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란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는 C.G.Jung의 심리유형론을 근거로 하여 Katharine Cook Briggs와 Isabel Briggs Myers가 보다 쉽고 일상생활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자기보고식 성격유형지표이다.
융의 심리유형론은 인간행동이 그 다양성으로 인해 종잡을 수 없는 것 같이 보여도, 사실은 아주 질서정연하고 일관된 경향이 있다는 데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인간행동의 다양성은 개인이 인식(Perception)하고 판단(Judgement)하는 특징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MBTI는 인식과 판단에 대한 융의 심리적 기능이론, 그리고 인식과 판단의 향방을 결정짓는 융의 태도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제작되었다. 또한 개인이 쉽게 응답할 수 있는 자기보고(self report) 문항을 통해 인식하고 판단할 때의 각자 선호하는 경향을 찾고, 이러한 선호경향들이 하나하나 또는 여러 개가 합쳐져서 인간의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여 실생활에 응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심리검사이다.
2. MBTI의 역사
MBTI는 1900 ~ 1975년에 걸쳐 Katharine Cook Briggs와 Isabel Briggs Myers에 의해 계발되었다. 사람들의 차이점과 갈등을 이해하고자하는 그들의 노력은 자서전 연구를 통한 성격분류로 시작되었고 1921년 C.G. Jung의 Psychological Type 이론을 접하면서 인간관찰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후 MBTI form A, B, C, D, E를 거쳐 1962년 Form F가 미국 ETS(Educational Testing Service)에 의해 출판되었고, 그리고 1975년 form G를 개발하여 미국 CPP로부터 출판, 현재에 이르러 Form K와 Form M 등이 개발되어 있다.
한국의 MBTI 역사는 1988 - 1990년 심혜숙, 김정택에 의해 미국 CPP와 MBTI의 한국판 표준화 법적 계약을 맺고 표준화 작업이 완성되었고, 1990년 6월에 한국에 도입되어 MBTI 사용자를 위한 초급, 보수, 중급, 어린이 및 청소년, 적용프로그램, 일반강사교육과정 개발하였고, 계속적인 MBTI 연구, 번역, 저술 활동이 이루어져 오고 있다.
3. MBTI(성격유형검사) 4가지 선호지표
1. 외향성-내향성(EI)
2. 감각-직관(SN)
3. 사고-감정(TF)
4. 판단-인식(JP)
4. 16가지 성격유형
1. ISTJ(세상의 소금형, 내향적 감각형)
2. ISFJ(확실한 참모, 정리정돈의 왕, 깔끔이, 내향적 감각형)
3. INFJ(예언가형, 내향적 직관형)
4. INTJ(과학자형, 유리같은 형, 백합)
5. ISTP(백과사전형, 내향적 사고형)
6. ISFP(마음이 따뜻한 사람, 성인군자형, 내향적 감각형)
7. INFP(잔다르크형, 내향적 감정형)
8. ESTP(수완 좋은 활동가형, 정보통, 해결사, 수완가)
9. ESFP(사교적인 유형, 분위기메이커)
10. ESTJ(사업가형)
11. ESFJ(화합도모형)
12. ENFP
13. ENFJ
14. INTP
15. ENTP
16. ENT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