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 종 기 |
(월. 일) |
|
경 장 |
주경절수 |
분지수 |
경 태(mm) |
|
3. 25 |
337 |
24 |
3.2 |
9.1 | ||||
4. 5 |
294 |
24 |
3.7 |
9.2 |
|
|
|
|
4. 15 |
291 |
24 |
3.7 |
8.8 |
|
|
|
|
4. 25 |
286 |
27 |
2.9 |
8.0 |
|
|
|
|
5. 5 |
248 |
25 |
2.4 |
7.5 |
|
|
|
|
3. 파종기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개체당 협수 및 립수도 4월 5일 파종까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표 2) 탈협이 야간의 저온조건에서 심하게 유발되며 개화가 늦어짐에 따라서도 유발된다는 보고와 일치하였다. 개체당 립수는 파종기가 가장 늦은 5월 5일 파종구에서 가장 적었는데, 이는 립비대시의 탈립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개체당 립수의 증가는 개체당 협수의 증가 및 협당 립수의 증가로 인하여 이루어졌다. 100립중은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4∼19g 감소하였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100립중이 생육기간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보고와 일치되는 경향이였다. 10a당 수량은 4월 5일 파종구에서 307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개체당 립수의 증가가 직접적인 수량증가를 가져왔기 때문이였다. 이와 같은 결과, 비닐하우스에서 작두콩 재배시 적정파종기는 4월 상순으로 판단되였다.
표 2. 파종기에 따른 작두콩의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과의 관계
파종기 (월.일) |
협 수 (개/개체) |
립 수 (개/개체) |
100립중 (g) |
수 량 (kg/10a) |
지 수 |
3. 25 |
7.2 |
44.6 |
247 |
299 |
106 |
4. 5 |
6.9 |
49.7 |
243 |
307 |
108 |
4. 15 |
6.6 |
46.6 |
238 |
283 |
100 |
4. 25 |
5.9 |
42.9 |
234 |
263 |
93 |
5. 5 |
5.4 |
41.3 |
228 |
244 |
86 |
【시험2】 적정 재식거리 구명시험
4. 재식거리가 지상부 생육에 미치는 영향
재식거리가 넓어짐에 따라 경장은 길어지는 경향이었다(표 3). 주경절수는 재식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개체당 분지수도 0.1∼0.5개 증가하였다. 유한신육형 콩의 경우에도 같은 경향이며 ㎡당 63개체에서 33개체로 감소함에 따라 분지수가 2.8∼1.6개 증가한다는 보고와도 일치하였다. 경태는 재식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0.3∼0.6mm 굵어졌다.
표 3. 재식거리에 따른 작두콩의 지상부 생육상황
재식거리 |
경장 |
주경절수 |
분지수 |
경 태 |
60×30 |
292 |
23 |
3.4 |
8.6 |
60×40 |
297 |
24 |
3.5 |
8.9 |
60×50 |
301 |
26 |
3.7 |
8.9 |
90×30 |
305 |
25 |
3.6 |
8.9 |
90×40 |
307 |
26 |
3.7 |
9.1 |
90×50 |
310 |
27 |
3.9 |
9.2 |
5. 재식거리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수량간의 관계
개체당 협수는 재식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0.5∼3.5개 증가하였고 개체당 립수도 7.8∼28.4개 증가하였으며 100립중도 무거운 경향을 보였다(표 4). 재식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경장, 분지수, 경태 및 수량구성요소에서 증가를 보였으나, 10a당 종실수량에서는 휴폭 60cm 주간 30cm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의 확보로 인하여 283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는 무한신육형이 유한신육형에 비하여 절수, 립수, 100립중의 주경의존도가 크며, 따라서 밀식조건에서 많은 수량이 가능하다는 보고와 일치하였으며 비닐하우스에서 작두콩 재배시 적정재식거리는 60×30cm가 적당하다고 판단되었다.
표 4. 재식거리에 따른 작두콩의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재식거리 |
협 수 |
립 수 |
100립중 |
수 량 |
지 수 |
60×30 |
6.2 |
40.8 |
234 |
283 |
103 |
60×40 |
6.7 |
47.0 |
238 |
276 |
100 |
60×50 |
6.7 |
54.8 |
239 |
252 |
91 |
90×30 |
7.4 |
48.6 |
234 |
260 |
94 |
90×40 |
9.1 |
62.7 |
240 |
244 |
88 |
90×50 |
9.7 |
69.2 |
244 |
229 |
83 |
6. 인용문헌
첫댓글 고맙습니다. 근데 넘 어렵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