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호미숙-자전거랑 사진여행[호미호미카페] 원문보기 글쓴이: 호미숙 호미호미
파얼이 만난 사람 4-조해녕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조직위원장
-대구 동화사에서- 동화사 홈페이지-http://www.donghwasa.net/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팔공산 남쪽 기슭에 위치한 사찰 동화사 〈동화사사적기〉에 따르면 493년(신라 소지왕 15)에 극달화상이 창건하여 유가사(瑜伽寺)라 부르다가, 832년(흥덕왕 7)에 심지왕사가 중창했는데 사찰 주변에 오동나무꽃이 상서롭게 피어 있어 동화사라 고쳐 불렀다고 한다.
동화사는 두 가지 창건설 가운데 신라 흥덕왕 7년(832) 심지 대사가 중창한 시기를 사실상 창건으로 보는 게 일반적인 견해이다. 동화사는 창건 뒤 현재의 대가람으로 정비되기까지 여러 차례 중창과 개축이 이루어졌다. 동화사는 신라말인 934년 영조 靈照선사, 고려 명종 20년(1190) 지눌보조 普照국사, 고려 충렬왕 24년(1298)홍진 弘眞국사에 의해 각각 중창 중건되었다. 보조국사는 호국불교 이념을 구현하기 위해 동화사 중창에 크게 공헌하여 동화사와 염불암에 영정이 모셔져 있다. 또 고려 말기 대표적인 고승인 홍진 국사는 동화사를 하안소 下安所로 삼고 대규모 중창을 이루었다. 현재 해탈교 건너편에 국사를 기리는 부도가 남아있다. 조선 시대에는 선조 39년 (1606) 유정 惟政사명대사, 숙종 3년(1677) 상숭 尙崇대사, 영조 8년(1732) 관허 冠虛, 운구 雲丘, 낙빈 洛濱, 청월 晴月 대사 등이 각각 중창 중건하였다. 대웅전을 비롯하여 천태각, 영상전, 봉서루, 심검당 등 현존하는 당우들은 대부분 조선조 영조 때 중창한 건물들이다. 지난 1992년 통일약사여래석조대불의 낙성을 전후해 동화사의 많은 당우들이 새롭게 지어졌다.
동화사를 향하는 길 내걸린 연등이 초파일이 가까워 옴을 알린다 동화사를 들어서는 파얼 일행들
수령이 500년 되었다는 느티나무 인악대사 나무
설법전은 해탈교를 지나 동화사의 바깥 마당 오른편에 있다.
봉서루 유리에 비친 대웅전 알록달록 연등이 산바람에 흔들린다 봉서루는 '봉황이 깃든 누각' 이란 뜻으로 동화사를 대표하는 누각이다.
이곳이 봉황의 꼬리 부분이며, 누각 오른쪽 귀퉁이에 있는 둥근 돌은 봉황의 알을 상징한다. 봉서루 뒤편에는 대웅전을 향해 '영남치영아문'의 현판이 걸려 있다.
동화사 대웅전은 팔공산을 대표하는 법당이다. 대웅전은 여러 차례 중창을 거듭하였는데 현재 건물을 조선 후기 영조 3년(1727)에서 영조 8년(1732) 사이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웅전 축대 아래 양쪽에는 한 쌍의 괘불대와 노주가 있고, 법당으로 오르는 층계는 정면에 반원형으로 쌓아 올렸다. 대웅전 내부 불단에는 석가모니 부처님을 주불로 좌측에 아미타불, 우측에 약사여래불을 모셨다. 또 천장에는 세 마리의 용과 여섯 마리의 봉황이 화려하게 조각되어 있다.
산신각
공양간 해탈교
당간지주
108의 계단
통일약사여래대불 석탑
통일대전
동화사를 내려오며 사찰에서 느낌은 어제나 고즈넉하다 일행들과 다녀도 더욱 혼자를 느끼게 한다 사찰이란 특수성이라서 그럴까 평상시 혼자 다니던 습관 때문일까
처마 끝의 풍경처럼 허공을 향해 울려 퍼지는 바람의 언어처럼 내 안으로 스며든 팔공산 동화사의 5월의 산바람을 긴 숨으로 호흡을 하며 찰칵이는 소리에 감동을 담아 본다
이 글이 유익하셨다면 아래 추천 버튼을 꾹 눌러주세요
|
|
출처: 호미숙-자전거랑 사진여행[호미호미카페] 원문보기 글쓴이: 호미숙 호미호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