됐고, 지난 10월에 이미 특허를 출원한 것으로 알려짐. 이번에 개발 성공한 알고리즘은 혈액 속에 떠돌아다니는 아주 작은 DNA들 중 암에서 온 DNA 조각들을 족집게처럼 집어서 찾아내고 그 양도 정밀히 측정을 하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의 관계자는 "폐암과 관련된 진단 연구는 기존에도 있었지만, 기술적인 알고리즘이나 인공지능 관련 모델을 셋업·디자인 한 것은 세계 최초"라고 밝힘. 또한, "이제 상용화의 첫 발을 밟았다"며 "연구임상, 허가임상 등의 과정을 생각하면 2025년 상용화를 예상하고 있다"고 밝힘. | |
셀피글로벌 (068940) 1,955원 (+29.90%) | 소액주주운동 본격화 소식 등에 상한가 |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소액주주들이 내달 6일 열리는 임시 주주총회를 앞두고 소액주주운동을 본격화하는 것으로 전해짐. 임시 주주총회에서는 소수 주주들이 제안한 사내이사 및 감사 선임, 정관 변경 안건이 상정되며, 경영진 교체 여부를 두고 표대결이 벌어지는 것으로 알려짐. ▷소액주주 연합인 셀피글로벌주주연대모임 측은 “현 경영진은 셀피글로벌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사채를 동원해 경영권을 인수했고, 이후주가 부양에 실패하면서 반대매매로 최대주주인 로켓인터내셜의 지분이 3.48%로 쪼그라들었다”며, “이 과정에서 주주들은 주가 하락으로 인해 크게 손실을 봤다”라고 밝힘. 이에 셀피글로벌주주연대모임은 소액주주운동을 통해 전체주식의 35% 지분 확보에 나선다는 방침인 것으로알려짐. ▷한편, 전일 장 마감 후 임시주주총회 의안 주요내용 확정에 따른 주주총회소집결의 정정공시. | |
바이온 (032980) 1,155원 (+29.78%) | 투자사 미래셀바이오, 식약처로부터 저활동성방광 세포치료제 'MR-MC-01' 임상시험 1/2a상 승인 소식에 상한가 |
▷동사는 언론을 통해 투자사 미래셀바이오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동종배아줄기세포유래 중간엽줄기세포(MMSC)를 주성분으로 하는 저활동성방광 세포치료제 'MR-MC-01'의 임상시험 1/2a상을 승인받았다고 밝힘. 미래셀바이오 연구진은 이번 임상시험에서 저활동성방광 환자를 대상으로 'MR-MC-01'의 안전성과 최대 내약 용량 확인, 유효성을 평가하며, 임상시험기관은 서울아산병원, 책임자는 비뇨의학과주명수 교수임. | |
스튜디오산타클로스 (204630) 10,850원 (+29.63%) | 주당 5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에 상한가 |
▷보통주 1주당 5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기준일:2022-12-16, 상장예정:2023-01-09) 공시. | |
인벤티지랩 (389470) 14,950원 (+17.25%) | 신규 상장 첫날 급등 |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12,000원을 상회한 12,75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급등세를 기록.한편, 동사는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플랫폼 업체로 마이크로플루이딕 기술(microfluidics)을 의약품 연구개발에 적용하여 장기지속형 주사제 개발 및 양산 제조에 응용한 IVL-DrugFluidic® 플랫폼 및 유전물질 의약물 전달에 적용한 IVL-GeneFluidic®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음. | |
제룡전기 (033100) 11,700원 (+7.34%)309.76억원 규모 PAD 변압기 공급계약 체결에 강세 | |
▷Public Service Electric and Gas Company와 309.76억원(최근 매출액대비 63.5%) 규모 공급계약(PAD 변압기) 체결(계약기간:2022-11-22~2024-12-30) 공시. | |
큐알티 (405100) 35,550원 (+4.56%) | 美 에너지부 산하 국립 연구 소와 중성자 분석 기술 공동 연구를 위한 SPP 체결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에너지부 산하 로스알라모스 국립 연구소(LANL) 소속 중성자 과학 센터 랜스(LANSCE)와 '가속 중성자 방사선 평가 특성화 및 분석 기술 개발' 공동 연구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프로젝트(SPP)를 체결했다고 밝힘. 양사는 2년여의 기간 동안 중성자 빔 위치와 별 특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반도체 소프트에러 정밀 평가를 통해 글로벌 표준화 기준을 정립할 계획임. ▷한편, 이번 전략적 파트너십 프로젝트는 미국 에너지부 승인을 거친 연구개발 협력 프로그램이며, 랜스 내에 있는 리차드 파인만 혁신 센터(FCI)에서 주관하고 한국 기업 중 동사가 최초로 선정된 것으로 전해짐. | |
도이치모터스 (067990) 6,400원 (+3.23%) | 335억원 규모 사직오토랜드 주식 신규 취득 결정에 상승 |
▷전일 장 마감 후 사직오토랜드 인수 목적으로 (주)사직오토랜드 주식 80,000주를 335.00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00.00%, 취득예정일:2023-08-31) 공시. ▷이와 관련, 권혁민 동사 대표는 "대형 매매단지인 수원 도이치오토월드 운영으로 축적해 온 사업 노하우와 서비스 역량을 확대하기 위해 부산과 경남 지역의 주요 매매단지 인수를 지속적으로 검토해왔다"며 "이번 사직오토랜드 인수를 시작으로 중고차 매매 플랫폼의 전국적 네트워크화를 꾀해 그룹 전 계열사의 시너지를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 | |
이오플로우 (294090) 20,000원 (+3.09%) | 세계 최초 7일용 웨어러블 인슐린 펌프 시연 성공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세계 최초로 최대 7일간 사용 가능한 3mL 일회용 웨어러블 인슐린 펌프 시제품 제작에 성공하고, 개발을 공식화한다고 밝힘. 이와 관련, 현재 시판 중인 이오패치는 약물 저장고 용량이 2mL로 3.5일 동안 사용이 가능한 웨어러블 인슐린 펌프인반면, 이번에 개발하는 EOPatch 3.0의 약물 저장고 용량은 3mL로 기존보다 50% 더 많은 양의 인슐린을 담아 최대 7일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김재진 대표는 "약물 저장고를 50% 증량시키고 사용 기간 또한 두 배로 연장하면서도 전체 크기나 무게가 많이 증가하지 않는 이유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우리가 상용화하고 있는 초저전력형 구동부 기술 덕분"이라고 밝힘. 이어 "7일용 신제품은기존 3.5일용 제품에 비해 판매가가 2배가 되어도 사용자 추가 부담은 없지만, 생산원가 상승 요인이 적어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제공할 수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회사는 수익성 개선이 가능하고 사용자는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일주일에 한 번만 펌프를 교체하게 돼 환자 편리성과 순응도가 높아지는 등 공급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윈-윈 솔루션이 될 수 있다"고 언급. ▷한편, 동사는 오는 23일 진행하는 온라인 기업설명회에서 7일용 신제품 개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다룰 예정임. | |
앤디포스 (238090) 5,400원 (+2.08%) | 투자사 美 이뮤노멧, `IM156` 췌장암 임상 투약 개시 소식에 소폭 상승 |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투자사 미국 이뮤노멧 테라퓨틱스가 췌장암 치료제로 개발 중인 'IM156' 임상 1b상 첫 환자 투약을 마친 것으로 전해짐. IM156은 4세대 항암제로 불리는 ‘대사항암제’ 후보물질이며, 이번 임상은 텍사스 대학교 MD 앤더슨 암센터의 슈브햄팬트(Shubham Pant) 교수의 주도로 진행되고, 진행성 췌장암 환자 약 25명을 대상으로 IM156을 병용 투약해 안전성과 효과를 측정할 예정. | |
▷흥국증권은 동사에 대해 매출액은 3Q21(496억원) < 4Q21(507억원) < 1Q22(558억원) < 2Q22(584억원) <오로라 (039830) 8,620원 (+1.89%) | 역대 최대 실적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
엔켐 (348370) 59,700원 (+1.88%) | 숨겨진 IRA 수혜주 분석 등에 소폭 상승 |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국내 전해액 업체들 중 가장 적극적으로 해외 공장 대응을 하고 있다며, 특히 중국 전해액 기업이 배제될 북미 시장에서 동사의 점유율은 극대화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숨겨진 IRA 수혜주라고 밝힘. ▷동사의 전해액 생산능력은 2022년 9.5만톤, 2023년 25.5만톤, 2024년 74.5만톤(유럽 8만톤, 중국 38만톤, 미국 24만톤 등)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86,000원[신규] | |
미래에셋벤처투자 (100790) 4,415원 (+1.49%) | 투자사 마코빌, 하이브와 파트너십 통해 성장 본격화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투자사 '마코빌'이 방탄소년단(BTS)의 소속사 '하이브'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성장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지난 20일 폐막한 '지스타(G-STAR) 2022'에서 '하이브IM'은 개발사 '플린트'의 '별이되어라2:베다의 기사들'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해 라인업을 확대한다고 밝혔음. | |
피엔티 (137400) 47,200원 (+1.40%) | 내년 실적 전망치 상향 조정에 소폭 상승 |
▷미래에셋증권은 전일 동사에 대해 내년 매출액은 6,958억원(+149% YoY), 영업이익은 1,120억원(+53% YoY), OPM 16.1%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내년 매출액 +14%, 영업이익 +13% 상향 조정한 것임. 이와 관련, 블루오벌 JV가 11월 말부터 대규모 장비 발주가 시작 될 것으로 전망되며, 동사가 전극에서 코터, 압연, 슬리팅을 다 받는다면 최대 9,000억원 규모의 수주 물량을 받을 것으로 예상.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76,500원[유지] | |
엔케이맥스 (182400) 15,650원 (+1.29%) | 자회사 엔케이젠바이오텍, 슈퍼NK 관련 연구 자폐증 국제 학회 초록 채택 소식 등에 소폭 상승 |
▷동사의 자회사 엔케이젠바이오텍은 언론을 통해 자폐증 학회인 싱크로니 심포지엄에서 NK세포치료제 슈퍼NK(SNK)와 자폐 스팩트럼 장애의 상관관계에 대한 초록이 채택되었다고 밝힘. 이와 관련해 폴송 엔케이젠바이오텍 부회장은 여러 연구에서 자폐증을 가진 아이들에게서 전반적인 면역력 이상과 세포독성 능력이 저하된 NK세포가 증가되어 있음을 보였다며 이번 학회를 통해 신경 퇴행성 질환에서 NK세포 기능 장애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진행성 신경 퇴행성 질환을 가진 성인 환자의 SNK 투여 전임상 데이터를 제시해 자폐증을 가진 어린이에서 잠재적인 치료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밝힘. | |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환경보호청(EPA)으로부터 회사 및 시설등록을 획득하고 Far UVC램프인 Plasma Guard 222를 등록�dth=700px,height=850,scrollbars=1,resizable=yes'); return false;" target="_blank">나노씨엠에스 (247660) 21,200원 (+1.19%) | 바이러스 사멸램프 미국 시장 확대 등록 소식에 소폭 상승 |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종 목 | 상한가 일수 | 사유 |
피코그램 (376180) 16,500원 (+29.92%) | 2 |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 모멘텀 지속에 상한가 |
클리노믹스 (352770) 9,450원 (+29.99%) | 1 | 인공지능 이용 폐암 조기진단 개발 성공 소식에 상한가 |
메리츠화재 (000060) 46,400원 (+29.97%) | 1 | 메리츠금융지주, 화재·증권 등 완전자회사 추진 등에 상한가 |
에너토크 (019990) 10,500원 (+29.95%) | 1 | 체코 대표단, UAE 바라카 원전 방문 소식 속 체코 원전 수주 본격화 기대감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메리츠금융지주 (138040) 34,750원 (+29.91%) | 1 | 화재·증권 등 완전자회사 추진 등에 상한가 |
셀피글로벌 (068940) 1,955원 (+29.90%) | 1 | 소액주주운동 본격화 소식 등에 상한가 |
메리츠증권 (008560) 5,870원 (+29.87%) | 1 | 메리츠금융지주, 화재·증권 등 완전자회사 추진 등에 상한가 |
바이온 (032980) 1,155원 (+29.78%) | 1 | 투자사 미래셀바이오, 식약처로부터 저활동성방광 세포치료제 'MR-MC-01' 임상시험 1/2a상 승인 소식에 상한가 |
스튜디오산타클로스 (204630) 10,850원 (+29.63%) | 1 | 주당 5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에 상한가 |
금강공업 (014280) 7,600원 (+22.98%) | 모듈러주택 정책협의체 출범식 개최 예정 소식 속 모듈러건축업 영위 사실 부각에 급등 | |
동방 (004140) 3,015원 (+22.56%) | 국내 물류 대란 우려 부각 등에 종합 물류 테마 상승 속 급등 | |
인벤티지랩 (389470) 14,950원 (+17.25%) | 신규 상장 첫날 급등 | |
코오롱글로벌 (003070) 22,600원 (+15.31%) | 네옴시티 관련주 상승 속 성남 신흥1구역 재개발사업 시공사 선정에 급등 | |
대창단조 (015230) 8,370원 (+13.88%) | 저평가 분석 등에 급등 | |
범양건영 (002410) 4,510원 (+13.03%) | 정치/인맥(이낙연) 테마 상승, 모듈러주택 정책협의체 출범식 개최 예정 소식 속 모듈러주택 제조업 영위 사실 부각에 급등 | |
서전기전 (189860) 6,990원 (+10.78%) | 체코 대표단, UAE 바라카 원전 방문 소식 속 체코 원전 수주 본격화 기대감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속 급등 | |
남화토건 (091590) 8,570원 (+9.87%)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법 리스크 지속 등에 정치/인맥(이낙연) 테마 상승 속 급등 | |
덕신하우징 (090410) 2,125원 (+9.82%) | 정치/인맥(이낙연) 테마 상승, 모듈러주택 정책협의체 출범식 개최 예정 소식 속 모듈러 건축에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 국내 점유율 1위 기업인 점이 부각되며 급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