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감시황]
- 코스피시장 -
11/25 KOSPI 2,437.86(-0.14%) 개인 순매도(-), 中 코로나19 확산세 지속(-), 美 증시 휴장에 따른 방향성 부재
지난밤 뉴욕증시가 추수감사절로 휴장한 가운데, 유럽 주요국 증시는 Fed 긴축 속도 조절 기대감 등에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442.21(+0.88P, +0.04%)로 강보합 출발. 장 초반 하락 전환해 2,433.57(-7.76P, -0.32%)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오전중 상승 전환했고, 2,449.66(+8.33P, +0.34%)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이후 오전중 재차 하락해 2,433선까지 낙폭을 키웠음. 오후 들어 상승 전환하기도 했으나 보합권을중심으로 등락을 보이다 결국 2,437.86(-3.47P, -0.14%)에서 거래를 마감.
美 증시가 추수감사절로 휴장한 가운데, 시장에 영향을 줄만한 뚜렷한 재료 부재 속 코스피지수는 사흘만에 하락. Fed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론 등에 지난 이틀간 상승했던 코스피지수는 금일 차익매물이 출회되는 모습. 中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는 점 등은 지수에 부담으로 작용. 개인이 나흘째 순매도를 지속한 반면, 외국인은 4거래일 연속 순매수, 기관은 이틀 연속 순매수를 기록.
FOMC 의사록 공개 및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등 주요 이벤트를 소화한 가운데, 다음주 발표될 美 ADP 민간고용, 美 3분기 GDP 수정치, 고용/제조업지표 등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 및 연준 베이지북 발표 등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음.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4.5원 하락한 1,323.7원을 기록. Fed 긴축 속도 조절 가능성 지속에 달러 인덱스가 하락 영향 등으로 원/달러 환율은 3일 연속 하락 마감.
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전일 기준 중국 본토 신규 확진자 수는 3만1,987명(무증상에서 유증상으로 재분류된 708명 제외)으로 집계되며 처음으로 3만명을 상회. 이는 전일 경신된 역대 최대치인 2만9,754명보다 2,233명이 증가한 수치임.
금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5만3,698명으로 전주 대비 약 4천여명 증가. 위중증과 사망자는 453명, 55명을 기록.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홍콩, 대만이 하락, 중국은 상승.
수급별로는 개인이 1,159억 순매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494억, 328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5,159계약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3,667계약, 505계약 순매수.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4.5bp 하락한 3.644%, 10년물은 전일 대비 0.1bp 상승한 3.623%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9틱 오른 103.82 마감. 외국인과 은행이 각각 8,849계약, 5,452계약 순매수, 반면, 금융투자는 10,431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6틱 오른 111.58 마감. 금융투자가 2,595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2,592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이 우세. 카카오(-2.26%), SK하이닉스(-2.07%), NAVER(-1.60%), 셀트리온(-1.41%), 신한지주(-1.35%), KB금융(-1.18%), LG화학(-0.96%), 현대차(-0.90%), LG전자(-0.88%), 기아(-0.76%) 등이 하락. 반면, SK이노베이션(+3.85%), POSCO홀딩스(+2.07%),SK(+0.96%), 삼성바이오로직스(+0.78%), 삼성SDI(+0.69%), LG에너지솔루션(+0.53%)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등락이 엇갈림. 서비스(-1.30%), 섬유/의복(-0.76%), 증권(-0.47%), 운수장비(-0.40%), 전기/전자(-0.38%), 제조(-0.12%), 비금속광물(-0.10%), 화학(-0.09%) 등이 하락. 반면, 철강/금속(+2.64%), 전기가스(+1.71%), 건설(+1.08%), 기 계(+0.82%), 보험(+0.79%), 통신(+0.45%), 종이/목재(+0.30%), 음식료(+0.26%)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437.86P(-3.47P/-0.14%)
- 코스닥시장 -
11/25 KOSDAQ 733.56(-0.63%) 외국인 순매도(-), 中 코로나19 확산세 지속(-), 차익매물 출회(-)
지난밤 뉴욕증시가 추수감사절로 휴장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37.46(-0.76P, -0.10%)으로 약보합 출발. 장 초반 737.53(-0.69P, -0.09%)에서 장중 고점을 기록한 후 낙폭을 키워 732.48(-5.74P, -0.78%)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 오전중 737선까지 낙폭을 줄이기도 했으나 시간이 갈수록 재차 낙폭을 키웠음. 오후 들어 732선까지 하락하는 등 부진한 흐름을 보인 끝에 결국 733.56(-4.66P, -0.63%)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 순매도 등 에 코스닥지수는 사흘만에 하락. 외국인은 사흘만에 순매도 전환, 기관은 사흘 연속 순매수. 개인은 사흘만에 순매수 전환. 뉴욕증시 추수감사절 휴장 속 시장을 움직일만한 뚜렷한 재료가 부재한 모습. 코스닥지수는 Fed 긴축 속도 조절 기대감 선반영 속 지난 이틀간 상승에 따른 차익 매물 등이 출회되는 모습.
가상화폐 '위믹스' 상장 폐지 소식에 위메이드(-29.89%), 위메이드플레이(-29.93%), 위메이드맥스(-29.92%) 등 위메이드 그룹주가 동반 하한가. 투자심리 위축 속 카카오게임즈(-3.71%), 펄어비스(-1.79%) 등 게임주도 하락. 반면, 에코프로비엠(+4.23%), 엘앤에프(+0.38%), 천보(+0.12%), 더블유씨피(+5.22%)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는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287억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300억, 129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HLB(-4.32%), 카카오게임즈(-3.71%), 셀트리온헬스케어(-2.12%), 셀트리온제약(-2.06%), 펄어비스(-1.79%), 동진쎄미켐(-1.74%), 오스템임플란트(-1.43%), 솔브레인(-1.09%), 스튜디오드래곤(-1.07%), 에코프로(-0.69%) 등이 하락. 반면, 더블유씨피(+5.22%), 에코프로비엠(+4.23%), CJ ENM(+1.24%), 엘앤에프(+0.38%), 알테오젠(+0.27%) 등은 상승. 리노공업, 에스엠은 보합.
업종별로도 대부분 하락. 디지털컨텐츠(-6.67%), IT S/W & SVC(-3.56%), 운송장비/부품(-1.85%), 기타제조(-1.81%), 비금속(-1.37%), 인터넷(-1.04%), 반도체(-0.96%), 제약(-0.96%), 기타서비스(-0.94%), 유통(-0.89%), 종이/목재(-0.70%), 소프트웨어(-0.55%), 출판/매체복제(-0.53%), IT H/W(-0.48%) 등이 하락. 반면, 일반전기전자(+2.40%), 통신서비스(+2.39%), 통신방송서비스(+0.87%), 운송(+0.67%), 기계/장비(+0.58%), 금속(+0.58%)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733.56P(-4.66P/-0.63%)
[특징 테마]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우크라이나-러시아 비밀 접촉 소식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건설기계 테마 상승. ▷EU, 천연가스·원유 가격 상한제 도입 협상 난항 소식 등에 도시가스/ LPG(액화석유가스)/ LNG(액화천연가스)/ 정유 테마 상승. ▷Tesla 기가팩토리 한국 증설 긍정적 분석 등에 2차전지/ 전기차 테마 상승. ▷ 곡물가격 상승에 따른 美 농기계 업체 디어 어닝 서프라이즈 소식 등에 농업 테마 상승. ▷애플페이 연내 국내 도입 기대감 지속 속 애플페이 테마 상승. ▷글로벌 OTT 업체 한국 콘텐츠 선호 전망 및 한한령 해제 기대감 지속, '재벌집 막내아들' 글로벌 흥행, 3D 애니메이션 '캐리와 슈퍼콜라' 中 심의 통과 소식 등에 일부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월드컵 특수 속 편의점 매출 급증 소식에 일부 편의점 테마 상승. ▷네옴시티 수주 기대감 지속 속 네옴시티 관련주 상승. ▷정부 저출산 대책 마련 기대감 지속 등에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테마 상승. ▷이 외 캐릭터상품, 코로나19(음압병실/음압구급차), 타이어, 교육/온라인 교육, 건설 중소형, CCTV & DVR, 피팅(관이음쇠)/밸브,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전선, 리모델링/인테리어, 자전거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위믹스 코인 상장폐지 결정 소식 등에 게임/ 모바일게임(스마트폰)/ NFT(대체불가토큰)/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하락. 크래프톤 관련주, 두나무 관련주 하락. ▷반도체 수출액 감소 및 반도체 재고 급증 등 반도체 업황 악화 우려 지속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 테마 하락. ▷국내 코로나19 확산세 지속 및 中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이틀 연속 3만명 돌파 속 면세점, 여행, 항공/저가 항공사 등 리오프닝 테마 하락. ▷자동차 업황 우려 지속 속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테마 하락. ▷이 외 밥솥, 스포츠행사 수혜(올림픽, 월드컵 등), 웹툰, 인터넷 대표주, 토스 관련주, 블록체인, 코로나19(혈장치료/혈장치료제), 코로나19(화이자), 면역항암제, 모바일솔루션, 증강현실(AR), 모바일콘텐츠, mRNA,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 우크라이나-러시아 비밀 접촉 소식 등에 상승 |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대표단이 최근 아랍에미리트(UAE)에서 만난 것으로 알려짐. 우크라와 러시아의 접촉 의제는 포로 교환과 러시아산 암모니아 수출 재개 등이며, 일각에서는 이 같은 접촉이 평화협상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보고 있음. ▷외신에 따르면,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기자회견을 통해 "우크라이나 지도부는 현 상황을 정상으로 되돌릴 모든 기회를 갖고 있다"며, "러시아의 요구사항을 충족한다면 기회가 생긴다"고 밝힘. 아울러,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파괴하고 싶지 않다"며, "우리의 요구를 수용하는지에 따라 우크라이나 국민들의 모든 고통을 종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이원재 국토교통부 1차관이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자원공사(KIND)에서 우크라이나 의회 제1부의장인 올렉산드르 코르니옌코 등 의원 4명을 만나 우크라이나 재건복구 협력 방안을 논의. 이와 관련, 이 차관은 "올해로 우크라이나와 수교 3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인데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침공으로 전후 복구계획을 논의하는 것이 가슴 아프다"며, "한국 정부는 우크라이나에 인도적 지원과 함께 전후 추진될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에도 적극 참여하고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디와이파워, 유신, 대모, 현대에버다임 등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가 상승. 아울러 자회사가 모듈러 건축 사업을 하고 있는 코오롱글로벌과 건설사업관리 전문회사인 한미글로벌도 시장에서 부각. 특히, 코오롱글로벌은 네옴시티 기대감도 지속되며 급등. | |
도시가스/ LPG/ LNG/ 정유 | EU, 천연가스·원유 가격 상한제 도입 협상 난항 소식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이 러시아의 에너지 무기화에 맞서 추진하는 천연가스·원유 가격 상한제 도입에합의를 보지 못한 것으로 전해짐. 유럽연합(EU) 27개국은 24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EU 에너지이사회 특별 회의에서 가스 가격상한제 도입 여부를 결정하지 못한 채 회의를 마쳤음. 아울러 주요 7개국(G7)과 EU가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제 도입 협상을 벌이고 있지만,이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현재 제시된 상한 가격은 배럴당 65~70달러지만, 폴란드 등은 러시아에 타격을 주려면 상한을 더 낮춰야한다고 반대하고 있는 반면, 러시아 원유 의존도가 높은 나라들은 상한을 높이자고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한편,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주요7개국(G7)과 유럽연합(EU)이 추진 중인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가격상한제 도입과 관련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며 경고했음. 특히, 러시아 정부가 가격상한제에 참여한 국가들에는 원유와 가스 수출을 중단하겠다고 재차 압박하면서 가격상한제를 둘러싼 서방과의 마찰은 한층 심화될 전망임. ▷이와 관련 삼천리, 경동도시가스, E1, 케일럼, GS, S-Oil 등 도시가스/LPG/LNG/정유 테마가 상승. 한편, 삼천리는 안정적인 사업구조 분석 및 올해 실적 호조 전망도 긍정적으로 작용. | |
2차전지/ 전기차 | Tesla 기가팩토리 한국 증설 긍정적 분석 등에 상승 |
▷다올투자증권은 Tesla 기가팩토리, 즉 완성차와 배터리 생산거점이 국내에 건설될 경우 한국은 글로벌 5대 자동차 생산거점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상당한 규모의 후방산업 파급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분석. 특히, 최근 Tesla의 자동차산업내 압도적인 입지 상승세까지 고려시 국내 진출은 한국 자동차산업이 다시한번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 ▷아울러 전기차 시대에 가장 필요한 부품원가의 주도권 확보의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갖춘 Tesla의 한국생산은 배터리, 자동차 부품 등 후방산업의 원가입지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보이며, 궁극적으로는 경쟁진영인 현대차그룹에도 긍정적 영향을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 ▷이와 관련 SK아이이테크놀로지, SK이노베이션, 엠플러스, 신흥에스이씨, 상신이디피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상승. 한편, SK이노베이션은 자회사인 SK온이 2차전지 소재 기업 에코프로, 중국 전구체 생산기업 거린메이(GEM)와 인도네시아 니켈 중간재 생산법인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는 소식도 긍정적으로 작용. | |
농업 | 곡물가격 상승에 따른 美 농기계 업체 디어 어닝 서프라이즈 소식 등에 상승 |
▷현지시간으로 23일 미국 농기계 제조회사 디어는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호실적을 발표. 2022회계연도 4분기(8~10월)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37% 늘어난 155억 달러, 순이익이 전년동기대비 75% 증가한 22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힘. 아울러 2023회계연도(올해 11월~내년 10월) 순이익 가이던스도 시장 추정치를 상회하는 80억~85억 달러로 제시. 이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곡물 등 농산물 가격이 오르자 자금력이 생긴 세계 각국 농부들이 디어 농기계를 주문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대동, 대동기어, TYM, 아세아텍 등 농업 테마가 상승. 특히, 대동은 자회사 대동모빌리티가 대구 국가산업단지 부지에 연간 최대 14만5,000대의 스마트 모빌리티를 생산할 수 있는 ‘S-팩토리’를 준공했다는 소식도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급등. | |
게임/ 모바일게임(스마트폰)/ NFT(대체불가토큰)/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 위믹스 코인 상장폐지 결정 소식 등에 하락 |
▷전일 디지털자산 거래소협의체(닥사, DAXA)는 회의를 열고 가상화폐 '위믹스(WEMIX)' 코인의 거래지원 종료(상장폐지)를 결정했음. 이에 따라 DAXA 회원사인 거래소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은 투자자보호를 위해 7~10일 가량의 상장폐지예고 기간을 거쳐 오는 12월 8일 오후 3시 거래지원을 종료할 예정. 닥사가 위믹스 상장 폐지를 결정한 이유는 위믹스의 중대한 유통량 위반, 투자자들에 대한 미흡하거나 잘못된 정보 제공, 소명 기간 중 제출된 자료의 오류 및 신뢰 훼손 등임. 업계에 따르면, 위메이드가 거래소 별로 ‘가처분 신청’을 준비하겠다며 대응에 나섰지만, 과거 사례를 보면 인용될 가능성이 낮아 난항이 예상되고 있음. ▷한편, 미래에셋증권은 위메이드에 대해 위믹스 상장 폐지로 위믹스 플랫폼에 대한 불확실성 증대는 불가피하다며, 온보딩을 고려하는 게임사들의 부담 증가로 플랫폼 확장세는 둔화될 것으로 전망. ▷이에 P2E 게임 사업을 진행 중인 주요 게임사들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가운데, 위메이드 그룹주, 드래곤플라이, 룽투코리아, 컴투스홀딩스, 조이시티 등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및 NFT(대체불가토큰) 테마가 하락. 아울러 가상화폐 시장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비덴트, 갤럭시아머니트리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도 하락. |
[특징 종목]
= 코스피 =
특징종목 | 이슈요약 |
고려아연 (010130) 657,000원 (+6.48%) | 그린수소·배터리 동맹 결성 긍정적 분석 등에 강세 |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이번 자사주 교환 및 처분을 통해 전략적투자자 3곳과 재무적투자자 2곳을 확보했다며, 신사업으로 추진중인 트로이카 드라이브(신재생에너지, 배터리소재, 자원순환)에 중장기 원동력을 더해줄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했다는 의의가 있다고 설명. ▷우선 LG화학의 경우 이미 양사는 전구체 생산을 위해 Joint Venture 형태로 한국전구체(주)를 설립하여 협력 관계를 형성 중이며, 이번지분교환은 향후 북미시장 리사이클(후처리)-전구체 사업으로 연계과정으로, 향후 유력한 Off-Taker 확보에 성공했다고 밝힘. 한화의 경우 양사는 2032년까지 호주-한국 그린 암모니아 ValueChain을 구축하는 컨소시엄에 참여 중으로 수소/암모니아, CCUS, 풍력발전, 자원개발 등 다양한 사업에 협력할 계획이라고 언급. 세계 최대 광물 트레이더 기업 중 하나인 Trafigura도 참여했으며, 이외에도 MSIM(모건스탠리자산운용),한국투자증권가 재무적투자자(FI)로 참여했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770,000원[유지] | |
SK이노베이션 (096770) 175,500원 (+3.85%) | 자회사 SK온, 에코프로·中 거린메이와 인니 공장 설립 관련 업무협약 체결 소식에 상승 |
▷동사 자회사 SK온은 언론을 통해 2차전지 소재 기업 에코프로, 중국 전구체 생산기업 거린메이(GEM)와 인도네시아 니켈 중간재 생산법인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밝힘. 이번 협약으로 3사는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주 모로왈리 산업단지에 니켈 및 코발트 수산화혼합물(MHP) 생산공장을 짓기로 했다고 언급. 이어 공장은 2024년 3분기부터 연간 순수 니켈 3만t(톤)에 해당하는 MHP를 생산할 예정이며, 이는 전기차 배터리 약 43기가와트(GWh), 전기차 기준 약 6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에코프로 주가도 상승세를 기록. ▷한편, 미래에셋증권은 전일 동사에 대해 3분기 EBITDA 흑자전환 달성했으며, 내년 1분기 영업이익 흑자전환 달성을 전망한다며 미국 IRA 법안 내 배터리 세액공제(약 44억 달러 예상)를 받을 수 있는 수혜주라고 분석한 바 있음.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30,000원[유지] | |
세원이앤씨 (091090) 786원 (+2.75%) | 국내외 헬스케어 기업들과 OLED광치료 패치 공급 관련 비공식 미팅 진행 소식에 소폭 상승 |
▷동사는 일부 언론을 통해 국내외 헬스케어 기업들과 OLED광치료 패치(OLED Light Patch) 공급 관련 비공식 미팅을 진행했다고 밝힘. 이에 국내외 헬스케어 기업들과 미팅을 진행한 만큼 빠른시일 내 OLED광치료 패치 공급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OLED 광치료 패치 관련 의료기기 등록, 공장 가동, 시제품 생산 등 순차적으로 부품공급을 위한 모든 준비를마쳤다"며, "국내외 헬스케어 기업들과 미팅을 진행한 만큼 OLED 광패치 사업 부문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 | |
더존비즈온 (012510) 35,300원 (+2.32%) | SK쉴더스와 제품 결합·사업 경쟁력 강화 MOU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ERP 10, 아마란스(Amaranth) 10 등 자사 솔루션 사용 고객을 대상으로 안전하고 고도화된 업무환경을제공하기 위해 라이프 케어 플랫폼 전문기업 SK쉴더스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전일 체결했다고 밝힘. 양사는 기업용 솔루션 분야 선도기업으로 쌓아온 동사의 정보통신기술(ICT) 역량과 SK쉴더스의 사이버·물리보안 역량을 결합하고, 고객 기업을 위해 한층 강력한 보안 성능이 확보된 비즈니스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협력하기로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이강수 대표는 "이번 MOU를 통해 핵심 비즈니스 솔루션의 편의성과 업무 효율성은 물론 보안 성능을 강화해 기업 비즈니스의 장기적인 생산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양사가 보유한 자원과 역량을 적극 활용해 시너지를 창출하고 기업의 디지털전환(DX)에 필요한 다양한 고객 경험을 보다 폭넓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 |
제주항공 (089590) 10,550원 (+1.44%) | 4분기 흑자전환 가능성 분석 등에 소폭 상승 |
▷흥국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지만, 4분기부터는 동사의 강점인 일본 노선을 중심으로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일본 여행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10월11일 이후 동사의 여객 회복속도가 가팔라진 가운데, 동사의 10월 국제선 수송 실적은 20.6만명(+118.8% MoM)으로 국내 경쟁 LCC 대비 빠른 회복세를 보여줬다고 분석. ▷12월에는 여행 성수기를 맞아 2019년 대비 70% 수준까지도 회복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며, 최근 유가 하락과 달러 약세도 LCC들에게 우호적이기에, 영업이익과 영업외손익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다만, 유상증자로 인한 유통주식수 증가, 코로나 전과 달라진 매크로환경으로 인해 Target EV/EBITDA를 하향조정함에 따라 목표주가는 하향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4,586원 -> 14,000원[하향] | |
한미약품 (128940) 253,000원 (-1.75%) | 파트너사 스펙트럼社, FDA로부터 '포지오티닙' 관련 보완요청서한 수령에 소폭 하락 |
▷스펙트럼社,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포지오티닙' FDA로부터 CRL(보완요청서한, Complete Response Letter) 수령 공시. 보완요청서한(CRL)은 FDA가 승인을 위해의약품 허가신청서를 종합적으로 판단한 뒤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한 경우 회사에 보내는 보완요청공문임. ▷스펙트럼은 지난해 12월 미국 FDA에 품목허가를 신청했지만, 미국 항암제자문위원회(ODAC)는 지난 9월 23일 포지오티닙의 임상 데이터를 검토해 신속승인 여부를 논의한 결과, 9대 4로 포지오티닙이 환자에 주는 혜택이 위험보다 크지 않다고 표결한 바 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스펙트럼 공식 입장 발표 시간대가 전일 저녁(한국시간)이라는 점을 감안, 공시 시점에 관한 불필요한 오해를 없애기 위해 CRL 수령 사실을 먼저 시장에 밝혔다"며, "스펙트럼이 공식 입장 및 향후 계획 등을 발표하면 이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알릴 계획"이라고 밝힘. | |
카카오/카카오게임즈 | 카카오그룹, 국세청 특별 세무조사 소식에 소폭 하락 |
▷전일 언론에 따르면,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은 이번주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카카오게임즈 등 카카오 핵심 계열사들을 상대로 특별 세무조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국세청은 카카오가 '문어발식' 계열사 확장 과정에서 세금을 회피한 내용이 있는지 등을 검증할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카카오와 카카오게임즈 등 일부 카카오 그룹주가 하락세를 기록. [종목]: 카카오, 카카오게임즈 | |
진에 어 (272450) 13,400원 (-3.25%) | 주가 상승여력 제한적 분석 등에 하락 |
▷흥국증권은 동사에 대해 코로나 전과 달라진 매크로 환경을 감안해 2018년 오너리스크 확대 전 멀티플에 15% 할인을 부여했으며 주가 상승여력이 제한적이기에, 투자의견도 Hold로 하향 조정한다고 밝힘. ▷아울러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도 계속해서 지연된다는 점에서 통합LCC 출범도 내년 상반기 내로 힘들 것이라 판단. ▷한편, 일본 여행 수요 회복에 힘입어 4분기 실적이 개선될 전망이지만, 적자폭 축소에 그칠 것으로 예상. ▷투자의견 : BUY -> HOLD[하향], 목표주가 : 23,000원 -> 15,500원[하향] |
= 코스닥 =
특징종목 | 이슈요약 |
캐리소프트 (317530) 7,960원 (+29.85%) | 3D 애니메이션 '캐리와 슈퍼콜라', 中 심의 통과 소식에 상한가 |
▷전일 동사는 언론을 통해 어린이와 가족 대상의 3D 애니메이션 영화 '캐리와 슈퍼콜라'가 중국 정부의 영화 내용심의를 통과하여 현지 전역의 영화관 상영이 가능해졌다고 밝힘. ▷중국 캐리법인에 따르면, 최근 '캐리와 슈퍼콜라'의 중국 영화관 상영의 필수조건인 내용심의 통과의 결과를 중국 영화국에서 통보받았으며, 이에 따라 내년 초 중국 영화관 상영을 준비 중이라고 설명. ▷동사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상황이 완화됨에 따라 그동안 준비했던 3D 극장판 영화의 글로벌 개봉이 가능해졌다"며, "중국·한국·베트남을 포함해 11개 언어로 제작한 '캐리와 슈퍼콜라'는 영화관 개봉에 이어서 각국의 OTT, IPTV 등으로 폭넓게 배급한다"고 밝힘. | |
엔젠바이오 (354200) 8,900원 (+15.73%) | 사우디에 혈액암 정밀진단 제품 공급 소식에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사우디아라비아 의료조달청(NUPCO)을 통해 혈액암 정밀진단 제품 ‘힘아큐테스트(HEMEaccuTest)’를 공급한다고 밝힘. 계약에 따라 해당 제품은 내년 1분기부터 2년간 납품할 예정임. ▷이와 관련 동사 최대출 대표는 "이번 공급은 창사 이래 가장 큰 규모의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정밀진단 제품 수출"이라며, "향후 사우디 정부의 다양한 헬스케어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힘. | |
인벤티지랩 (389470) 14,700원 (+8.49%) | 플랫폼 기반 파이프라인 확대 계획 소식 등에 강세 |
▷김주희 동사 대표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현재 대웅제약과 함께 탈모치료제 IVL3001(1개월) 임상 1·2상을 마치고 3개월 치료제인 IVL3002는 1·2상을 준비하고 있으며, 치매치료제 성분 도네페질을 장기지속형 주사제로 만든 IVL3003은 호주에서 임상 1·2상을 위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지난 6월 승인받은 가운데, "내년 상반기 임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언급. ▷이어 지금까지는 이미 시장에 나온 약물을 자체 플랫폼에 담는 개량신약을 중심으로 개발하고 있지만, 향후에는 신규 적응증 약물을 플랫폼에 싣는 '자체 개발 장기지속형 신약'으로 개발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밝힘. 현재 류마티스 관절염을 적응증으로 한 IVL4001, 다발성 경화증 대상 IVL4002 등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에 대한 임상 개발을 진행 중이라고 언급. ▷또한, 김 대표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mRNA 백신이 주목받으며 동사도 LNP 제조 플랫폼 진플루이딕 개발을 시작하게 됐다고 밝힘. LNP는mRNA 백신, 유전자 치료제 제조에 필요한 약물전달기술로, 동사는 국내 최초로 마이크로플루이딕스에 기반해 LNP를 제형화하고 제조 공정 기술을 확보했다고 설명. 이 플랫폼을 바탕으로 차세대 백신, 유전자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진출할 계획이라고 언급. | |
피플바이오 (304840) 13,150원 (+6.05%) | 알츠하이머병 시장 성장에 따른 수혜 전망 등에 강세 |
▷한국IR협의회는 동사에 대해 세계 최초 알츠하이머 혈액조기진단 상업화 기업으로 2023년부터 알츠하이머병 시장 급성장이 전망된다고 밝힘. 내년부터는 항아밀로이드 베타 항체치료제 레카네맙, 도나네맙, 간테네루맙 등 알츠하이머 신약 승인이 기대됨에 따라 신약 개발 및 출시 경쟁과 더불어 알츠하이머 조기진단 시장도 급격한 성장이 예상되며, 동사의 치매진단키트는 높은 민감도 및 특이도, 편의성및 경제성 등의 강점을 바탕으로 미충족수요가 높은 알츠하이머병 조기진단 시장에서 좋은 포지셔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또한, 올해부터 국내 5대 수탁 검사기관 및 국내 대학병원, 상급 종합병원 등에 진단키트가 공급되어 서비스가 시작됨에 따라 2023년에는 약 200억원 규모의 매출 발생이 기대되며, 기존에 없던 알츠하이머 혈액진단 신규시장 창출 성과에 따른 재평가가 필요한 구간이라고 판단된다고 밝힘. | |
에코프로비엠 (247540) 113,400원 (+4.23%) | 전구체 내재화 가치 반영 기대감 등에 상승 |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가족사 에코프로머티리얼즈를 통해 전구체 일부 공급받는 중이며,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전구체 생산 CAPA는 현재 4.8만톤에서 2026년 20만톤 수준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 동사의 2026년 양극재 CAPA 55만톤 감안할 때, 2026년 전구체 자급률은 약 40% 수준이 될 전망이며, 현 주가 수준은 전구체 내재화 가치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다고 판단. ▷한편, 키움증권은 Ford, Stellantis, 현대차/기아 등 북미 EV 고객사향 출하량이 지속 증가하는 가운데, 연내 CAM5N의 조기가동이 예정되어 있어 본격적인 매출 성장이 기대된다고 전망. 아울러 가족사를 통해 전구체, 수산화리튬, 리사이클링 등 Closed Loop 시스템이 완성되어가는 만큼 향후 수익성 개선과 동시에 IRA 법안에 따른 모멘텀이 기대된다고 밝힘. ▷이에 금일 신규추천 종목에 편입. | |
신영스팩6호 (344050) 2,250원 (+3.69%) | 합병 상장을 추진중인 화인써키트, 인천 제2공장 가동 예정 소식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와 합병 상장을 추진중인 화인써키트의 인천 제2공장이 오는 12월부터 가동이 시작될 것으로 알려짐. 제2공장 가동으로 연간 생산량(양면PCB 기준)은 36만매에서 60만매로 늘어나 생산능력이 약 83% 이상 증가하게 되며, 매출이 최대 500억원 이상 증가하고 수익성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전해짐. ▷한편, 동사는 지난 6월 ㈜화인써키트로 SPAC소멸합병 결정(합병기일:2023-02-01, 신주상장예정:2023-02-17)을 공시한 바 있음. | |
피에이치에이 (043370) 7,100원 (+3.05%) | 3분기 실적 시장 기대치 상회 속 성장성 가시화 기대감 등에 상승 |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매출액/영업이익이 전년동기대비 24%/363% 증가한 2,626억원/100억원(영업이익률 3.8%, +5.6%p (YoY))을 기록해 실적 기대치를 크게 상회했다고 분석. 이는 전년동기의 낮은 기저로 슬로바키아를 제외한 대부분 법인들의 매출액이 증가한 가운데, 특히 고객사들의 생산 증가와 환율 효과가 긍정적인 영향을 준 한국/북미/인도 법인들이 성장세를 돋보였다고 밝힘. ▷아울러 최근 6년간 낮아진 매출액 정체와 낮아진 수익성으로 P/E 4배 이하, P/B 0.2배의 극도로 낮은 Valuation을 기록하고 있다며, 동사가 이를 타개할 노력을 진행중에 있다고 분석. 이와 관련, 기존 고객사들의 해외 전기차 공장에 대응하기 위해 현지에 신규 라인을 설치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고, 글로벌 완성차의 플랫폼향 수주 입찰도 진행중에 있다고 밝힘. 이에 수주가 가시화되면 추가적인 추정치 상향이 가능하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1,000원[유지] | |
에스엠코어 (007820) 6,060원 (+2.89%) | 3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소폭 상승 |
▷전일 장 마감 후 3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2-11-25~2023-05-24, SK증권(SK Securities Co., LTD.)) 공시. | |
디이엔티 (079810) 10,500원 (+2.44%) | 수주 랠리 초입 국면 분석 등에 소폭 상승 |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LG에너지솔루션 합작법인 얼티엄셀즈 향 수주가 계획대로 진행중인 가운데, 기술 경쟁력에 기반한 양극재 레이저 노칭 장비 ASP가 상승 추세에 있다고 분석. 이에 타합작법인 향 수주가 구체화되는 상황에서 본격적인 실적 성장 기대되는 2023년 PER이 7배로 높은 상승여력이 존재한다고 분석. ▷이에 따라 2022년 매출액 602억원(+42.3%, YoY), 영업이익 22억원(+83.3%, YoY)과 2023년 매출액 1,139억원(+89.2%, YoY), 영업이익 213억원(+868.2%, YoY)으로 기존 추정치를 유지한다며, 동사 장비에 대한 고객사의 수요가 지속되어 꾸준한 수주로 이어지고 있고, 수주 후 매출 인식까지 9개월 이내에 가능하기에 2023년도 실적은 기존과 다른 숫자를 보여줄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7,000원[유지] | |
산돌 (419120) 14,750원 (+1.37%) | 중장기 배당정책 발표에 소폭 상승 |
▷전일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별도 당기순이익의 15% 이상 배당성향을 목표로 하는 중장기 배당정책 안내 공시.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중장기 배당 정책 발표는 올해 상반기 사업 성과 호조 등 당해년도 성장세를 고려해 주주 이익환원 차원에서 결정했다”며, “앞으로도 기업을 운영하며 거둬들인 성과를 주주들과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안정적-장기적 투자환경을 조성하는 등 주주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힘. | |
위메이드 그룹주 | 가상화폐 '위믹스' 상장 폐지 소식에 하한가 |
▷전일 디지털자산 거래소협의체(DAXA)는 회의를 열고 가상화폐 '위믹스(WEMIX)' 코인의 거래지원 종료(상장폐지)를 결정했음. 이에 따라 DAXA 회원사인 거래소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은 투자자보호를 위해 7~10일 가량의 상장폐지예고 기간을 거쳐 위믹스의 최종 거래지원 종료 절차를 밟을 예정임. ▷한편, DAXA는 위믹스가 거래소들에 제출한 유통량과 실제 유통량이 다르다는 이유로 지난 10월27일 투자유의종목으로 지정한 바 있으며, 이후 두 차례 유의종목 지정 기간을 연장한 뒤 최종 상장폐지를 결정했음. ▷위메이드는 위믹스가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상장 폐지를 통보받은 것과 관련, 상폐 결정에 불복하며 가 능한 모든 수단을 통해 해당 결정을 취소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음. ▷미래에셋증권은 위메이드에 대해 위믹스 상장 폐지로 위믹스 플랫폼에 대한 불확실성 증대는 불가피하다며, 온보딩을 고려하는 게임사들의 부담 증가로 플랫폼 확장세는 둔화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 -> 중립[하향], 목표주가 : 70,000원 -> 51,000원[하향] ▷이에 금일 위메이드, 위메이드맥스, 위메이드플레이 등 위메이드 그룹주가 하한가. [종목]: 위메이드, 위메이드맥스, 위메이드플레이 |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종 목 | 상한가 일수 | 사유 |
코퍼스코리아 (322780) 3,120원 (+30.00%) | 1 |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 글로벌 OTT서 50여개국 1위 소식 속 '재벌집 막내아들' 日 유통권 보유 사실 부각에 상한가 |
캐리소프트 (317530) 7,960원 (+29.85%) | 1 | 3D 애니메이션 '캐리와 슈퍼콜라', 中 심의 통과 소식에 상한가 |
다이나믹디자인 (145210) 6,800원 (+28.30%) | 최대주주 이브이첨단소재, 하이드로리튬에 탄산리튬 25톤 추가 공급 완료 모멘텀 지속에 급등 | |
코오롱글로벌 (003070) 28,700원 (+25.33%) | 우크라이나-러시아 비밀 접촉 소식 속 자회사 모듈러 건축 사업 영위 사실 부각 및 네옴시티 관련 수주 기대감 지속에 급등 | |
바이온 (032980) 1,380원 (+21.05%) | 투자사 미래셀바이오, 식약처로부터 저활동성방광 세포치료제 'MR-MC-01' 임상시험 1/2a상 승인 모멘텀 지속에 급등 | |
엔젠바이오 (354200) 8,900원 (+15.73%) | 사우디에 혈액암 정밀진단 제품 공급 소식에 급등 | |
대동 (000490) 12,600원 (+14.03%) | 종속회사 대동모빌리티, 스마트 모빌리티 생산공장 S-팩토리 준공 소식 부각에 급등 | |
범양건영 (002410) 5,000원 (+10.62%) | 모듈러주택 정책협의체 출범 속 모듈러주택 제조업 영위 사실 지속 부각에 급등 | |
대창단조 (015230) 9,000원 (+10.29%) | 저평가 분석 모멘텀 지속에 급등 | |
디와이파워 (210540) 13,650원 (+10.08%) | 우크라이나-러시아 비밀 접촉 소식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SK아이이테크놀로지 (361610) 68,300원 (+8.76%) |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그룹 계열사 SK온, 에코프로·中 거린메이와 인니 공장 설립 관련 업무협약 체결 소식 등에 강세 | |
와이엠텍 (273640) 23,300원 (+8.62%) | Tesla 기가팩토리 한국 증설 긍정적 분석 등에 전기차 테마 상승 속 강세 | |
인벤티지랩 (389470) 14,700원 (+8.49%) | 플랫폼 기반 파이프라인 확대 계획 소식 등에 강세 | |
현대리바트 (079430) 9,820원 (+8.03%) | 사우디 자푸라 유틸리티/황회수 시설공사 중 가설공사 수주 및 사우디아라비아와 네옴시티 관련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의 협력사라는 점이 부각되며 강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