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등과 정원등의 차이를 기술적으로 알고십어요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도로에 정원등은 건물이나 공원 주변에 설치하는 걸로만 알고 있는데 그런 기본적인 상식 말고 가로등은 도로폭 몇m 이상에 조도는 몇룩스 이상 유지 ,높이는 몇 이상등 구체적인 기술적 제원을 요합니다.전기를 모르는 상급자에게 객관적인 이해를 해야 하거든요 부탁합니다.
1) 전기시설
① 사용전선:CV 2.0mm2
② 기초내 전선관:내충격성 경질비닐 전선관(HI-VE)
③ 전선접속용 박스:설치
④ 시설물구조:빗물유입방지구조
2) 시공한계
① 외함 접지공사:전기공사(보안등과 공용접지)
② 정원등공사:전기공사(위치, 모양:조경)
③ 펌프시설:패널1차측까지 배관배선
④ 기타시설:시설물기초까지 배관배선
3) 전원공급
① 펌프시설:변전실에서 공급
② 기타시설:인근 보안등(격등회로)
2.. 자재사항
2.1 제작도면 검토 및 자재검수
가로등주의 제작도면은 특기 및 제작시방서, 설계상세도를 참고하여 검토한다.
2.1.1 가로등주
가. 등주의 재질 및 절곡선 뒤틀림 유무를 확인한다.
나. 베이스판의 홀(Hole) 규격 및 간격을 확인한다.
다. 등주의 높이(암(Arm)의 높이를 제외)를 확인한다.
가로등 높이
라. 등주 상부의 암과 결합되는 부분(8각주와 원형기구 접속)에 용접 미흡 등으로 등주 내 우수 침입 여부를 확인한다.
마. 암의 규격을 확인한다.
2.1.2 안정기 및 광원
가. 안정기는 고역률 정전력형을 사용한다.
나. 램프와 안정기는 동일회사 제품을 사용한다.
2.1.3 등기구
가. 몸체의 두께는 3mmt 이상으로 한다.
나. 벌레 침입이 방지되는 구조로 한다. (완전 밀폐형일 것)
다. 투명커버(두께는 3mmt 이상)의 표면에 불순물 부착 여부를 확인한다.
2.1.4 볼트 및 너트
가. 용융아연도금 제품을 사용한다. (지자체 요구시 스테인리스 제품 사용)
나. 특히 와셔는 등주 홀보다 규격이 커야 한다.
다. 볼트의 노출길이는 경계석 상단에서 60∼70mm 되도록 설치한다.(미장 마감, 너트, 와셔 등을 고려)
2.1.5 분전함
가. 완전 방수, 자연 통풍 구조이어야 한다.
나. 자물쇠 및 걸고리는 스테인리스 특수렌치 볼트를 사용한다.
다. 전선 단자대의 용량은 적정하여야 한다.
라. 계량기 검침함 외부의 덮판을 확인한다.
2.1.6 가로등 제어점멸기
재질, 규격, 점등방식은 지자체와 협의하여 결정한다.
가. 전면판의 기본 부품을 확인한다.
나. 각종 기능 적합 여부를 확인한다.
1) 프로그램 자기진단 기능
2) 대반사 방지 기능
3) 점·소등 프로그램 입력 기능(심야 및 4계절, 수동)
4) 축전지 내장 여부(정전시 1,000시간 유지)
3.. 시공사항
3.1 가로등
가. 배관의 매설시기 검토
1) 가로등 배관은 배관 완료 후 파손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배관의 매설시기가 중요하다.
2) 파손에 대비하여 배관과 입선을 별도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입선이 용이하도록 통선용 줄을 삽입한다.
나. 배관경로 검토
1) 녹지는 도시기반 시설이므로 관통배관을 제외하고는 배관매설을 지양한다.
2) 가로등 배관 위치는 가로수 수분의 크기에 따라 적정거리를 이격하여 가로수 식재시 파손을 방지한다.
다. 기초 및 가로등주 설치
1) 횡단보도 주위에는 가로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 간격을 조정한다.
2) 가로등 기초는 가로수 수분에 근접(2m 이내)되지 않도록 설치한다.
라. 기타
분양대지(목욕탕, 파출소, 유치원 등)에는 기초터파기 위치를 고려하여 배관한다.
3.1.1 기초 및 배관공사
가. 지지기초 설치 확인
1) 기초 제작
가로등 기초는 별도 제작하여 설치하거나 직접 현장 타설하여 제작하는 방법이 있다.
2) 기초 위치 확인
① 기초위치선정시 단지 및 매각용지(유치원, 상업용지, 학교 등)진입로부위의 경계석 낮춤시공 부위에 위치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② 교차로부위는 신호등, 보행등, 도로교통표지판용 등주 등을 감안하여 위치 선정한다.
③ 분전반 위치는 가급적 교차로에 여유공간을 설정하여 보행자 통행에 불편을 주지 않도록 한다.
3) 기초의 수직·수평 시공
앵커볼트와 기초의 상부면이 수직이 되어야 하며 종합주 기초 설치시 종합주 암의 접합부위가 도로를 정면으로 볼 수 있도록 정확히 설치한다. 또한 종합주기초는 설치 후 기초의 상부면을 상향조정 할 수 없으므로 기초상단 높이를 설정할 때 유의하여 설치하고 기초 상단면과 보도블록 마감선을 고려하여 경계석상단보다 약 30mm 높게 마감한다.
4) 배관의 위치
① 기초에서 인출되는 배관은 배관방향과 동일하도록 하고 입상배관은 중앙에 위치한다.
② 배관의 인출 위치는 매설깊이를 고려 600mm로 한다.
나. 배관공사
1) 매설심도는 도로 횡단부위는 1,200mm, 보도블록 등은 600mm 이상이다.
2) 배관의 경로는 가로수 수분 크기를 고려하여 충분히 이격한다.
3) 후속공정 진행상태를 확인한다.
4) 배관 내 통선용 줄을 삽입한다.
3.1.2 케이블포설공사
가. 전선은 CV 케이블을 사용한다.
나. 전선은 안정기 결선 등을 고려하여 충분한 여장을 확보한다.
다. 토목 보도블록 시공 전에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케이블의 파손여부를 확인한다.
3.1.3 기타 확인사항
가. 분전함 및 가로등주의 접지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하며 등주별로 단독접지한다.
나. 접지봉의 규격은 14ø×1,000이며 접지선은 BC 5.5mm2 이다.
다. 가로등주의 중성선 접촉 여부를 확인한다.
라. 가로등주의 수직 상태를 확인한다.
마. 가로등주는 등주 내에서 등주와 안정기를 접지한다.
바. 볼트 및 와셔의 부착상태를 확인한다.
사. 기초 미장 보완상태를 확인한다.
아. 등주 설치시 기초 상단의 끝선이 보도블록 마감면(보차도 경계석보다 20∼30mm 높게 설치)과 일치하도록 하고 등주는 도로 선형에 일직선이 되도록 한다.
자. 도로폭에 따라 암의 크기가 다르므로 상이한 규격이 혼용 시공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차. 가로등이 2등용일 경우 안정기 취부판과 안정기 커버를 전후면 또는 길게 제작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카. 신호등공사 착공 지연시 교통영향 평가서를 검토하여 교차로 부위의 신호등용 공배관을 설치한다.
..................
하지만 정원등은 이런 규격은 없죠..
일반적으로 정원등은 주문제작이나 이미 만들어진 디자인을 정원에 맞게 설치할뿐이니까요..
굳이 규격이라면 외장용 매입전선을 사용한다는 것이랄까요?..
요즘엔 낮에 태양열을 축전을 해서 밤에 자동으로켜지는 등도 있던데...이럴경우는 그나마도
전선이 필요 없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