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본 설비의 설치 목적으로는 화재를 자동으로 조기 발견 경보하여 줌으로써 화재에 초기 대응과 피난을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라 하겠다. 화재가 발생되면 소실에 의한 직접적인 1차적
피해는 물론이며화재 진압시 방수에 의한 2차적 손실, 화염에 의한 건축물의 강도 저하 등
매우 커다란 물적 피해를입히며 때로는 귀중한 인명을 빼앗아갈 수도 있다. 화재에 의한 피해를 경감하기 위해서는 조기에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동화재탐지설비는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열·연기 또는 화염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화재를 감지하고 벨 또는 싸이렌 등에 음향
장치를 경보하여 화재를 조기에 발견하여초기 소화, 조기 피난을 가능케하는 설비로서 수신기, 감지기, 중계기, 발신기, 음향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동화재탐지설비는 비화재에
대한 동작으로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화재 감지기에 대한 신뢰성 향상을 위한 노력으로 꾸준히 연구 개발되어 왔다. 그러
나 현재 개발된 우수한 감지기들은 가격이 상당히 고가이므로 초기 설치 가격이 상승되는 것이 단점이다.
2. 법적 설치 대상물
● 자동 화재 탐지 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소방 대상물은 다음과 같다.
① 근린생활시설(일반목욕장을 제외한다)·위락시설·숙박시설·의료시설 및 복합건축물로서 연면적 600㎡ 이상인 것
② 일반목욕장·관람집회및운동시설·통신촬영 시설·관광휴게시설·지하가(터널을 제외한다)·판매시설·아파트 및 기숙사·업무시설·운수자동차관련시설·전 시시설· 공장 및 창고시설로서 연면적 1천㎡ 이상인 것
③ 교육연구시설(숙박시설이 있는 청소년시설을 제외한다)·종교시설· 동식물관련시설·위생등 관련시설 및 교정시설로서 연면적 2천㎡ 이상인 것
④ 제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공장 및 창고시설로서 별표 4에서 정하는 수량의 500배이상의 특수가연물을 저장·취급하는 것
⑤ 지하구로서 행정자치부령이 정하는 것
⑥ 청소년시설(숙박시설이 있는 시설에 한한다) 또는 노유자 시설로서 연면적이 400㎡ 이상이고 수용인원(별표 4의2에서 정하는 바에 의하여 계산한 인원을 말한다)이 100인 이상인
것
3. 경계 구역
경계 구역이란 자동화재탐지 설비의 1회로가 화재의 발생을 유효하게 탐지 할 수 있는 구역을 말하며 부령 제82조에 설치 기준이 명시되어 있다.
1) 경계 구역
① 자동 화재 탐지 설비의 경계 구역은 다음 각호의 기준에 의하여 설정하여야 한다
㉮ 하나의 경계 구역이 2개 이상의 건축물에 미치지 아니하도록할 것
㉯ 하나의 경계 구역이 2개 이상의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할 것. 다만, 500㎡ 이하의 범위안에 서는 2개층 을 하나의 경계 구역으로 할 수있다
㉰ 하나의 경계 구역의 면적은 600㎡ 이하로 하고, 한변의 길이는 50m 이하로 할 것. 다만,
당해소방 대상물의 주된 출입구에서 그 내부 전체가 보이는 것에 있어서는 1000㎡ 이하로 할
수있다
② 계단(직통 계단외의 것에 있어서는 떨어져 있는 상하 계단의 상호간의 수평 거리가 5미터
이하 로서 서로간에 구획 되지 아니한 것에 한한다. 이하 이항에서 같다)경사로, 엘리베이터권상기실, 린넨슈트, 파이프닥트 기타 이와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는 별도로 경계 구역을 설정하되, 하 나의 경계 구역은 높이 45m 이하(계단 및 경사로에 한한다)로 하고, 지하층의 계단 및 경사로(지하층의 층수가 1일 경우는 제외 한다)는 별도로 하나의 경계 구역으로 하여야 한다. 이 경우 하나의 건축물에 수평 거리 50m 범위안에 2 이상의 계단, 경사로 등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하나의 경계 구역으로 할 수있다
③ 외기에 면하여 상시 개방된 부분이 있는 차고.주차장.창고 등에 있어서는 외기에 면하는
각부분으로 부터 5m 미만의 범위안에 있는 부분은 경계 구역의 면적에 삽입하지 아니한다
④ 스프링클러 설비, 물분무 소화 설비, 포소화 설비, 이산화탄소 소화 설비, 할로겐 화합물
소화설비, 분말소화 설비의 감지 장치로서 자동 화재 탐지 설비의 감지기를 설치한 경우의
경계 구역은 당해 소화 설비의 방사 구역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있다
4. 구조 원리 |
소방 대상물 |
연면적 |
저장·취급량 |
근린 생활 및 위학 시설, 노유자 시설, 의료 시설 및 복합 건축물 |
600m2 이상 |
|
일반 목욕장, 판매 시설, 아파트 및 기숙사, 업무 시설, 관람 집회 및 운동 시설, 통신 촬영 시설, 관광 휴게 시설, 지하가, 운수 자동차 관련 시설, 전시 시설, 공장 및 창고 시설 |
1,000m2이상 |
|
교육 연구 시설, 종교 시설, 동·식물 관련시설, 위생 등 관련시설 및 교정시설 |
2,000m2이상 |
|
공장 및 창고에서의 특수 가연물(소방법 시행령 별표4) |
|
500배 이상 |
지하구 |
내무부령이 정한 것 |
|
가) 수신기
⑴ 수신기
(가) 설치 기준(소방 기술 기준에 관한 규칙 제83조)
① 자동 화재 탐지 설비의 수신기는 다음의 기준에 의하여 P형 1급. P형 2급. R형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 이경우 당해 소방 대상물에 가스 누설탐지 설비가
설치되었을 때에는 G.P형 또는 G.R형의 수신기로 겸용하거나 가스 누설탐지 설비 수신부를
별 도로 설치하여야 한다.
1. 4층 이상의 소방 대상물에 있어서는 P형 1급 수신기 또는 R형 수신기를 설치할 것
2. 소방 대상물로서 연면적 350제곱미터를 초과하는 것에 있어서는 P형 1급 수신기. R형 수신기 또는 회선 수가 2이상인 P형 2급 수신기를 설치할 것
3. 수신기에 접속할 수있는 회선수가 하나인 소방 대상물에 있어서는 P형 1급 수신기 또는 P형 2급 수신 기를 설치할 것
4. 제1호 내지 제3호외의 소방 대상물에 있어서는 P형 1급 수신기. P형 2급 수신기 또는R형
수신기를 설 치할 것
② 자동 화재 탐지 설비의 수신기는 소방 대상물 또는 그부분이 지하층.무창층 등으로서 환기가 잘 되지 아니하거나 실내 용적이 적은 장소 또는 감지기의 부착면과 실내바닥의 사이가
가까운 장소로서 일시 적으로 발생한 열기.연기 또는 먼지 등으로 인
하여 감지기가 화재 신호를 발신할 우려가 있는 때에는 화재시에만 경보를 발할 수 있는 성능 이상의 것(축적형 감지기가 설치된 장소에는 감지기 회로의 감시 전류를단속적으로 차단시켜 화재를 판단하는 방식외의 것을 말한다)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제85조 제1항 단서의 규정에 의한 감지기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신설 93.11.11>
③ 수신기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1.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고 있는 장소에 설치하고, 그 장소에는 경계 구역 일람도를
비치할 것
2. 수신기의 음량 기구는 그 음량 및 음색이 다른 기기의 소음 등과 명확히 구별될 수있는 것으로할 것
3. 수신기는 감지기.중계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하는 경계 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할
것
4. 화재.가스.전기 등에 대한 종합 방재반을 설치한 경우에는 당해 조작반에 수신기의 작동과 연동하여 감지기.중계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하는 경계 구역을 표시할수 있는 것으로할 것
5. 하나의 경계 구역은 하나의 표시등 또는 하나의 문자로 표시되도록할 것. <개정95.5.27.>
6. 수신기의 조작 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0.8미터 이상 1.5미터 이하인 장소에 설치할 것
7. 하나의 소방 대상물에 2이상의 수신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신기가 설치된 장소상호간에 동시 통화가 가능한 설비를 설치할 것
(나) 수신기에 대한 정의
1) P형 수신기: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공통 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당해 소방 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하여주는 것을 말한다.
2) R형 수신기: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고유 신호 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당해 소방 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하여주는 것을 말한다.
3) M형 수신기: M형 발신기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소방관서에
통보하는 것을 말한다
4) GP형 수신기: P형 수신기의 기능과 가스 누설 경보기의 기능을 겸한 것을 말한다.
5) GR형 수신기: R형 수신기의 기능과 가스 누설 경보기의 기능을 겸한 것을 말한다.
1. 축적식 수신기
화재 신호를 받은 경우에도 곧바로 화재를 표시하지 않고 5초 초과∼ 60초 이내에 감지가 재차 화재 신호를 발하는 경우에만 화재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감지기 신호의 확실성을
판단하여 비화재 경보를 방지할 수 있고, 발신기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할 경우에는 축적 기능이 자동적으로 해제되어 음향 장치가 즉시 작동한다.
2. 다신호식 수신기
화재 신호를 한번 수신하면 주음향 장치 및 표시 장치만을 작동시켜 수신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근무하는 관계자에게 알리고 두번째의 화재 신호를 수신하는경우 화재 발생을 방화
대상물 전체에 통보한다. 이 수신기는 발신기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할 경우에는 상기 기능이 자동적으로 해제되어 음향 장치 가 즉시 작동한다.
3. 아날로그 수신기
감지기로부터 화재 정보를 수신하며, 표시 온도 등의 설정이 가능한 감도 설정 장치가 있다.
화재 정보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표시 장치 및 주음향 장치에 의해이상의 발생을 자동으로
표시하고, 화재 표시 를 할 정도에도 달할 경우 주음향 장치, 구역 음향 장치 및 표시 장치
등 모든 표시 및 음향 장치를 작동 시킨다. 표시온도의 설정 일람도를 구비해야 되며, 표시
온도등은 아날로그식 감지기의 종별에 적합하고, 설정 표시 온도 범위내에서 유지할 수있는
것이어야 한다.
나) 감지기
|
|
1. 개념
자동 화재 탐지 설비라고하며 어떤 원인에 의하여 발생한 화재를 초기에 열, 연기, 불꽃 등의
연소 생성물을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건물내의 관계자에게 발화 장소를 표시하여 주며, 동시에 거주자들에게 대피 신호를 발하는 설비로서 감지기, 수신기, 발신기, 음향 장치, 배선, 전원 등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설비 역할을 하는 경보 설비이다.
2. 방재 설비의 구성 요소
1) P형 수신기: 일반적으로 소규모 건물에서 가장 많이 사용.
2) R형 수신기: 대규모 건물, 가격, 유지 관리, 설치 방법, 신뢰성 등이 우수, 적은 선로수,
선로 길이 확장 가능, 증설 또는 이설 용이, 화재 발생 지구 표시 가능, 신호 전달 정확.
● P형 감지기
감지기, 발신기, 경종 등을 실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서 중·소규모의 건물에 많이 사용된다. P형 수신기는 1급과 2급으로 구분되나, 2급은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4층 이상의 건물에는 반드시 1급을 설치하도록 되어있다.
● R형 감지기
감지기, 발신기와 수신기의 사이에 중계기를 접속하여 감지기나 발신기에서 발하여지는 신호를 고유의 신호로서 수신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회선수가 많거나 한구내의 다수동 건물을 집중관리하고자 할때 또는 회선수의 증설계획이 있는 경우에 사용한다.
● GP, GR형 감지기
P형 또는 R형 수신기에 가스 누설 탐지 기능을 부가한 것을 말한다. <기술 기준 규칙제83조>
- 수신기는 수위실 등 항시 사람이 있는 장소에 설치하고, 화재 신호를 수신할 때 즉시 적절한 조치를 행하여야 한다.
- 수신기 설치 장소에 경계 구역 일람도를 비치한다.
- 하나의 소방 대상물에 2이상의 수신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신기가 설치된 장소 상호간에 동시 통화가 가능한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 지하층, 무창층으로서 환기가 잘되지 아니하거나 실내 용적이 작은 장소 또는 감지기의 부착면과 실내 바닥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장소로서 오동작의 우려가 있을 때에는 화재시에만
경보를 발할 수 있는 성능의 수신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3. 감지기 분류
감지기는 검출 원리에 따라 열식과 연기식 및 화염식으로 대별하며, 열감지는 기능상 차동식, 정온식, 보 상식으로 나눈다. 이용 방법에 따라 스포트형(Spot), 분포형으로 구분하며,
검출 방법이나 소자 등에 따라 공기관식, 열전대식, 열반도체식으로 나눈다. 연기 감지기는
공기중의 연기 검출 원리에 따라 이온화식, 광전식으로, 검출 방법에 따라 축척형, 비축척형으로 구분한다. 광전식은 산란광식과 감광식이 있다. 감도에 따라 빠른 것에서부터 특종, 1종, 2종, 3종으로 구분한다. 기타 특수한 장소 및 환경에 적응시킨 방폭형, 방수형 등이 있으며, 폭발의 위험이 높은 장소에는 보다 신속한 감지를 위해 자외선(UV:Ultraviolet), 적외선
(IR:Infrared)등을 설치한다.
① 감지기의 종별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는 그 주위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작동하는 것으로서
국소적인 열효과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말한다. 감도에 따라 1종 및 2종으로 나뉘어 있으며
구조 및 기능은 다음과 같다.
㉠ 공기의 팽창을 이용한 것 |

|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는 감열실, 다이어프램,
리크구멍(공) 및 접점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재시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받으면 감열실내의 공기가 감지기 주위의 온도 변화에 따라 팽창하여 다이어프램을 압박함으로써 접점을 붙여
발신 신호 를 만들어 수신기에 화재 신호를 보내게 된다. 난방등에 의한 실내 온도의 완만한 온도 상승에 대해서는 리크구멍(공)의 작용에 의해 외부 압력과 균형을 유지하면서 접점이 닿지않게 되어 있다 |
|
㉡ 열기 전력을 이용한 것 |

|
반도체, 열전대, 고감도 릴레이로 구성되며 화재 시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받으면 감열실내에
고정 된 반도체 열전대가 열기전력을 발생시켜고 감도 릴레이의 접점을 붙여 발신 회로를 만들어 수신 기에 화재 신호를 보내게 된다. |
|
(2) 연기 감지기
이온화식 감지기와 광전식의 두종류로 나뉘어져 있다. 이온화식이란 검지부에 연기(연소 생성물)가 들어가면 전류가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방식인 것이다. 한편, 광전식이란 검지부안에 연기가 들어가면 이 연기에 의하여 평상시 광전 소자에 의하여 일정하게
흐르던 전류의 값을 변화시켜 화재를 감지하는 방식이다. 감도에 따라 1종과 2종 및 3종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그의 구조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이온화식 감지기 |

|
일반적으로 연기가 흘러 들어가는 외부 이온실과 밀폐된
내부 이온실이 있으며 양이온실은 아래 그림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감시 상태에서는 내부 이온 실의 +극과 외부 이온실의 -극사이에는 정전압 V가 인가 되어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연소 생성물이 없는 외부
이온 실의 전압 -전류의 특성은 아래 그림의 곡선 ㉮로 표시되고 서로 직렬로 접속된 외부 이온실과 내부 이온실에는 I1의 이온 전류가 흐르고 있는데 이 경우 외부 이온실에는 V1의 전압이 가해지는 것이다. 연기가 발생하여 외부
이온실안에 들어가면 이온 전류가 감소하여 외부 이온실과
내부 이온실 의 전압비가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압차를 증폭 시켜 감자기에 편성되어 있는 전기 회로를
작동시킴으로서 수신기에 화재 경보를 발하도록(이중 중계기를 필요로 하 는 것은 중계기를 통하여)한 것이 이온화식 감지기의 작동 원리인 것이다. 내부 및 외부 이온실의
방사선원은 써파( ) 선이며 원소로서 아메리슘
241(Am241) 또는 라듐(Ra) 등이 사용된다. |
|
㉯ 광전식 감지기 |

|
일반적으로 산란광 방식이 쓰여지며 구조 원리는 주
위의 빛을 완전히 차단하여, 연기 만들어갈 수 있게
한 암상자의 한쪽에서 광원램프의 광원을 한 방향으로 모아 비추어주고 이 광속의 산란광을 받는 방향에
광전 소자가 부착되어서(아래 그림) 밀폐된 상자안의
공기가 깨끗할 때에는 그 산란이 없으므로 광전 소자는 빛을 전혀 받지 않고 아무런 변화도 생기지 않지만 화재시 연기가 밀폐된 상장안에 진입하면 연기입자에 의해 광원 램프에서 빛이 산란 현상을 일으켜
광전 소자는 그 산란광의 일부를 받아 전기 저항이
변하게 된다. 그림은 연기나 가스같은 것들이 밀 폐된 상자안에 들어가 산란광을 일으켜 전기 저항이 변화되는 상태를 표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전기 저항의
감소에 따른 전류의 흐름의 증가를 스위칭 회로로 검출하여 수신기(중계기를 필요로 하는 것에 있어서 중계기를 통하여)로 신호를 보내도록 되어 있는 것이
광전식 연기 감지기인 것이다.
|
|
(3) 정온식 감지기
㉮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 |

|
한정된 장소의 주위 온도가 일정한 온 도
이상으로 되었을 때 작동하는 것으로서,
금속의 팽창을 이용한 것. 금속 의 용적을
이용한 것, 가용 전연물을 이 용한 것, 반도에의 열효과를 이용한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감도에 따라 특 종, 1종 및 2종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그것들의 구조 및 기능은 다음과 같다. |
|
㉠ 바이메탈의 활곡을 이용한 것
바이메탈이 열을 받아 아래 그림과 같이 활모양으로 휘면서 접점을 닿게 하는 것이다.
㉡ 금속의 팽창 계수차를 이용한 것
그림과 같이 팽창 계수의 서로 다른 두금속을 각각 내부와 외부에 설치하여 온도 변화시 각 금속내의 선팽창의 차에 의해 접점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
|
㉢ 액체(기체)의 팽창을 이용한 것 |

|
아래 그림과 같이 수열체인반전판이 열을 일정 온도에
달하 면 반전판안의 액체가 기화되면서 팽창하여 그 힘에 의해 반전하게 됨으로써 접점을 붙이는 방식인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 쓰여지는 액체로는 흔히 알코올 등이
쓰여 지고 있다. |
|
-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 주위 온도가 일정 상승률 이상이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것으로서
일국 소에서의 열효과에 의하여 작동하는 것.
-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주위 온도가 일정 상승률 이상이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것으로서
넓은 범위내에서의 열효과에 의하여 작동하는 것
-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 일국소의 주위 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것으로서 외관이 전선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것.
-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일국소의 주위 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것으로서 외관이 전선으로 되어 있는 것.
- 보상식 스포트형 감지기: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와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의 성능을 겸한 것으로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 또는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의 한 기능이 작동되면 작동
신호를 발하는 것.
- 이온화식 연기 감지기: 주위의 공기가 일정한 농도의 연기를 포함하게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것으로서 일국소의 연기에 의하여 이온 전류가 변화하여 작동하는 것.
- 광전식 연기 감지기: 주위의 공기가 일정한 농도의 연기를 포함하게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것으로서 일국소의 연기에 의하여 광전 소자에 접하는 광량의 변화로 작동하는 것.
- 열연복합형 감지기: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와 이온화식 연기 감지기,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와 광전식 연기 감지기,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와 이온화식 연기 감지기,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와 광전식 연기 감지기의 성능이 있는 것으로서 두가지의 감지기능이 함께 작동하면 작동 신호를 발 하는 것.
- 열복합형 감지기: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와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의 성능이 있는 것으로서 두가지의 기능이 함께 작동되면 작동 신호를 발하는 것.
- 연기 복합형 감지기: 이온화식 연기 감지기와 광전식 연기 감지기의 성능이 있는 것으로서
두가지의 기능이 함께 작동되면 작동 신호를 발하는 것.
- 단독 경보형 감지기: 감지기에 음향 장치가 내장되어 일체로 되어 있는 것.
* 감지기의 형식
- 다신호식: 1개의 감직내에 서로 다른 종별 또는 감도 등의 기능을 갖춘 것으로서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각각 다른 2개 이상의 화재 신호를 말하는 것.
- 방폭형: 폭발성 가스가 용기 내부에서 폭발하였을 때 용기가 그 압력에 견디거나 또는 외부의 폭발성 가스에 인화될 우려가 없도록 만들어진 형태의 것.
- 방수형: 그 구조가 방수 주조로 되어 있는 것.
- 재용형: 작동후 다시 사용할 수있는 성능을 가진 것.
- 축적형: 일정 농도 이상의 연기가 일정 기간(공칭 축적 시간)연속하는 것을 전기적으로 검출함으로써 작동하는 것(다만, 단순히 작동 시간만을 지연시키는 것은 제외)
- 아날로그식: 주위의 온도 또는 연기의 양의 변화에 따라 각각 다른 전류치 또는 전압치 등의 출력을 발하는 방식의 것. <기술 기준 규칙 제85조>
* 감지기 설치 기준
- 환기구 등으로부터 1.5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차동식 분포형 제외)
- 스포트형 감지기는 45도 이상 경사되지 않도록 설치
- 보상식 또는 정온식 감지기는 주위의 평상시 최고 온도가 공칭 작동 온도 또는 정온점보다
20도 이상 낮은 장소에 설치
-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검출부는 5도 이상 경사되지 않도록 하고, 공기관은 감지 구역의
부착면의 각면에서 1.5m 이내의 부분에 미치도록 설치
- 지하층, 무창층 또는 실내 용적이 작은 장소로서 오동작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복합형
또는 축적형 감지기 설치
● 감지기의 적응성 |
설치 장소 |
적응 감지기 |
차동식
스포트형 |
차동식
분포형 |
보상식
스포트형 |
정온식 |
연기 감지기 |
1종 |
2종 |
1종 |
2종 |
1종 |
2종 |
특종 |
1종 |
1종 |
2종 |
축적 |
소방법 시행령 별표 1의
건물 |
△ |
○ |
△ |
○ |
△ |
○ |
○ |
△ |
△ |
○ |
○ |
철판, 슬레이트 등으로 덮인 지붕의 반자안
또는 철판, 슬레이트 등으로 덮인 지붕으로
, 반자가 없는 것 |
X |
○ |
X |
○ |
X |
○ |
○ |
○ |
X |
○ |
○ |
주방, 보일러실,
발전기실, 탕비실, 소독실, 압연, 단조, 주조, 건조, 소부 등을 행하는 장소 |
X |
X |
X |
X |
X |
X |
△ |
○ |
X |
X |
X |
증기가 다량으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장소 |
X |
X |
X |
△ |
X |
X |
○ |
○ |
X |
X |
X |
입체 주차장, 격납고 등
|
X |
○ |
X |
○ |
X |
○ |
○ |
X |
X |
△ |
○ |
TV, 영화 스튜디오 |
X |
△ |
X |
△ |
X |
△ |
○ |
○ |
X |
○ |
○ |
사고, 지하 창고 등 |
△ |
○ |
△ |
○ |
△ |
○ |
○ |
|
△ |
○ |
○ |
발화시 온도 상승이 완만한 것으로 예상 되는 장소
|
X |
X |
○ |
X |
○ |
○ |
○ |
○ |
△ |
○ |
○ |
계단, 경사로, 복도, 통로, 엘리베이터, 승강로, 파이프피트 등 |
X |
X |
X |
X |
X |
X |
X |
X |
△ |
○ |
○ |
전산기기실, 통신기기실 |
△ |
X |
△ |
X |
△ |
X |
△ |
X |
△ |
○ |
○ |
소회의실, 흡연실 |
X |
○ |
X |
○ |
X |
○ |
○ |
X |
X |
△ |
○ |
|
* 연기 감지기의 설치
- 15m 이상의 계단, 경사로 및 파이프덕트 등: 수직 거리 15m마다
- 30m 이상의 복도: 보행 거리 30m마다
- 반자의 높이가 15m 이상 20m 미만인 장소 등
* 감지기의 설치가 완화되는 장소
- 부착면의 높이가 20m 이상인 장소
- 외부 기류의 유통으로 화재를 유효하게 감지하기 어려운 장소
- 연기 감지기의 경우, 분진, 수증기, 부식성 가스 발생 및 정상시 연기 체류 장소
- 실내용적이 20m3 이하인 소규모의 장소 등
4. 감지기 종류
가.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기
송광부와 수광부로 구성.송광부에서 상시 수광부에 빛을 보내고 있어 이들 사이에 연기가 유입되면 광로의 축을 방해하게 되어 수광량이 감소한다. 수광량의 감소가 설정치 이상이 되면
화재 신호를 발한다.
나. 불꽃 감지기
불꽃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또는 자외선의 변화가 일정량 이상이 되었을 경우와 일국소의 자외선, 외선수광소자가 받는 수광량의 변화로서 작동한다. 자외선 감지기는 수광소자로 UV
Tron이라는 외부 광전 효과를 이용한 방전관이 사용되며, 적외선 감 지기는 이산화탄소 공명 검지 방식, 2파장 검지 방식, 정방사 검지 방식, Flicker(깜박임) 검지 방식 등을 이용한다. 광학 불꽃 감지기 연소 불꽃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스펙트럼과 가시 광선, 자외선의 전자기 복사에 대해 반응한다.
① UV 불꽃 감지기는 185∼260㎛의 한계 자외선 대역에서 반응.
② IR 감지기는 4.35㎛에 집중된 적외선 방사의 협대역에서 반응.메탄, 가솔린, 오일, 그리스, 나무와 같은 탄화수소 연료가 낳은 화염은 탄화수소 생성물인 CO₂ 방사 대역 때문에
4.35㎛에서 많은 량에 IR을 방출.
③ 2중 IR 불꽃 감지기 불꽃을 감지하기 위해 2개의 IR 센닝엘리먼트를 결합한다. 그 중 하나는 초전기 IR 감지기와 서모파일 IR감지기를 사용·결합함으로써 감지기는 변동 IR방사와 상대 IR감도 또는 화재 규모를 감지한다.(광학렌지상에 오일과 그리스가 묻어 있
을지라도 제기능을 다하고 둘러 쌓인 영역의 화재에서 나는 짙은 연기 때문에 센싱은 방해되지 않는다.)
④ UV/IR 감지기 UV광전관에 초전기 IR감지기를 결합함으로써 전광, 아크 용접, 뜨거운 물체, 반사된 햇빛 그리고 다른 방사원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허위 경보를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조악한 산업 환경에서 매우 정확하다. 반응 시간은 1∼5초 이내이다.
※ UV/IR결합과 IR 불꽃 감지기는 수소, 암모니아, 황과 같은 무탄소 연료에서는 불꽃을 확실하게 감지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협대역 4.35㎛에서는 IR 방사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다. 축적형 감지기
축적식 수신기의 기능을 감지기가 대신하는 것으로서 화재 신호의 발신을 단순히 지연시키는
것이 아니라 화재의 지속을 일정한 시간에 재확인한 후 화재 신호를 발신하는 기능이 있다.
라. 다신호식 감지기
성능, 종별, 공칭 작동 온도 또는 공칭축적 시간별로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화재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보상식 감지기와 다른 점은 보상식 감지기는 AND개념인데 반해 다신호식 감지기는 OR개념이다.
마. 아날로그 감지기
열, 연기, 불꽃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고, 화재가 발생된 신호를 발하며,
화재에 의해 발생된 열, 연기의 정도나 기타 화재의 정도에 관한 신호를 발하고, 현시점의 열
또는 연기 농도나 다단층의 화재 정도에 관한 정보를 발하는 감지기로 보다 많은 화재 정보를 발할 수 있다.
바. 복합형 감지기
2가지 성능을 가진 감지기로 각각 화재를 감지했을 때 화재 신호를 발하는 것으로서 연기복합형 감지기와 열·연기 복합형 감지기, 열복합형 감지기 등이 있다.
사. 화재 가스 감지기
반도체나 촉매 반응을 일으키는 소자를 사용, 반도체을 이용하는 감지기는 화재시 발생된 가스에 의해 반도체의 도전성 변화를 감지한다. 촉매 소자를 이용한 감지기는 온도 상승시 촉매 소자의 저항 변화를 감지한다. 가스 감지 소자∼반도체를 이용한 센서, 안정화지르코니아를 이용한 고체전해질센서, 산화·환원전 위차를 이용한 전기 화학식 센서, 바이오 센서 등을 사용한다.
아. Addressable 감지기
각각에 고유 신호가 있어서 호텔 등과 같이 구획이 많은 장소에서 화재를 감지한 감지기의
위치를 알 수 있는 감지기이다. 이 감지기를 이용하려면 기존의 각 회로별 배선을 하는 일반
배선 방법을 사용하는 대신에 다중 통신(Multiplexing)방식이 이용된다.
자.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기존의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는 2가닥의 철선에 각각 특정의
온도에서 녹는 물질을 피복한 후 서로 꼬아서 외피를 입힌 감지선을 이용하여, 화재시 온도가 상승하면 피복 물질이 녹아 2가닥의 철선이 단락을 일으켜서 전류가 흘러 작동한다. 새로운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는 4개의 동선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각각은 부온도계 수(온도가 상승하면 저항이 낮아짐)를 가진 물질로 피복되어 있어, 화재시 온도가 상승하면 동선 사이의 저항이 낮아지고, 이러한 변화는 특정 온도에서 전류의 흐름을 증가시켜 경보를 발한다. 이 감지선은 200℃ 이상의 열을 받지 않으면 재사용이 가능하다.
차. 공기 샘플링(Air Sampling) 감지기
고가의 재산 보호를 위해 화재시 조기 경보를 해야 하는 곳에서 사용된다. 대개 이런 곳은 항온·항습기, 에어컨 등의 공기 조화 설비가 설치되어 있어 실내의 공기 흐름이 빠르므로 불이 나더라도 연기가 이러한 공기 조화 설비의 공기 흐름에 희석되어 버린다. 기존의 공기 샘플링 감지에는 Cloud Chamber형과 초미립자 검출 감지기(Submicrometer Particle
Counting Detector)가 있다. Cloud Chamber형 공기 샘플링 감지기는 연소 초기의 초미립자 연소 생성물을 수증기의 응축에 의해 크기를 증대시켜 기존의 광전식 감지기로 화재를 감지한다. 초미립자 검출 감지기의 VESDA Xenon(Very Early Smoke Detecting
Apparaturs Xenon:상품명)는 크세논 램프를 이용하는 산란 광식 화재 감지기이다. 새로운
공기 샘플링 감지기는 고감도 연기 감지기 (High Sensitive Smoke Detector)로서 공기를
샘플링하는 방법은 기존과 동일하나 레이저를 이용하는 감지기다. 구성은 원심팬을 가진 공기실, 레이저빔 감지실, 1개의 단일 양자 발생 다이오드센서 등 3가지 주요 핵심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법은 단일 양자 발생 다이오드센서에서 연기가 레이저빔을 통과할 때 연기의 입자를 감지하여 판독 장치에 의해 출력하고, 기타 공기에 부유하는 오염 물질로부터 나오는 출력은 소멸시킨다. 장점은 레이저는 최소 10년의 내구 수명과 장기간 안정된 출력을
유지하고, 온도의 변화, 구성품의 연수 경과 또는 오염 물질의 축적으로 인한 레이저 강도의
변화는 전자적으로 보상된다. 그리고 구 성품의 오동작 또는 공기 흐름의 변동이 있을시 고장 신호를 자동으로 수신반으로 송신한다. 또한, 기존의 연기 감지기보다 1,000 ∼ 2,000배
정도 감도가 우수하며, 화재가 아닌 과열 상태도 감지할 수 있다. VESDA Xenon 감지기는
필터가 없으며 분진과 같은 대형 입자에 의해 비화재보를 발생하나 고감도 연기 감지기는 연기 입자에만 반응한다. 국내에는 ANALASER와 VESDA Laser PLUS라는 상표로 수입하여
판매되고 있다.
* 참고
1) 분진: 미세한 독립 입자의 액체 또는 고체 알갱이를 말한다. 입자의 직경은 100㎛ 이하 이다.
2) CO(일산화탄소): 무색, 무취, 무미의 기체. 공기중에 점화하면 청색의 화염을 내고 CO₂가 된다. 생성은 온도가 높을수록, 연소시 압력이 증가할수록 많이 생성된다.
3) HC(탄화수소): 탄소와 수소를 갖는 유기물의 총칭.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2차 오염에 관여 한다.
4) Cl2(염소): 의약품 제조, 활성탄 제조시 생성되며, 25∼50ppm에서는 생명이 위험하다.
5) NH3(암모니아): 2,000ppm에서 호흡 곤란을 일으키며 5,000∼10,000ppm에서는 호흡 곤란과 의식이 불명해진다.
6) HCN(시안화수소): 휘발성이 매우 높고, 물보다 가벼운 액체이며, 가스는 공기보다 가볍고 희미한 아몬드 냄새가 나며, 시안화칼륨보다 독성이 2배 이상이 강해 인체에 치명적인 상처를 입힐 수있다.
나) 통신 방법
(1) 무선 통신
방법은 Addressable 유선 시스템과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한다. 주요 구성은 유선과 동일하다. 발신기에는 하나의 경계 구역용 입력이기는하나 무선 수신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감지기는 전용 무선 수신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 장치와 배터리가 수납되어 있다. 감지기는 고유신호를 송신하므로 하나의 감지기가 기능을 상실하여도 그 설비의 다른 부분을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2) 유선 통신
① 외선 방식- 1선으로 1개의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
② 다중 통신(Multiplexing)- 1선으로 다수의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 전선의 가닥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대부분 R형 수신기에서 사용되나 P형 수신기에도 사용 가능하다.
Addressable 감지기를 이용하면 화재 신호를 각 감지기 별로 수신할 수 있다.
다) 분산 제어 방식
(1) 기존 방식
수신기에서 모든 기능을 감시 및 제어하는 중앙 집중식이어서, 고장이 나면 전체 방재설비의
기능이 정지하게 된다.
(2) 새로운 방식
수신기가 고장나면 각 중계기가 수신기 역할을 하여 정상 작동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중계기 고장시나 한 회로의 단선시 고장난 중계기나 단선된 회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는 정상
작동이 가능하다. 국내에는 SIMPLEX, MXLV라는 상표로 수입 판매되고 있으며, 국산으로는 HI-MUX가 있다.
● 기술 동향
지금까지 개발된 방재설비 기술은 매우 다양하며, 그 응용 분야도 단지 화재의 경보에서 벗어나 방화문, 방화셔터의 자동 개폐, 제연설비, 소화설비의 자동 작동, 비상방송 설비의 작동
등 다양화되고 있다. 새로 개발된 많은 방재 설비는 비화재보를 얼마나 줄일 수 있느냐에 그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러한 용도의 많은 감지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가. 온도 분포 감지
ITV(일명 CCTV)를 사용하여 온도 분포를 색별로 컬러 모니터상에 표시하여 화재를 감시하는 방법이 연구중에 있다. 3 ∼5℃마다 색상을 다르게 하고, 일정 온도의 면적이 어느 정도
커지면 경보를 발하며 동시에 온도가 가장 높은 점의 좌표를 방수 모니터에 지시하여 자동으로 발화지점에 물을 살수하는 방식으로, 방호 대상물에 사람의 유·무에 따라 경보기준 레벨을 달리하며, 유·무인의 선택 조작은 인체 감지기를 써서 할 수 있다.
나. 소리 감지
연소에 의해 생기는 현상중 연소시 가연물에서 발생된 가스, 수증기 등이 연소열과 반응하여
파열할 때 나는 소리가 있다. 이 소리는 진동을 공기중에 주게 되고 이러한 진동 주파수를 분석하여 화재시 발생되는 주파수 대역을 정한 후 그 주파수 영역에서 응답하는 감지기를 설계한 것이다.
다. 일산화탄소 감지
화재시 발생되는 가스로는 CO, CO₂, CL(염소), HCN(시안화수소), HF(불소), HS(황화수소), NO(일산화질소), NH3 등이 있다. 이들의 종류는 연소되는 연료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모든 화재시 발생되는 것이 CO이다. 감지기는 고분자 필름 센서, 전기 화학 원리 및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CO를 감지한다. 미국에서는 이미 실용화되어 있으며, 일본에서는 시험적인
제품이 제작되었고, 유럽에서는 시험 단계에 있다.
라. 인공 지능형 감지기
감지기가 설치된 환경, 즉 연기나 감지기의 감도에 영향을 줄만한 여러 가지 물질들이 일정량 존재하고 있을 때 이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감지기의 경보 레벨을 일정분만큼 자동조절하여 기본적인 비화 재보를 재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마. 복합 센싱
현재 세계적으로 여러개의 복합 센서를 1개의 하우징에 수장하여 그 각각의 감지 특성을 분석하고 각각의 센서 특성을 알고리즘화한 후 감지기의 제어 프로그램에 내장하여 화재를 감시하는 추세이다. 이 기술이 일반화되면 비화재보를 지금의 100분의 1정도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바. 소프트웨어
근래에는 퍼지 이론(Fuzzy Theory) 및 신경망 이론(Neural Network)을 방재 설비에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3) 발신기
발신기는 감지기가 작동되기 전에 화재를 발견한 사람이 누름 버튼을 조작하여 수신기에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서, 국내에서는 P형 발신기가 사용되고 있다. P형 발신기는 수동으로 수신기에 신호를 발신하는 것으로서 수신기와의 전화 연락 장치 여부에 따라 1급과 2급으로 구분하고, 방수성의 유무에 따라 옥외형과 옥내형으로 구분한다. <기술 기준 규칙 제88조>
- 조작이 쉬운 장소에 설치하고, 누름 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
- 발신기는 감지기 회로의 끝부분에 설치한다.
- 층마다 설치하고, 각부로부터 발신기까지의 수평 거리가 25m 이하가 되도록 한다.
- 발신기 상부에 설치되는 위치 표시등은 부착면과 15도 이상 각도의 10m거리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적색등이나, 발광식 또는 축광식 표지로 하여야 한다.
<종류>
㉮ P형 발신기
∼ 수동에 의하여 공통인신호를 수신기에 발신하는 것으로, 발신과 동시에 통화가 불가능한
것으로 전화기를 전화잭에 접속함으로써 통화가 가능하다.
㉯ T형 발신기
∼ 수동에 의하여 각 발신기의 공통인신호를 수신기에 발신하는 것으로 발신과 동시에 통화가 가능하다.
㉰ M형 발신기
∼ 수동에 의하여 각 발신기의 고유 신호를 수신기에 발신하는 것을 말한다.
<발신기의 기능>
발신기는 감지기가 작동되기 전에 화재를 발견한 사람이 누름 버튼을 조작하여 수신기에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서, 국내에서는 P형 발신기가 사용되고 있다. P형 발신기는 수동으로 수신기에 신호를 발신하는 것으로서 수신기와의 전화 연락 장치 여부에 따라 1급과 2급으로 구분하고, 방수형의 유무에 따라 옥외형과 옥내형으로 구분되다.
● P형 발신기의 구조
일반적으로 P형 수신기나 R형 수신기 또는 중계기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감지기가 자동적으로 화재를 검출하여 화재 신호를 보내는 것에 비하여 P형 발신기는 화재를 발견한 사람이 합성 수지로 되어 있는 보호판을 파괴하고 누름 스위치를 눌러서 수신기에 화재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

|

|
㉮ 구조: 주요 구성 부분은 보호판, 누름 스위치, 응답 확인 램프, 전화잭, 외함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2급 발신기는 전화잭을 설치 할 필요가 없다.
㉠ 보호판: 손끝으로 눌렀을 때 파괴되거나 밀려 들어가는 구조로서 유기질 유리가 사용되고
있다. 보호판은 스위치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기물의 충돌이나 어린 아이들의 장난 등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지지 정도는 8kg의 정하중을 가
하면 파괴되거나 밀려 들어가며 2kg의 정하중 에서는 밀려들어가지 아니도록 고정되어 있다.
㉡ 전화잭: 수신기와 상호 연락의 필요성이 있을 때 휴대용 전화기를 삽입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주로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보수 점검시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 누름 스위치: 수신기에 화재 신호를 발신할 때 사용하는 스위치로서 한번 누른 후에 재조작을 하지 아니하면 지속적으로 화재 신호를 발신하도록 되어 있다. 주로 두가지 형태가 사용되고 있는데 누른 후 당겨내어야 복구되는 구조로 된 것과 누른 후 한번
더 누르면 복구되는 구조로 된 것이 있다.
㉣ 확인등: 발신기의 조작에 의하여 확인된 신호가 수신기에 전달되었는가를 발신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확인 장치로서 주로 LED(발광 다이오드)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수신기에 발신되면 점등 상태가 된다.
(4) 음향 장치
일반적으로 음량과 음색이, 다른기기의 소음 등과 구별되는 "벨"을 사용하고 있지만, 규격용어는 "음향 장치"로서 벨 이외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벨 이외의 것은 전자회로가 사용되며,
일정 주파수를 발신시켜 이들을 작동시킨다. 음향장치는 수신기의 직근에 설치하는 주 음향장치와 건물 구내 즉, 계단, 복도, 통로 등에 설치하는 지구 음향장치로 분류하며, 주 음향장치는 건물의 관리자에게, 지구 음향장치는 건물내 수용된 사람들에게 통보하는 기능이있다.
<기술 기준 규칙 제87조>
- 각층마다 수평 거리 25m 이내에 설치(자동화재탐지설비가 방송설비와 연동 설치시 제외)
- 5층 이상으로서 연면적 3,000m2를 초과하는 건물은 발화층과 적상층 우선 경보 방식 채택
(5) 중계기
중계기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에 의한 화재 신고를 수신기로 보내고 또한, 소화설비, 제연설비 등에 제어 신호를 발신하는 것이다. 감지기 및 발신기와 수신기의 중간에 중계기를 설치하여 각 회선별 고유 신호를 발신하는 경우도 있지만, 최근에는 자동화재탐지 설비 이외의
방재 관련 설비에 감지기의 작동 신호를 보내어 이를 작동시키는 것이 많다. R형 수신기가
설치된 건물의 방재 설비는 대부분 이에 해당되며, 중계기는 단순히 수신기에 대한 신호 변환의 역할만이 아닌 타 설비에 화재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인식되어가고 있다. 또한, 수신기와의 전송선 이상시 중계기가 독자적으로 화재를 감시, 제어할 수 있는 기
능을 보유하고 있다. <기술 기준 규칙 제84조>
- 수신기에서 직접감지회로의 도통시험을 행하지 않는 것은 수신기와 감지기 사이에 설치하여야 한다.
- 퓨즈의 융단이나 브래커의 차단 등이 발생한 경우, 자동으로 수신기에 신호를 보낼 수 있어야 한다.
- 중계기에는 회로도통시험 및 예비전원시험을 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6) 전원
상용 전원은 축전지 또는 교류 전압의 옥내 간선으로서 배선 도중에 다른 배선을 분기하지
않아야 한다. 비상전으로서의 축전지 설비는 통상 니켈카드뮴 전지를 사용하며, 정전시나 정전 복구시에는 자동 전환되어야 한다.(60분 이상 감지 상태 지속후 10분 이상 경보를 발할
수 있을것)
(7) 배선
배선은 전기 설비 기술 순주에 관한 규칙에서 정한 바에 따르되 특히, 상시 개로인 배선에는
쉽게 도통시험을 할 수 있도록 종단 저항을 설치하고, 감직 사이의 배선은 반드시 송배선식으로 한다. P형 수신기의 감지기 회로 공통선은 1본에 대하여 7경계 구역 이하로 한다.
- 전원 회로의 배선: 내화 배선
- 기타 배선: 내화 또는 내열 배선 실드선
- 감지기 회로의 전로 저항은 50이하일 것
(8) 경계 구역
경계 구역이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1회선이 유효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구역을 말하며,
그 기준은 다음과 같다. <기술 기준 규칙 제82조>
- 하나의 경계 구역은 2개 이상의 건물 또는 2개 이상의 층에 미치지 아니할 것. 다만, 다음의 경우는 제외.
- 하나의 경계 구역의 면적이 500m2 이하인 경우(2개층을 1경계 구역으로할 수 있다)
- 하나의 경계 구역의 최대 면적은 630m2이며, 한변의 길이는 50m 이하일 것.
- 연기 감지기를 계단, 경사로, 엘리베이트 샤프트 파이프 피트 등에 설치할 때에는 별도의
경계 구역으로 설정하여야 함.(이때 지하층과 지상층은 구분하고, 지상층은 45m까지 1경계
구역으로 할 수 있음)
● 수신기 및 중계기(외관 점검)관리 및 점검 체크 리스트
- 상시 감시가 가능한 장소인가 확인(중계기는 제외)
- 조작 및 점검에 지장이 없도록 공간이 확보되었는가 확인
- 파손이나 오손으로 경계 구역 표시가 불분명하지는 않는가 확인
- 전압계는 정격 전압(24V)을 항상 유지하고 있는가 확인
- 감지기의 오동작을 우려하여 주경종, 지구경종 스위치를 중지 상태로 유지하고 있지는 않은가에 유의
- 경계 구역 일람표를 비치하였는가 확인
- 퓨즈, 램프 등의 예비품 비치 확인
- 퓨즈의 용단 상태 및 규격품 사용 여부를 확인
- 각회로 시험 스위치의 릴레이 작동 상태 확인
- 송,수화기를 이용한 수신기와 발신 기간의 명료한 통화 상태 확인
- 연동 설비가 있는 경우, 이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설비의 작동이 되는가를 확인
- 도통 시험, 동작 시험을 정상인가 확인
● 감지기 관리 및 점검 체크 리스트
- 감지기 외형의 변형, 손상, 탈락 유무 확인
- 설치 후의 용도 변경, 간막이 공사 등으로 인한 감지기의 적응성 또는 미경계 구역 확인
- 감지 구역 설정의 적정 여부 확인
- 감지기의 기능 장애 요인 확인
● 발신기 관리 및 점검 체크 리스트
- 점검 및 사용상의 장해 요소 확인, 특히 전면에 물건의 적재 등에 유리
- 부식 등에 의한 기능 장해와 누름 버튼의 보호판 손상 등에 유의
- 누름 버튼 동작시 음향 장치가 정상 작동되고, 표시등은 점등되는지 확인
- 수신기측과 전화 연락 가능 확인
- 조작이 용이한 위치인가 확인
● 전원 관리 및 점검 체크 리스트
- 수신기에 내장된 축전지의 부식, 손상 상태 및 리드선 접속부의 부식등 확인
- 충전 장치의 이상 발열 확인
- 회로의 결선 상태 확인
- 단자 전압이 24V인가 확인
- 상용 전원을 복구한 때에는 상용 전원으로 자동 전환되는지 확인
- 비상 전원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수신기의 기능이 정상인가를 확인 (동작 시험뿐만 아니라
감지기 가열 시험 등을 실시하며, 화재 표시가 되고 음향 장치가 정상 작동되는지를 확인)
● 배선 관리 및 점검 체크 리스트
- 일반적으로 630V 2종 비닐전연전선(HIV)을 사용한 내화, 내열 배선이 되어야 하며, 아날로그식, 다신 호식 감지기나 R형 수신기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전자파 장해를 방지하기 위해
실드선을 사용하는 것에 유의
- 경보 설비 배선에 고압선이 교차되거나 동일관내에 수납되었는가에 유의
- 간막이 등에 의하여 감지기 배선을 임의로 분기할 때에는 송배선 방식 특히 유의.
● 한솔 사옥에 적용
R형 수신기
R형 수신기는 P형 수신기와는 달리 통신선로를 이용한 설비로 자동화재탐지설비, 각종 소화설비 및 제연설비 등의 소방기기를 감시·작동하는 통합운영 시스템으로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말단인 화재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여 1차적으로 중계기에 화재 신호를 전송하면 중계기는 자기 고유의 신호(각 중계기에 할당된 고유 주소지 즉 전기적인 고유 신호를 가진다)를
전용 통신 선로를 통해 수신기에 전달하는 구조로 화재 감지기→중계기→수신기 순서로 전달되면 수신기의 CRT에 화재 발생 경계 구역을 문자로 표시하고 또한 수신기의 연동 데이터에
의하여 해당되는 설비의 중계기에 신호를 주어 작동시킨다. 해당 설비에 대한 작동확인 여부는, 다시 각 설비의 확인 접점이 동작하여 ADDRES를 가진 중계기에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통신 신호로 바꾸어 수신기에 전달한다. 이 신호를 받은 수신기는 중계기의 ADDRES번호를
인식하여 각각의 해당되는 설비를 인자로 수신기의 MONITOR에 표시하고, 수신기는 통신
신호를 다시 GRAPHIC PANNEL에 전달한다. GRAPHIC PANNEL은 통신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 각각의 해당 설비 MARK TILE에 LED LAMP 를 점등시켜 표시한다. 그리고
GRAPHIC PANNEL은 다시 CRT에 통신하여 통신 신호를 전달하여 CRT MONITOR에 해당
설비의 작동 상태를 그림으로 표시한다. INERGEN 설비는 위에서 설명한 내용과는 별도로
INERGEN 수신기라는 장비를 가지고 있어, 방재실에 있는 MAIN 수신기에 INERGEN 수신기의 감지 부분과, 제어 부분의 여부를 전달해 주는 역활만 할 뿐이다. 모든 INERGEN 수신기의 제어 부분의 행동은 통신 신호로 MAIN 수신기에서 처리한다. 그러므로 MAIN 수신기는
ADDRES를 가진 중계기에 통신 신호를 주어 무전압 접접으로 이루어진 INERGEN 수신기에
중계기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주면, 주구성이 RELAY로 이루어진 INERGEN 수신기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처리한다. 결과적으로 INERGEN 수신기는 감지 부분은 독립적으로 신호를
받아 MAIN 수신기로 전달해 주는 것으로 같이 공유하며, 제어 부분은 MAIN 수신기의 명령을 받는 SYSTEM이다.
그러므로 감지 부분 복구시 INERGEN 수신기에서 복구를 하여야 복구가 이루어진다. 수신기는 감지기의 동작 및 소방용 각종기기의 동작을 신호로 입력받는 입력부와 소방 시설의 기동및 연동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상용 전원 및 정전시 예비 전원으로 자동 절환되는 기능과 자동 충전 기능을 가진 전원부로 크게 구분한다.
※ 입력부: 감지기, 폐쇄형 SPRINGKLER-HEAD, 수위 감시, 탬퍼스 위치
※ 제어부: 방화 샷다, 댐퍼, 제연휀, 방화문, 배연창, 싸이렌, 경종, 비상 방송
※ 전원부: 상용 전원과 자동 절환되는 예비 전원(자동 충전 장치 포함)
※ 연동 제어:유도등, 방출 표시등, 방배연, 비상방송, 음향경보, 방화샷다 등 R형 수신기는
P형 수신기와 화재 신호를 전송받고 제어하는 기능은 같지만 R형 수신기는 감지기와 수신기
사이에 중계기가 설치되고 중계기 고유의 전기 신호를 전용통신 설로를 이용 수신기에 전송
하는 방식으로 화재경계구역의 증설이나 이설시에 전선 가닥수(수신기와 중계기사이)에 증설이 없이 중계기의 증설만으로 기존 설로와 연결하고 수신기에 데이테 수정(증설이나이설)으로 작업은 종료된다. P형의 경우 방호구역이나 화재경계구역의 증설시 경계구역 각각의
선로를 직접 수신기까지 증설 하여야 하므로 증설이나 이설시에 전체적인 선로(전선 수량 추
가) 증설이나 이설이 요구되므로 상당한 추가 비용이 든다. 또한 장기적인 유지 관리 측면에서 유지보수 비용과 전문적인 기술력이 필요로 한다.
※ 수신기 P형과 R형의 비교
|
구분 종류 |
P형 수신기 |
R형 수신기 |
화재 표시 방법 |
화재 표지창에 램프 점등 |
액정 표시창에 문다 표시 |
기기 적동 상황 |
소방기기별 표시창에 램프 점등 |
소방기기 작동을 시간별로
자동 기록, 프린터 출력 가능 |
신호 전송 방식 |
1:1 접점 방식 |
다중 전송 방식(전용 신호선) |
자기 진단 기능 |
없음 |
CPU에 의해 자동 진단 |
보수 유지 |
선로수가 많고 수신기에 자기
진단 기능이 없어 보수 유지가
어렵다. |
선로수가 적고 자기 진단 기능에 의해 고장 발생을 자동 표시. 경보하므로 유지 관리에 편리하다 |
R형 수신기의 특징
(1) 선로의 수가 적어 경제적이다.
(2) 선로의 길이를 길게할 수있다.
(3) 증설 또는 이설이 용이하다.
(4) 화재 발생 기구를 숫자로 표시할 수있다.
(5) 신호의 전달이 명확하다.
SMART 250 R형 복합식 수신기 제원 |
수 신 반 |
품목 |
사양 |
품목 |
사양 |
정격 전원 |
AC 110V,12A |
간선LINE |
통신선(계통도)2
지구 음향 제어선2
감지기 제어선2
방배연 제어선2
응답선, 전화,
표시등선6 |
예비 전원 |
DC24V Ni-Cd BATT
10Ah*2
" 6Ah*5 |
사용 온도 범위 |
-10도 ~ 50도 |
사용 습도 범위 |
10% ~ 90% |
계통도 |
4계통 |
회선수 |
입력 1664,방배연
DC24V
|
화재 순차
표시 |
동작 순위별
DIGITALbr>표시
|
최대 회선수 |
1664회선 |
전송 속도 |
10kbps |
출력 전압 |
지구 음향 DC24V,
방배연 DC24V |
전송 방식 |
ROM BOIS 출력
|
출력 전류 |
지구 음향 0.3A, 방배연 2A
|
통신선 종류 |
FR-CVV-S1.25-2
(통신 노이즈 차폐) |
접속 방식 |
병렬 접속 및 LOOP 접속 방식
|
전송 제어
시간 |
3초 이내 |
전송 제어 방식 |
N-MAST 시분할 다중
전송
방식 |
AN 감지기 |
ANALOG,POINT
ADDRESS
감지기 수용 |
화재 경보
축적 시간 |
일반 감지기 10 ~ 60초
AN 감지기 5 ~ 25초 |
연동 기능 |
화재 신호 3단계
연동 기능 |
전송 거리 |
3Km |
예보 |
상태 표시로 음향명동을
하지 않는 예보대표
신호 출력 |
표시 방식 |
7행 7열 SEGMENT LCD |
화재 |
경보 처리, 경보
발보,
화재 대표, 신호
출력
|
접속 중계 기수 |
640대 |
연동 |
방배연 연동, 연동대표,
신호 출력 |
크기 |
630W*2000H*450D(MM) |
화재 표시 |
6"COLOR C.R.T
|
접속 중계기 |
중 96-7~11 |
제조 회사 |
금성 방재(주) |
형식 번호 |
수 96-27 |
제조 년월일 |
1997. 11 |
형식 |
AC 110V, DC 24V, 반도체식, 아날로그식, 옥내·외 소화전 설비,
S/P 설비
방배연 설비, 물분무 설비, 포소화 설비 |
|
SMART 수신기의 특징
1. ANALOG 감지 기능
총 512개의 ANALOG 감지기를 수용하여 실질 회로수의 증가를 꾀하였다.
2. 중계기의 세분화
중계기를 설비별, 용도별로 세분화하여 감시 제어의 신뢰성을 향상시켰다.
3. 상시 감시 기능 부여
수신기, 중계기, 감지기에 이르는 배선의 상태를 상시 감시하여 자동적으로 CHECK, 수신,
검출하여 감시 기능을 대폭 향상시켰다.
4. 3단계 연동 기능
ANALOG 감지기의 수신되는 ANALOG량에 따라 3단계로 처리된다.
가. 예보: 수신기 부저만 작동(이보접점 출력)
나. 화재: 경종 출력
다. 연동: 방배연기기의 연동 출력
5. ANALOG 표시
가. 열감지기- 온도℃, 연감지기- 농도%/M(분)
나. DATA 이력 표시 기능(ANALOG 감지기)
경보 이력: 최초로부터 8개까지의 동작 감지기의 ANALOG 수치 표시
기간 이력: 과거 1주간의 ANALOG 수치를 4개까지 표시
현상 이력: 특정 감지기의 과거 3분간의 ANALOG 수치 표시
6. 6″COLOR CRT MONITOR 채택
수신기에 부착된 6″CRT를 통하여 화재 정보 검색 및 화재 표시(ANALOG 수치의 GRAPH
도시 가능), 각종 시험 등이 가능하다.
7. 일제 시험 기능
전감지기 회로의 일제 시험을 간단한 KEY조작으로 시행할 수 있다.
8. 화재 지구 표시 방법
화재 상황을 동, 층, 지구 등으로 상세히 표시
9. 축적 시간
일반 감지기(열 10초, 연기 60초) ANALOG 감지기(열 5∼10초, 연기 15∼20초)
10. 중계기 설치
중계기의 증설 및 이전 등이 용이하여 건물의 증축이나 용도 변경시 추가 배관 등이 필요치
않으며 기존 중계기로의 접속만으로 가능하다. |
첫댓글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꾸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