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인의 죽음을 소천(召天)이라고 하는 것은 합당한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이 가장 혐오하는 것은 죽음이요, 그래서 죽음을 나타내는 데는 어느 나라 말에서나 완곡어법(婉曲語法)을 쓴다. 그 완곡어법은 또한 고인의 신분이나 종교 등에 따라 달리 쓰이기도 한다. ‘죽었다’는 말이나 ‘죽을 사(死)’자를 피하는 것은 물론 ‘별세’ ‘타계’ ‘운명’ 등 일반적인 말 외에 귀족들의 죽음을 나타내는 ‘훙거’ 왕의 죽음을 가리키는 ‘승하’ 외에 불교인의 ‘입적’ 가톨릭교인의 ‘선종’, 그리고 기독교인들이 쓰는 ‘소천’ 등이 있다. 여기서 우리가 고찰하고자 하는 것은 ‘소천’이라는 말이 언어학적인 면에서 가능하냐는 것이다. 국어사전에도 없는 이 말이 언제 누구에게서부터 쓰였는지는 몰라도 우리는 이미 보편화된 이 말에 언어학적인 해석을 붙여 바른 뜻을 알고 쓰지 않으면 안 된다.
먼저 ‘소천’(召天)이라는 한자어의 일반적인 구성 면에서 보면 “하늘을 부르다”라는 뜻으로서, ‘天’(하늘)을 ‘神’(=하나님)으로 대치하더라도 그것은 ‘부르다’(召)라는 동사의 목적어가 되므로 결국 “하늘을 불렀다”라는 뜻이 되므로 바른 말이 될 수 없다. 이것은 가톨릭교회에서 쓰는 ‘피정’(避靜; 소란한 세상을 피하여 고요한 고요한 곳으로 가는 것)의 경우와도 같지 않다. 즉 “하늘에로 부르다”로 풀이하여 쓴다면 “소천하다”가 아니라 “소천되시다” 또는 “소천을 맞으셨다”로 할 수 있고, 다른 한 가지 대안으로는 “서천(逝천)하시다”(하늘로 가시다)를 쓸 수 있다. 이 경우는 ‘상경’(上京)이나 ‘입성’(入城)과 유사한 경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