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사천왕과 조선 사천왕은 지물(持物)과 방위(方位)가 다르다
문경 봉정사
사천왕(四天王)은 불법승(佛法僧) 삼보를 수호하는 호법신이다
인도에서는 사천왕상에 대한 규범이 일정하지 않아서 귀족의 형상으로 표현한 경우가 많았으나 서역(西域)을 거쳐 중국에 이르러서는 갑옷을 입은 무장의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우리 나라에서 사천왕상이 만들어진 때는 사천왕 신앙이 수용된 600년경을 전후해서라고 볼 수 있으나 크게 성행한 것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던 때부터라고 할 수 있다. '삼국유사'에는 당시의 명장(名匠) 양지(良志)가 영묘사(靈廟寺)에 사천왕상을 조성하였고, 이어 사천왕사도 건립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682년에 세워진 감은사(感恩寺) 삼층석탑의 사리기(舍利器)에는 금동사천왕입상을 사리함의 외면에 장엄되어 있다. 이 사천왕상은 대단히 정교하고 세련된 사실적인 수법으로 조성되고 있어서 그 당시 사천왕상의 형태를 짐작할 수 있다.
감은사지 동탑 사리외함의 사천왕상
남방증장천왕 서방광목천왕 북방다문천왕 동방지국천왕 석굴암의 사천왕상 그러나 본격적인 사천왕상은 토함산 석굴암 연도 입구에 부조된 조각상들이다. 이 석굴 사천왕상들은 연도 좌우로 사상을 배치하여야 하므로 왼쪽(바라보아서는 오른쪽)에 동·북천왕이, 반대쪽에는 남·서천왕이 새겨져 있다. 또 토함산 석굴 사천왕상이 조성되던 전·후기부터는 석탑의 탑신부에 사천왕상을 활발히 새기기 시작하였다. 국립경주박물관 뜰에 있는 승소곡사지 삼층석탑, 황룡사 서편 폐사지 1층탑신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9세기부터는 고승들의 묘탑에도 사천왕상을 흔히 새기고 있다. 전흥법사염거화상탑(傳興法寺廉居和尙塔, 844년)·쌍봉사철감선사탑(雙峰寺澈鑑禪師塔, 868년)·봉암사지증대사탑(鳳巖寺智證大師塔, 884년)·실상사수철화상탑(實相寺秀澈和尙塔, 894년) 등에 부조된 사천왕상 등에 사천왕상이 조각되어 있다.
동방지국천왕 남방증장천왕 서방광목천왕 북방다문천왕 신라 승소곡사지삼층석탑의 사천왕상
사천왕상의 존명을 파악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각 천왕이 들고 있는 물건 즉 지물(持物)이다. 사천왕상의 방위는 통일신라에 제작된 석굴암 사천왕상에 의거해 검을 든 천왕은 동방천왕, 금강저를 든 천왕은 남방천왕, 여의주를 든 천왕은 서방천왕, 탑을 든 천왕은 북방천왕으로 간주됐다.
원원사지삼층석탑의 사천왕상
원원사지 동 삼층석탑
원원사지 서 삼층석탑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의 사천왕상이 들고 있는 지물은 주로 병장기로서 칼·화살·창·금강저(金剛杵 : 악마를 깨뜨리는 무기) 등과 같은 것이며 북방다문천왕의 경우 반드시 탑을 받들고 있으나 조선 후기로 오면서 크게 변화하여 비파·칼·용과 여의주, 당과 탑으로 정형화하게 되고, 탑을 든 천왕은 서방광목천왕으로 표현되며 북방다문천왕을 비파를 타는 모습으로 표현된다 천왕문 입구에서 보아 오른편의 대웅전을 향한 쪽에 비파를 든 사천왕상을, 입구 쪽에 칼을 든 사천왕상을 배치하며, 왼편의 대웅전 쪽에 당과 탑을 든 사천왕상을, 입구 쪽에 용과 여의주를 든 사천왕상을 배치한다
또한 사천왕상은 오행에서의 방위색을 얼굴에 적용하여 칠하는 경우가 많은데 ♣ 동방지국천왕 - 파란색 (선한 사람에게 복을 주고 악한 사람에게 벌을 준다) ♣ 남방증장천왕 - 빨간색 (만물을 소생시키는 덕을 베푼다) ♣ 서방광목천왕 - 흰색 (악인에게 고통을 주어 구도심을 일으키게 한다) ♣ 북방다문천왕 - 검정색 (어둠속을 방황하는 중생을 구제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을 칠한다
경주 기림사 부근 출토 사천왕상
그러나 최근 학계에서는, 통일신라시대 사천왕상과 조선후기 사천왕상의 존명이 다르다는 의견이 제시되면서 사찰에서도 사천왕상의 존명에 대해 혼란이 일어나고 있다. 학자들 간에는 사천왕상의 명칭을 지물에 따라 각각 달리 부르고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비파를 든 사천왕상을 동방지국천왕이라고 부르는가 하면 북방다문천왕이라고 하는 학자들도 있다. 조선 후기 사천왕 조각상과 중국 원·명·청대의 사천왕 조각상들에서는 비파를 든 사천왕상을 동방지국천왕이라고 부르고 있는 반면, 조선 후기 사천왕 탱화에서는 칼을 든 사천왕상에게 동방지국천왕이라는 명칭을 부여하고 있었다. 따라서 사천왕상이 들고 있는 지물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서까지도 사천왕상의 명칭에 혼란을 일으키고 있는 실정이었다.
북방 다문천왕 동방지국천왕
남방증장천왕 서방광목천왕 김천 직지사의 사천왕
이러한 혼란에 해답을 줄 수 있는 근거가 발견되었다 2013년 9월 초, 김천 직지사에서는 나무 골조에 흙을 붙여 제작한 소조사천왕상이 최근 흙이 갈라지고 떨어지는 등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해 (재)불교문화재연구소(소장 각림스님)에 사천왕상의 정밀학술조사를 의뢰하였다. (재)불교문화재연구소는 사천왕상의 정밀학술조사 과정 중 사천왕상의 머리 내부에서 ‘北方天王’ ‘西方天王’이 적힌 종이와 천왕상 몸체 내부와 복장마개에서 ‘東’ ‘東南’의 묵서를 발견했다. 사천왕의 각 방위를 기록한 자료들이 3구의 천왕상에서 출토된 것이다
직지사 소조사천왕상의 지물과 묵서를 정리해 보면 비파를 타는 천왕은 북방다문천왕(北方多聞天王)이며, 검을 쥔 천왕은 동방지국천왕(東方持國天王), 용과 여의주를 든 천왕은 남방증장천왕(南方增長天王), 탑을 든 천왕은 서방광목천왕(西方廣目天王)이다. 이는 석굴암에서 보는 신라 사천왕상의 존명과는 다른 것으로 조선후기 사천왕상이 통일신라 사천왕상과는 다른 도상과 방위를 갖추고 있음을 보여주는 자료가 되어 주목된다.
신라 사천왕과 조선 직지사 사천왕상의 지물 비교
경주 기림사의 사천왕상
경주 기림사의 사천왕상이 들고 있는 지물은 김천 직지사의 사천왕상과 동일하다. 위에서 시계바늘 돌아가는 방향으로 남방증장천왕, 서방광목천왕, 동방지국천왕, 북방다문천왕이다. 기림사는 신라 천년사찰이지만 현재 있는 사천왕상은 조선시대에 조상이 되었으며 들고 있는 지물은 조상시기(조선)의 양식을 따랐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의 사천왕상의 특징은 화려한 보관을 쓰고 있다는 점이다.
직지사 사천왕상에서는 이외에도 서방천왕상에서 강희4년(1665년)에 작성한 조성기가 출토됐으며, ‘전라도전주부동종남산송광사거승인화원래조성지야(全羅道全州府東終南山松廣寺居僧人畵員來造成之也)’와 ‘전라전주송광사화원을사년삼월일도작야(全羅全州松廣寺畵員乙巳年(1665)三月日塗作也)’ 등의 여러 묵서가 사천왕상 내부에서 발견됐다.
이 조성기와 묵서는 직지사 사천왕상이 1665년에 제작됐다는 사실과 작품 제작에 전라도 완주 송광사의 조각승이 참여한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이는 호남의 조각승이 영남지역으로 진출하여 불상을 제작했던 과정을 알려 주는 것으로 조선후기 조각승들의 활동 영역을 비롯한 불교미술 연구의 폭을 확대시켜 줄 자료로 기대된다.
사천왕상의 명칭이 언제부터, 왜 이렇게 바뀌었는지에 대한 학자들의 깊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디
<관련자료 : 신장상이 새겨져 있는 경주지역의 탑(2)-사천왕상 http://blog.daum.net/kinhj4801/15960915>
|
출처: 토함산솔이파리 원문보기 글쓴이: 솔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