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 인력지원에 제재...CJ프레시웨이, 무슨 일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한기정, 이하 ‘공정위’)가
부당 인력 지원 논란에 빠진
CJ그룹 계열사 CJ프레시웨이에 과징금을 부과했답니다.
공정위는 지난 13일
씨제이프레시웨이㈜(이하 ‘프레시웨이’)는
구 프레시원 11개사(이하 ‘프레시원’)에
자사 인력 221명을 파견해 334억 원 상당의
인건비를 대신 지급한 행위에 대해
시정명령 및 과징금 245억 원(잠정)을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답니다.
2010년 전후 프레시웨이는
식자재 유통 시장에서의 시장 지위를 공고히하기 위해
기존 대기업이 진출하지 않았던
중소상공인 위주의 지역 식자재 시장을
신속하게 선점한 뒤 다른 대기업 경쟁사가
진입하지 못하도록 진입장벽을
구축하고자 했답니다.
당시 대기업의 지역 식자재 시장 진입에 대해
해당 시장 내 절대 다수(약 85% 이상)를 차지하던
중소상공인들은 ‘골목상권 침해’라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었는데요.
프레시웨이는 시장에 직접 또는
단독으로 진출시 예상되는
중소상공인들과의 마찰을 피하고자
대외적으로 이들과의 상생을 표방하며
합작법인 형태의 프레시원을 설립하는 방식으로
지역 식자재 시장에 진출했답니다.
그러나 공정위 측은 이러한 방식은
상생이슈를 회피하기 위한 대외적 명분이었을 뿐
중소상공인들과 장기적·지속적인 상생의도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합니다.
또 합작계약은 프레시웨이가 지정하는
중소상공인들이 프레시원을 설립하도록 한 이후에
프레시웨이가 지분을 매입(프레시웨이가 51%
또는 66% 지분취득)해 프레시원을 장악하는 내용이었고,
중소상공인들을 상생의 대상이 아닌
장애물 및 사업리스크로 인식한 결과
CJ그룹까지 개입해 이들을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퇴출(프레시웨이가 100% 지분취득)시켰다고
부연합니다.
공정위는 이외에도 프레시웨이는
프레시원에 12년 8개월 동안 총 221명의 인원을 파견해
법인장 등 프레시원 핵심 관리자 업무를
전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면서,
인건비 334억 원 전액을 프레시원 대신
지급한 사실에 대해서도 설명했답니다.
공정위 측은 "프레시원은 사업초기부터
직접 채용이 어렵고 풍부한 업계 경험을 보유한
프레시웨이의 전문인력을
아무런 노력 없이 무료로 확보할 수 있게 돼
자체적인 경쟁력 이외의 요소로
경쟁여건 및 재무현황을 인위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었다"며
"뿐만 아니라 프레시원은 중소상공인 위주의 시장에서
유력한 지위를 획득하였고
시장 퇴출도 인위적으로 방지돼 중소상공인이
본래 획득하였을 정당한 이익이
대기업에 잠식되는 결과까지 초래됐다"고 했답니다.
이어 "이번 조치는 대기업이 영세한 중소상공인이
다수 존재하는 시장에 상생을 가장하여 진입한 뒤,
영세한 중소상공인을 시장에서 배제하고
이들의 이익을 침탈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 전례없는 규모의
인력 지원행위를 적발 및 제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며
"공정위는 앞으로도 중소상공인들이
다수 존재하는 시장에서 발생하는
대기업의 부당지원행위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법위반행위가 확인될 경우 엄중 제재함으로써
공정한 거래 질서를 확립하는데 앞장설 계획"이라고
전했답니다.
▼ 기사 원문 보기 ▼
▼ 지난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