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구성 |
소쇄원 공간은 판화로 1755년에 만들어진 소쇄원도와 1548년 하서 김인후가 쓴 소쇄원 48영에 의해서 잘 알 수 있다. 현재는 1,400여 평의 담장 안 영역으로 이해되고 있으나 그 범위를 포괄적으로 보면 內園과 담장 밖 공간의 外苑으로 대별할 수 있겠다. 여기에는 김인후가 쓴 소쇄원 48영을 중심으로 그 시제에 나타난 내용에서 소쇄원의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소쇄원 내원] 소쇄원 내원은 소쇄원도와 48영에 의하면 입구 공간, 대봉대 공간, 계류 공간, 화계 공간, 광풍각 공간, 제월당 공간, 담장, 고암정사와 부훤당 터로 구분할 수 있다.
| | | |
1. 입구공간 |
29영) 夾路脩篁 오솔길의 좁은 대숲 41영) 散池蓴芽 못에 흩어진 순채싹 19영) 透竹危橋 대숲사이로 위태로이 걸친 다리 39영) 柳汀迎客 버드나무 개울가에서 손님을 맞으니
입구에 대숲길, 연못, 위교와 개울가의 버드나무가 있다. 현재는 넓은 마을길이 나있으나 1970년만해도 좁은 길이었다. 뿐만아니라 계곡을 따라 광풍각에 이르는 길도 있었다. | |
|
|
2. 대봉대 공간 |
11영) 小亭憑欄 작은 정자의 난간에 기대어 37영) 桐臺夏陰 오동나무 대(臺)에 드리운 여름그늘. 32영) 叢筠暮鳥 해 저문 대밭에 날아든 새 16영) 小塘魚泳 작은 못에 물고기 노나니 17영) 刳木通流 나무 홈대를 통해 흐르는 물. 11111委曲通泉脉 홈을 타고 샘 줄기 흘러내리어 11111高低竹下池 높고 낮은 대숲 아래 못이 생겼네. 18영) 舂雲水碓 구름위로 절구질하는 물방아는 42영) 襯澗紫薇 골짜기 시냇물에 다가 핀 목백일홍 40영) 隔澗芙蕖 개울 건너 핀 연꽃 47영) 陽壇冬午 볕이 든 단(檀)의 겨울 낮 23영) 脩階散步 긴 계단을 거니노라면
소쇄원 입구에서 담을 따라서 오곡문에 이르는 공간이며 작은 연못, 대봉대, 초정, 애양단 담장, 오곡류의 계류, 나무 홈대, 물레방아, 큰 연못과 오동나무, 대밭, 목백일홍 등이 있다. 특히 대봉대는 봉황이 내려앉는 곳으로 이상향에 대한 염원이며, 애양단은 따뜻한 부모의 사랑을 상징하는 공간이다.
| |
|
|
3. 계류공간 |
14영) 垣竅透流 담장 밑을 통해 흐르는 물 15영) 杏陰曲流 살구나무 그늘아래 굽이치는 물 11111咫尺潺湲池 지척이라 물소리 들리는 곳에 11111分明五曲流 분명 다섯 구비로 흘러내리네. 13영) 危巖展流 가파른 바위에 펼쳐진 계류 11111溪流漱石來 흐르는 물이 돌을 씻어 내려오니 11111一石通全壑 한 바위가 온통 골짜기를 꿰뚫었구려. 11111匹練展中間 흰 깃을 중간에 편 듯이 11111傾崖天所削 기운 벼랑 하늘이 깍아 기울였나봐. 25영) 槽潭放浴 조담에서 미역을 감고 11111潭淸深見底 못이 맑아 깊어도 바닥 보이니 38영) 梧陰瀉瀑 오동나무 아래로 쏟아지는 물살 21영) 洑流傳盃 스며 흐르는 물길 따라 술잔을 돌리니 13영) 廣石臥月 광석에 누워 달을 보니 22영) 床巖對琪 평상바위에서 바둑을 두니 20영) 玉湫橫琴 맑은 물가에서 거문고를 비껴앉고 16영) 假山草樹 가산(假山)의 풀과 나무 44영) 映壑丹楓 골짜기에 비치는 丹楓 34영) 激湍菖蒲 세찬 여울가에 핀 창포 33영) 壑渚眠鴨 산골 물가에서 졸고 있는 오리
이채로운 수구, 오곡류 계곡과 외나무다리, 조담과 폭포, 광석, 옥추횡금, 탑암, 상석과 살구나무, 오동나무, 단풍, 창포 등이 있다. 오곡문 옆을 지나온 계곡물은 다섯 번 굽이쳐 오곡류를 이루고, 조담에 잠시 머문 다음 폭포로 떨어진다. 일부의 계곡물은 구멍이 파진 통나무를 지나 연못으로 모이고, 넘친 물은 수차를 돌리며 계곡으로 떨어진다.
| |
|
|
4. 화 계 |
12영) 梅臺邀月 매대에 올라 달을 맞으니 28영) 石趺孤梅 돌 받침 위에 외롭게 핀 매화 27영) 散崖松菊 비탈길에 흩어진 소나무와 국화 24영) 倚睡槐石 회화나무 옆의 바위에 기대어 졸다가. 14영) 負山鼇巖 산을 지고 앉은 자라바위 46영) 帶雪紅梔 흰 눈을 인 붉은 치자. 15영) 石逕攀危 돌길을 위태로이 오르니 매대, 오암, 괴석, 자라바위,
외나무다리와 매화, 소나무, 국화, 회화나무, 치자 등이 있다.
| |
|
|
5. 광풍각 |
소쇄원의 중심건물로 사랑채에 해당하는 광풍각이 있고, 담장을 돌린 뒤뜰에는 복숭아 나무가 있는 도오가 있다. | |
|
|
6. 제월당 |
43영) 滴雨芭蕉 빗방울이 두드리는 파초 10영) 千竿風響 대숲에 부는 바람소리.
파초, 천간이라는 대숲이 있다. 제월당은 안채에 해당하며 방과 대청으로 구성된 평범한 가옥이다. 그러나 주인이 기거하며 소쇄원을 경영하였을 주 공간이다. | |
|
|
7. 담 장 |
48영) 長垣題詠 긴 담에 걸려있는 노래. 111111長垣橫百尺 긴 담이 가로로 백자나 되어 111111一一寫新詩 일일이 새로운 시를 붙여 보았네. 111111有似列屛障 마치 병장(屛障)을 벌려 놓은 듯 111111勿爲風雨欺 비바람의 장난일랑 일지 말아라.
소쇄처사양공지려, 애양단, 오곡문의 글자가 새겨있다. (호화롭지 않은 전통적인 담장으로) 소쇄원의 영역을 한정해주고 감싸준다.
| |
|
|
8. 고암정사와 부훤당 건물터 |
현존하지 않은 건물로 제월당 남쪽 낮은 곳 담 밖으로 건물 터가 있다. 양산보의 후대에 건립되었다. | |
|
| |
[소쇄원 外苑 ] |
소쇄원 外苑은 芳菴遺稿에 실려 있는 丙子7月(1636년 7월)에 ‘忍齋 梁晋泰가 고향을 읊은 시 30수’(謹次仲父家山三十詠韻)인 소쇄원 30영을 기초로 하여 현 지도와 비교하여 소쇄원 외원을 설명할 수 있다 소쇄원 외원의 설명은 소쇄원 경역과 소쇄원 북, 동북, 동, 남쪽 방향의 자연 환경을 대상으로 한다.
| | | |
1. 소쇄원 경역 |
1) 후간장(관덕사)帿竿場 소쇄원 사실에 의하면 대봉대 부근이나 후간장은 활을 쏘는 곳으로 소쇄원 담장 바로 바깥쪽일 가능성이 크다.
2) 오곡문(五曲門) 오곡문(五曲門)은 내원(內園) 북동쪽 담장에 있었던 문으로 문은 없어지고 담장에 현판만 보존되었고「소쇄원도」에 위치가 표기되어 있다.
3) 오암(鰲巖)과 오암정(鰲巖井) 오곡문 밖에 있는 큰 바위와 바로 그 앞에 있는 우물이다.
4) 지석리(支石里) 지석리(支石里)는 소쇄원에서 과거 지등(支嶝)마을이 있었던 충의교육원까지를 말한다. 지석은 베틀위 다섯 개가 수직으로 담장을 지탱하고 있는데 소쇄원 조성 당시부터 현재까지 개축(改築)하지 않은 상태이다.
5) 자죽총(紫竹叢) 소쇄원 입구의 대나무 숲을 말한다.
6) 바리봉(鉢裏峰) 소쇄원 주차장 서쪽의 작은 봉우리이며 바리때를 엎어놓은 모습이다.
7) 황금정(黃金亭) 소쇄원 주차장 부근에 있었던 우물터의 정자이다. 소쇄원도에는 수박정이라는 글자도 새겨져 있다.
8) 창암동(蒼巖洞) 소쇄원 본가(本家)가 있었던 곳으로「소쇄원도」에는 창암촌(蒼巖村)으로 표기되어 있다. 창암(蒼巖)은 양산보의 아버지 양사원(梁泗源)의 호이며 스승이자 매부(妹夫)인 조억(曹億)을 따라 광주에서 이곳에 터를 잡았다. 송 순(宋純)의 고모부로 아들 양산보(梁山甫)를 조광조(趙光祖)에게 찾아가 수학(修學)하게 했다. 한편 조억은 조홍립(曹弘立)의 선조(先祖)이다.
| |
|
|
2. 북 쪽 |
1) 옹정봉(瓮井峰) 소쇄원 외원에서 제일 높은 봉우리이다.
2) 고암동(鼓巖洞) 북바위골 이라고도 하며 뒷산(鼓山)으로 소쇄공 당시부터 있었던 동굴(고암 동굴)이 현재도 남아 있다. 洞은 마을이라는 개념보다 골짜기로 해석하는 것이 적당하다.
3) 가재등(加資嶝) 고암동 동쪽 언덕이다.
4) 장자담(莊子潭) 소쇄원 외원의 3개의 골짜기인 북바위골, 산리동, 통사곡을 통하여 물이 장자담 부근에 모여서 내원의 폭포를 형성한다. 내원(內園)에서 북쪽으로 약 100m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 |
|
|
3. 동북쪽 |
1) 죽림사(竹林寺) 서당골로 구전되며 북바위골의 동쪽이다.
2) 산리동(酸梨洞) 북바위골 동쪽 골짜기이다.
3) 석구천(石臼泉) 고암동의 동쪽으로 약수로 유명하며 長壽村이다.
4) 통사곡(通仕谷) 고암동의 동쪽에 있다.
5) 영지동(靈芝洞) 고암동의 동쪽 골짜기이며 이곳에서 바라다 보이는 무등산의 경관이 매우 빼어난다.
| |
|
|
4. 동 쪽 |
1) 할미봉(??崖)
2) 장목등(長木嶝) 당시에는 이 언덕으로도 소쇄원에 진입하였고 언덕 너머에는 경주정씨 집성촌(현 충의교육원)이 자리하고 있었다. 삼우당(三友堂)이 있었던 경주정씨 집성촌까지를 지석리(支石里)라 한다. | |
|
|
5. 남쪽 |
1) 한벽산(寒碧山) 무등산의 안산이다. 소쇄원 30영과 현 지도를 대조 검토해 보면 소쇄원 외원의 가장 높은 곳은 북쪽의 옹정봉이며 남쪽에는 무등산의 안산인 한벽산이 위치하고 북쪽으로는 고암동과 장자담, 한천정사, 가재등이 위치하고 동북쪽이며 고암동의 동쪽으로는 죽림사, 산리동, 석구천, 통사곡, 영지동이 위치하고 동쪽으로는 할미봉과 장목등이 위치하여 넓은 범위의 자연 환경으로 둘러싸인 소쇄원 외원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