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mini와의 대화
ICOM IC-7300 무전기에서 I/Q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하드웨어 설계를 알려주세요
생각하는 과정 표시
안녕하세요. ICOM의 명기인 IC-7300 무전기에서 I/Q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문의하셨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IC-7300은 별도의 하드웨어 개조 없이 내장된 USB 포트를 통해 디지털 I/Q 신호를 직접 출력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합니다. 따라서 복잡하고 위험 부담이 큰 하드웨어 설계나 개조는 전혀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PC에서 HDSDR, SDR Console, SDR# 등과 같은 SDR(Software Defined Radio) 프로그램을 통해 IC-7300을 고성능 SDR 수신기처럼 사용하고, 넓은 대역폭의 스펙트럼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USB 포트를 이용한 I/Q 신호 출력 설정 방법을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IC-7300 내장 기능을 이용한 I/Q 신호 출력 (권장 방법)
이 방법은 IC-7300의 공식 기능으로, 무전기를 손상시킬 위험이 전혀 없으며 가장 안정적입니다.
1. 준비물
ICOM IC-7300 무전기
PC (Windows 운영체제)
USB A to B 케이블 (프린터에 흔히 사용하는 케이블)
ICOM USB 드라이버
SDR 수신 프로그램 (예: HDSDR, SDR Console)
2. 설정 절차
1단계: ICOM USB 드라이버 설치
PC에 ICOM USB 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ICOM 공식 웹사이트에서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하여 먼저 설치해야 합니다. 이 드라이버는 PC가 IC-7300의 USB 오디오 및 CI-V(CAT) 기능을 인식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ICOM 공식 글로벌 사이트 (Firmware / Software)에서 'IC-7300'을 검색하여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2단계: IC-7300 메뉴 설정
무전기에서 다음 메뉴 항목들을 순서대로 설정합니다.
I/Q 출력 활성화:
MENU 버튼을 누릅니다.
SET > Connectors > USB I/Q Output 으로 이동합니다.
ON (IF) 를 선택합니다.
IF는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의 I/Q 신호를 출력한다는 의미이며, 스펙트럼스코프에 표시되는 대역폭 그대로를 PC로 보낼 수 있습니다.
CI-V(CAT) 설정 확인:
PC에서 주파수 동기화를 위해 CI-V 설정도 확인해야 합니다.
MENU > SET > Connectors > CI-V 로 이동합니다.
CI-V USB Port를 Unlink from [REMOTE]으로 설정합니다. 이렇게 하면 USB 케이블을 통해 CI-V 통신이 가능해집니다.
CI-V USB Baud Rate는 Auto 또는 SDR 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속도(예: 19200)로 설정합니다.
3단계: PC SDR 프로그램 설정 (HDSDR 예시)
IC-7300과 PC를 USB 케이블로 연결하고 무전기 전원을 켭니다.
HDSDR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사운드카드(Soundcard) 설정:
Soundcard [F5] 버튼을 클릭합니다.
RX Input (I/Q) 에서 [USB Audio CODEC]과 관련된 장치를 선택합니다. 장치 이름은 시스템에 따라 '마이크(USB Audio CODEC)' 등으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RX Output (Audio) 에서는 PC에서 소리를 들을 스피커를 선택합니다.
CAT(주파수 동기화) 설정:
Options > CAT to Radio (Omni-Rig) 메뉴로 이동하여 Omni-Rig 설정 창을 엽니다.
Rig 1 탭에서 Rig type을 IC-7300으로 선택합니다.
Port는 장치 관리자에서 확인한 'Silicon Labs CP210x USB to UART Bridge (COMx)' 포트를 선택합니다.
Baud rate 등은 IC-7300 메뉴에서 설정한 값과 동일하게 맞춥니다.
HDSDR의 Start [F2] 버튼을 누르면 IC-7300의 수신 스펙트럼이 PC 화면에 나타나고 소리가 들리기 시작합니다. 이제 HDSDR 화면에서 주파수를 변경하면 IC-7300의 주파수도 자동으로 따라 변경됩니다.
하드웨어 개조를 통한 출력 (비권장)
사용자께서 '하드웨어 설계'를 문의하셨기 때문에 이론적인 가능성에 대해 설명드리지만, 이 방법은 절대 권장되지 않습니다.
이론적 배경: IC-7300은 다이렉트 샘플링 방식의 SDR입니다. 안테나로 수신된 아날로그 RF 신호는 ADC(Analog-to-Digital Converter)를 통해 즉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고, 이 데이터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에서 처리되어 I/Q 데이터가 생성됩니다.
하드웨어 개조는 이 ADC와 FPGA 사이의 고속 디지털 데이터 라인(주로 LVDS)을 직접 탭(Tap)하여 신호를 빼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왜 어려운가?
고도의 기술 필요: SMD 부품으로 빽빽하게 채워진 다층 기판에서 정확한 데이터 라인을 찾아내고 납땜하는 것은 매우 정교한 기술을 요구합니다.
장비 손상 위험: 작업 중 실수로 인해 무전기의 핵심 부품인 ADC나 FPGA를 영구적으로 손상시킬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보증 무효: 당연히 무전기를 개조하는 즉시 제조사의 보증은 무효가 됩니다.
별도 인터페이스 필요: 탭한 고속 디지털 신호를 PC가 인식할 수 있는 USB 등의 형태로 변환해주는 별도의 인터페이스 보드(LVDS to USB)를 직접 설계하거나 구해야 합니다.
결론: IC-7300이 이미 USB를 통해 뛰어난 품질의 I/Q 데이터를 제공하므로, 이러한 위험을 감수하고 하드웨어 개조를 할 실익이 전혀 없습니다.
최종적으로, IC-7300의 I/Q 신호를 외부에서 활용하고 싶으시다면 내장된 USB 출력 기능을 사용하시는 것이 가장 현명하고 올바른 방법입니다. 위에서 안내해 드린 설정 방법을 차근차근 따라 해보시면 원하시는 기능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구현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첫댓글 icom IC-7300.. 참 좋은 기계임에는 의심할 바 아니지만 기껏 해 본 것이 HDR을 돌려 보거나 OMNIrig+WSJT+JTalert+log4OM+GridTracker 병합 운전으로 FT8/4이 전부... 위 정보를 좀 일찍 깨우쳤다면? 좀 더 즐거운 HAM life가 되지 않았을까? 미련만 깊어지고, IC-7300이 떠난 자리가 텅 비어 마음까지 공허합니다. 그렇다고 다시??? 갈등만 더 커지게 합니다..
2016년 QST 8월호에 실린 K1RO의 IC-7300 리뷰기사에 보면 다음과 같은 말이 있습니다.
“일부 아마추어들은 IQ 스트림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이 그리울 수 있습니다(IC-7300은 IQ 출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IC-7300은 분명 다양한 사용자층을 겨냥하여 설계되었습니다. IC-7300을 사용하는 아마추어들은 SDR의 성능은 원하지만, 무전기와 컴퓨터 또는 기타 인터페이싱 장치가 필요하다는 사실에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들입니다.”
ICOM 매뉴얼에도 외부 SDR 소프트웨어 사용법이 없으므로 인공지능 얘기가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유투브를 보면 되는거 같기도 하구요.
@HL2IR 혹? 다시 IC-7300을 운영할 경우, OM님께서 언급하신 본문과 댓글의 정보를 답습하여 새로운 가능으로 즐겨 볼 것 입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이전에 저는 FT991A에 SDR을 설치해 본적이 있고 후기는 좀 어설프지만 링크를 걸어볼게요.
https://naver.me/x8DTZntH
FT991A는 SDR무전기가 아니고 DSP가 있는 트리플 슈퍼헤데로다인 무전기 입니다.
SDRPlay는 SDR수신기 입니다. 재래식 무전기에 SDR 수신기를 병행 사용하여 광대역 스펙트럼 아나라이져
기능을 즐기는 HAM들이 많습니다.
SDRPlay는 영국에서 $100 조금넘는 싼가격에 고성능으로 만든 SDR수신기로써 유명합니다.
특히 함께제공되는 SDRuno 소프트웨어는 최고의 걸작품 입니다. 성능 향상을 위해 계속 Update도 합니다.
수신범위가 MW,SW,VHF,UHF 까지 전대역과 디지털을 포함한 모든 전파모드를 지원하며 전세계 디지털 방송과 재래식 광대역 FM방송의 스테레오 복조도 됩니다.
제가 수백만원하는 최고급 오디오 FM튜너와 SDRplay의 FM 스테레오 음질을 비교해보았는데
전혀 뒤지지 않았습니다.
스펙트럼으로 주파수 특성까지 볼수 있으니 환상적입니다.
전세계 단파 방송을 들어 보면 좋은 음질에 놀라게 됩니다.
최고급 재래식 전파 수신기가 부럽지 않습니다. UHF까지 커버하는 재래식 전파수신기는 아마 없죠?
우수한 SDR소프트웨어가 없는 SDR 수신기는 별로 쓸모가 없습니다.
제가 올린 링크로 들어가 보시면 계통도가 있습니다.
거기를 보시면,
FT991a의 I/Q신호를 PAT70M으로 뽑아서 SDRPLAY인(RSP-1B)를 거쳐 SDRUNO를 구성 했는데 이건 다른건지요?
SDRplay에서 모든 신호처리를 하므로 FT991A가 필요 없습니다.
FT991에서 I/Q신호가 나오면 SDRplay 없이 SDRuno 소프트웨어만 가지고 SDR수신기 기능을 하는것 입니다.
해 보시고 결과을 까페에 올려 주시면 흥미 진진하게 보겠습니다.
저도계통도처럼 RSP-1B를 ANT로 직접 연결할수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연결해보지는 않아서..
주변에 아시는분도 없고..
그야말로 코끼리 배만지는식 이었습니다.
언제 안테나로 신호를 받아봐야 겠습니다.
덕분에 개념이 좀 잡혔습니다.
감사합니다.
FT-991A는 SDR 무전기가 아니므로 I/Q 신호가 나오지 않습니다.
그래서 Pan Adapter 같은 SDR 기능을 사용하려면 SDRplay와 함께 사용 해야합니다.
SDR 소프트웨어만 가지고는 않 됩니다.
FT-991A에서 PAT70M 보드를 통해서 SDRplay 로 연결하여 빼낸 신호는 70 Mhz IF 신호입니다.
그러므로 Pan Adapter 나타나는 스펙트럼은 협대역 이고 전파 수신은 FT-991A가 하므로 수신범위도
제한됩니다.
SDRplay 를 안테나에 TR 스위치를 사용하여 FT-991A와 함께 연결하면 시원한 광대역 Pan Adapter 가 되고
수신범위도 제한이 없습니다.
단 동시 사용시 송신신호가 SDR 수신기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한 회로를 구성하면 2-3db의 손실이
생기므로 IF 연결 방법을 택하는 것입니다.
SDRplay는 SDRuno 뿐만 아니라 HDSDR 소프트웨어도 사용할 수 있으니 성능을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