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뇌암
A.빈도
뇌종양 및 중추신경계에 발생한 암으로 인하여 1983년에만도 어림잡아 1만여
명이 넘는 미국인이 목숨을 잃었으며 12600명이나 되는 환자가 새롭게 발생할
것이다.
5,60대 사이의 남성이 가장 위험률이 높다.
하지만 어린아이에게 있어서
도 뇌종양은 증가 일로에 있어, 15세 미만의 남녀 중 암으로 인한 하방자는 35%
에 달한다.
뇌종양의 대다수는 뇌조직 자체를 침범하는데 이를 신경교종(glioma)이라 부
르고 있다.
이것들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1)다형성 교아종(glioblastoma multiforme):어린아이와 성인 모두에게서 볼 수
있는 악성 종양으로 대뇌와 소뇌, 뇌간, 척수를 통해 급격히 퍼져나간다.
2)성세포종(astrocytoma):이는 대개 어린아이에게서 발견되는 종양으로 소뇌와
뇌간을 침범한다.
3)상의세포종(ependymoma):이는 어린아이들에게서 볼 수 있는 또 다른 종양
으로 뇌실에서 증식한다.
4)핍지신경교종(oligidendroglioma):이는 느린 속도로 증식하는 종양으로 전뇌
의 백질을 침범하며 어린아이와 성인 모두에게서 발견되어진다.
여타 뇌종양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1)수다세포종(medulloblastoma):
이는 어린아이에거서 볼 수 있는 종양으로, 소
뇌로부터 뇌 및 중추신경계의 여타 부위러 퍼져나간다.
2)수막종(meningioma):이는 뇌와 척수를 덮는 수막을 침범하는 종양이다.
3)하수체선종(pituitary adenoma):이는 시상하부와 시신경을 침범하는 종양이
다.
4)갈리오신경아세포종(gaulioneuroblastoma):이는 신경세포들을 통해서 급속히
퍼져나가는 악성 종양이다.
5)신경섬유육종(neurofibrosarcoma):이는 말초신경계를 침범하는 종양이다.
6)신경아세포종(neuroblastoma):이는 3세 이하의 어린아이들에서 볼 수 있는
종양으로 가슴, 목, 복부, 등의 하부, 눈 그리고 부신을 포함한 여러 부위의 신경
망을 통해 퍼져나가는 종양이다.
뇌종양의 약 15%는
여타 기관, 특히 폐, 신장, 유방, 호지킨씨병의 경우엔 임파선으로부터
전이된 것이다.
그것들은
신체의 가장 민감한 부위들 가운데 하나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많은 뇌종양이 현대의학으로 다루어질 수 없다고 생각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 유형과 단계에 따라,
흔히 수술과 방사능요법을 시행하기도 한다.
그것은 개두술
(craniotomy)이라 불리워지는 수술이며,
두 개골의 일부를 들어내어
악성 종양 조직을 절제하고 나서 들어낸 뼈를 다시 원상복귀시켜 놓는 것이다.
그와 같은
수술절차중에 뇌에 손상을 입힐 위험은 매우 높다.
수술을 하지 않게 되었을 때는 방사선이 쓰이며,
특히 수아세표종과 상의세포종에 대해서 그렇다.
그러나 X레이 치료의 경우,
특히
어린아이에게는 척수에 영구적인 손상을 입힐 우려가 있다.
때때로
부기를 가라앉히고 전이를 막기 위해
홀몬요법을 수술과 병행하여 쓰기도 한다.
스테로이드를 투여하고 나서
프레드니존(prednisone)과 같은 약물을 투여하는데,
죽을때까지 계속 정맥주사나 근육주사를 맞아야 하는 것이다.
뇌종양에 대한 여타의 치료방법 가운데
저온법(뇌 혹은 신체의 온도를 떨어뜨리는 방법)과 방사능요법을 고양시키기 위해 방사능
감지성 부여제(radiosenitizer)를 이식하는 방법이 있다.
모든 형태의 뇌종양의 경우 현재의 생존율은 남자가 25%, 여자가 33%이다.
B.구조
인체의 신경계통을 해부학적으로 둘로 나눌 수 있는데,
그 하나가
뇌와 척수를 포함하는 중추신경계이고
다른 하나는 두개골과 척주관 밖의 신경구조,
가령
예를 들어 뇌척수 신경, 자율신경계의 교감신경지를 포함하는 말초신경계이다.
중추신경계는 수용기로부터 들어오는 자극과 주효체로 나가는 자극을 위한
배전반으로서 작용한다.
그것은
화학적으로 통제되는 일을 제외하고는
신체의
모든 활동을 조절하며,
보다 고차적 의식과정의 중심지이다.
자율신경계는 해부학적 단위가 아닌 기능적 단위로 간주되어진다.
그것은
가령 심장박동, 호흡, 소화 연동운동 등과 같은 무의식적 신체활동을 다룬다.
자율신경계는
2개의 길항적 분지, 부교감신경(양)과 교감신경(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교감신경은 신체의 보다 중앙부에 그 기원을 가지고 있다.
뇌간 및 척수
천골 부위에서 시작하여 4쌍의 뇌신경과 3쌍의 천골신경을 통해 밖으로 나온다.
교감신경은 보다 주변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척추 중앙부에서 시작하여
그에 상응하는 척수신경을 통해 밖으로 나온다.
거의 모든 기관, 조직
그리고 민무늬근에 자율신경이 쌍으로-하나는 부교감신경이고
하나는 교감신경인데
서로 반대로 작용한다-존재한다.
부교감신경이
폐기관지 또는 소화관벽과 같은 팽창(음)기관에 작용할 때,
자연적으로 그 결과에 따른 수축작용이 있다.
가령 예를 들어
안구의 홍채나 심근과 같은 조밀한 기관에 작용할 때는 확장 또는 팽창작용이 일
어난다.
교감신경은 보조적인 반대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것들은 방광과 같이 속이 빈 기관을 침해하며,
임신중의 자궁과 같이 조밀한 기관을 자극한다.
뇌의 2개의 주요한 부분은 대뇌를 포함한 큰 전뇌와, 소뇌를 포함한
보다 조밀한 후뇌이다.
전뇌가 보다 열려 있고 팽창되어 있음으로 해서 음성으로
간주되어지는 반면에 보다 작고 보다 조밀한 후뇌는 양성으로 간주되너진다.
뇌는
또한 중뇌로 알려진 중앙부와 피질로 알려진 주변부로 나누어질 수가 잇다.
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
나가고 들어오는 자극이 균형을 이룰 필요가 있다.
뇌 안에서,
보다 조밀하거나 중앙에 위차한 부위는
상과 자극이 받아들여지는 경향이 있으며,
반변에 나가는 통신은 보다 주변부 또는 팽창부위에서 기원한다.
그러므로
눈, 귀, 코, 피부 그리고 그외 여타의 감각기관에서부터 오는 신경자극은
중뇌에서 모이고,
반면에
상, 꿈 그리고 생각들은 보다 주변적인 피질부로부터 파급되어진다.
또한
받아들이고 내보내는 견지에서,
후뇌는 들어오는 진동을 받아들여 그것들을 기억으로서 저장키는 반면에,
미래의
우리의 상을 포함한 나가는 진동은 전뇌에서 기원한다.
C.암의 원인
지난 수년간에 걸쳐 뇌의 좌우 반구 사이의 관계에 대한 상당한 연구가 있었다.
연구 결과가 보여 주는 바에 의하면,
우반구가 보다 간단한 기계적인 작용과
의식의 진원지인 반면에 좌반구는 부다 복잡하고 창조적인 사고를 산출해낸다.
언어의 견지에서 볼 것 같으면,
보다 단순하고 기초적인 표현은 우반구에서 비롯한다.
반면에 죄반구는 보다 세련되고 독창적인 표현을 창조한다.
상상은 대체로
미래적인 사고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좌반구에서 보다 많이 발생한다.
반면
에 실제적인 과거 경험에 기초를 두고 잇는 분석적인 사고는 우반구에서 일어난
다.
우리의 현대 기술문명은 우반구적 사고의 능동적인 발달로 말미암아 생겨났
다.
이렇게 보다 초점이 맞추어진 양성 유형의 사고와 활동은
육류, 유제품,
그외 여타의 동물성 식품 위주의 섭식생활로 말미암은 것이다.
어느
한 방향에 있어서의 불균형은 다른 방향에 있어서 상응되는 견인력을 산출한다.
동물성 식품의
점증량과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현대 사회는 알콜, 향료, 커피 및 그외 여타의 자극제,
정제 가공설탕, 수입한 열대과일 및 야채, 화학 첨가제
그리고 진정제, 피임약, 환각제 등의 다양한 약물류를 포함한 음성 범주에 속
하는 극단적인 식품들의 증가를 보고 있다.
많은 현대 국가들에서 특히 지난 15-20년 동안,
많은 젊은이들이 태어나면서부터
이와 같은 유형의 식품들이 노출되어져 왔다.
그리고 많은 이들이
마리화나, 하시시, 코카인 또는 LSD9환각제류)를 경험하였고, 상습 복용자가 되었다.
이들 극단적인 음성 물질들이
현대 사회에서의 지배적인 뇌의 우반구로부터 좌반구를 향한,
또한
뇌의 뒷면으로부터
앞면을 향한 사고로의 급격한 편향을 불러 일으켰다.
그 결과 많은 젊은이들이 보다 먼 미래를 향해 고개들기 시작했다.
반면에
그들의 부모, 선배, 조상들과의 관계를 포함한 이전의 전통들을 무시하거나
망각하게 되었다.
그와 유사하게
그들은 학교, 사업 혹은 전문경력 그리고 사회의 정치경제적 조건에 관한 흥미를 상실했다.
대신 그들은
음악, 예술,
동양에서 온 영적 스승, 그외의 예기치 못한 데에 시선을 돌렸다.
많은 경우에서,
음성 식품과 약물의 계속적인 섭취는 대단히 불안정한 상태들과 표현을 야기시켜 왔다.
극단으로
눈을 돌려서, 과일과 쥬스, 날음식을 주로
먹는 채식주의자들과 도취적인 반문화를 지향하는 사람들은 다양한 질환에 걸릴
위험이 있다.
여기에는 정신질환, 헤르페스, 다발성 경화증, 백혈병, 뇌종양이
포함된다.
뇌의 바깥 부분과
말초신경계의 신경셔포를 침범하는 종양은
주로 음성 범주에 속하는 식품,
드링크류, 치료 약물류 또는 마약류가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이와 같은 형태의
뇌기능 이상 또는 신경지로한은 우유, 버터,
그외여타 유제품의 계속적인 섭취와 함께 설탕을 입힌 아침 곡물식, 꿀, 초컬릿,
그외 여타 단것들, 오렌지 쥬슨, 소다수, 아이스크림, 기름기 많은 식품들,
수많은 화학첨가제를 먹고 자란 아이들 또는 젊은이들에게서 흔히 발견되어 진다.
뇌의 안쪽 부위
또는 척수에서 발견되는 종양은
구조 및 위치상 보다 양성에 속한다.
그것들은 주로 육류, 가금류, 계란, 치즈 및 정제 가공염을 포함하는
동물성 식품의 초과섭취로 말미암아 발생하며
나이 많은 사람들을 침범하는 경향이 있다.
전체적으로
뇌와 중추신경계는 극도로 조밀한 기관(양)이어서 마약류,
치료약물, 인공 합성비타민 식품 그리고 무기질 보충물 그리고 극도의 팽창성
(음)물질을 끌어 당기는 자석이다.
이러한 것들을 피하고 식이요법에 중점을 둠으로써
뇌와 신경계는
그들의 정상적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D.의학적 증거
1845년 영국 ㅡ이사 죠지 맥킬와인(Geoge Macilwain)은
암에 관한 책에서 섭식이 질환을 예방, 치유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썼다.
"만약 내가 얼굴에
거대한 혹을 가진 어떤 남자를 보았다고 하자.
난 그것이
처음부터 그에게 달려 있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난 최소한 이것에 대해, 그가 섭취하는
음식에 무언가 색다른 것이 들어 있든지 아니면,
그의 소화기관의 어딘가가
그것에 대해 비정상적으로 작용하고 있든지 또는 그둘다로 말미암아 그러한 일이
생긴것이라고 확신한다.
이는 반박의 여지가 없는 명백한 사실이다.
그것이 진실로
암의 원인을 우리에게 밝혀주지는 않지만 최소한 하나의 탐색방법에 우리를
집중시키고 있다.
그것은
내가 식품과 소화라는 말속에 포함시켰던
그 여러 단계를 나타내는 다양한 기관을 검사하는 것이며,
각기 그것들의 자연적 효과,
습관 및 경향에 대해 우리가 알 수 있는 모든 지식을 동원해 그 양자의 성질을
테스트하는 것이다."
맥킬와인은
가지각색의 종양에 걸린 그의 환자들이
야채와 곡물 함량이 높고 육류와 동물성 실품 함량이 낮은 소박한 섭식을 취하여
종양을
치유하였거나 완화시킨 사례를 제출하면서 "설탕과 모든 종류의 기름기 많은 식
품의 엄격한 배제"를 주장했다
(출처:George Macilwain, The General Nature
and Treatment of Tumours, London, 1845, pp.30-31).
한 1974년도 연구조사가,
최소한 1년 동안 직업적으로 염화비닐에 노출되었던
남성에서의 뇌종양과 그외 여타 종양의 증가를 보고했다.
염화비닐은
식품 포장과 저장을 위한 플라스틱 포장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FDA는 그것을
간접 식품첨가제로서 분류하고 있으며 그 잔존물이 상당수의 식품에서 발견되어진다
(출처:I.R.Tabershaw and Vinyl Chloride and Its Polymers,"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16:509-518).
1978년 연구가들은
화학살충제에 노출되었던 사람들에게서 16개월에 걸쳐
일종의 뇌종양인 신경아세포종 사례를 발표했다.
14개의 사례 중 다섯 경우는
출생 전후로 클로르단(chlordane)에 우연히 노출되어졌던 어린이들이다.
이들 살충제 잔존물은
육류, 가금류, 유제품, 어류와 같은 고지방 식품에서 축적되어지는
경향이 있다
(출처:P.F.Infante et al.,"Blood Dyscrasias and Childhood Tumors
and Exposure to Chlordane and Heptachlor,"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and Envirinmental Health 4:137-150).
1981년, 의학박사들은
필수 아미노산의 혈장 수준을 조절하고
말기 뇌종양 환자들에게 자연식품식이를 취하도록 하게 하는 뇌종양 치료에 대한
독특한 접근방법을 보고했다.
테네시대학 건강과학센터(University of Tennessee Center
for Health Sciences)에서 개발되어진 것으로,
그 실험이
1975년부터
발병하기 시작한 3명의 신경교야세포종(glioblastoma)환자에게 행해졌다.
3사람 가운데 2사람에게서 현저한 향상이 보였다.
첫 번째
사람은 15개월을 살았으며,
처음엔 종양이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났다.
두 번째
사람은 23개월을 살았다.
세 번째
사람은 8개월을 살았다.
그와 대조적으로, 이 질환에 걸린 환자의 평균 생존률은 4-6개월이었다
(출처:C.R.Greer et al., "Surgery, Irradiation, and Metabolic
Control of Brain Tumors"(letter),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34:600-601).
위의 연구조사에 대한 사후 검토에서
테네시대학의 연구진들은
뇌종양을 식이요법으로 다루는 것의 안전성 및 실현 가능성을 보고했다.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받은 6명의 신경교아세포종 환자에게
오트밀, 옥수수, 당근 그리고 섭식 보충물과 같은
식품이 많이 든 자연식품을 들도록 했으며 필수 아미노산은 제한했다.
식이요법에 있어
육류, 유제품,그외 여타의 고단백식품의 함량을 낮게 했다.
"아미노산 제한이 환자의 특별한 사망률을 초래하지는 않았다.
" 연구진들은 다음과 같이 결론내렸다.
"의학적 간섭의 필요성을 지적하는 실헌의의상의 변화는 없
었다.
환자에 있어서
인생의 질은 감소되지 않았다.
"(출처:J.B.Burgess et al.,
Nutrition and Cancer 1(4):16-21).
1973년에 시작한 실험실 테스트에서
2년 정도 댜양한 수준으로 아스파탐을 먹인 쥐가 대조군보다 뇌종양 발병률이 훨씬 높았다.
그러나 아스파탐은 설탕보다
180배나 강력한 화학물질로서
여타의 실험에서 종양의 현저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1981년 미국 FDA에 의하여 감미료 및 조미료로서의 사용 승인을
받았다
(출처:Diet, Nutretion, and Cancer(Washington,D.C.: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982, pp.14:7-8).
E.진단
뇌종양은 두개골, 척수 그리고 흉곽 X레이나 CAT촬영에 의해 일번적으로 검
진되어 진다.
그외 여타의 의학적 기술에는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뇌혈관조영촬영법(cerebral angiogram), 뇌주사사진(brain scan), 척추천자(spinal puncture) 그리고 척수 X선상(myelogram)이 들어 있다.
동양의학은 신경계통의 상태를 확증하기 위하여
다양하며 간단한 관찰을 사용한다.
눈 주위의 보라빛을 띤 적색은
마약류, 화학제, 치료약물, 정제설탕,
그외 여타 극음성 식품 및 음료의 섭취가 주요 원인인 신경계통의 과로를 나타낸다.
부교감신경계통이
특별히 이와 같은 물질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교감신경계통이
약화되어져 신체 전반의 반사와 기능을 무디게 만든다.
직접적인 효과가 흔히 눈에서 보일 수 있다.
동공은 수축하고 혈관은 팽창하게 된다.
그러나 마약을 계속 사용한 후, 부교감신경은 녹초가 되어 더욱더 팽창
하게 된다.
그런 다음, 동공은 팽창하고 혈관은 수축된다.
이마의 중간 부위 또한 신경계통의 상태를 말해준다.
붉은색은 음성 식품 즉 음료, 자극제, 마약류의 과다섭취로 인한
신경질, 신경과민, 흥분성, 불안정서 들을 나타낸다.
백색은 지나친 액체의 섭취와 함께
유제품, 특히 우유, 크림, 요구르트와 같은 것의 과다섭취가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신경기능은
일반적으로 느리고 둔하며 정신활동이 흐리고 명료하지 못하다.
황색은
간혹 마음이 좁고 융통성이 없는 경향에 대한 경보일 수 있다.
그 주요 원인은
계란, 가금류, 유제품의 과다섭취에 있다.
이마 위의 검은 반점 또는 얼룩은
화학제, 마약류는 물론 설탕, 과일, 꿀, 우유설탕,
그외 여타 단맛이 있는 것들의 초과분이 제거되어야 함을 가리킨다.
이마 중간 부위의 붉은 여드름 또는 반점은
정제된 희 밀가루로 만든 식품 또는 유제품과 함께 설탕과 과일 등이 제거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가운데 귓바퀴는 전 신경계통을 반영한다.
여기의 붉은색은 신경질환을 가리킨다.
귓불은 뇌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부위의 여드름, 탈색,
그 밖의 또 다른 이상은 낭종이나 종양의 발생을 나타낼 수도 있다.
힘없이 벌어진 입은
신경계통의 이상을 포함, 다양한 질환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 또한
보통 소장이나 뇌의 보충적 상부 기관에 질환이 있음을 말한다.
손등 위의 색조 또한 신경질환을 가리킬 수 있다.
마리화나, 하시시,
그밖에 여타 환각제 및 치료약물을 얼마동안 반복해서 쓰면,
신체가 이들 독소를 배출하기 시작할 것이며
손과 손가락의 색이 붉은 빛이나 자줏빛으로 변할 것이다.
거친 피무 역시 극음성 식품이나 마약류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신경질환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불규칙한 맥박, 과도한 땀, 잦은 배뇨, 설사, 현기증, 과민증, 정서불안 등을 수반할 수 있다.
민감하게 훈련된 손 역시 뇌의 각 부위로부터 방출되는 진동을 간지함으로써
뇌종양과 암의 대략적인 부위를 찾아낼 수 있다.
몇몇 경우에
뇌종양은 마비, 발작, 시력상실, 육체적, 정서적 통합조정상실의 원인이 될 수 잇다.
마비부의와 신체기능을 조사해서,
침범당한 뇌 부위의 간접적 검진을 해닐 수 있다.
일반적으로 뇌종양은
적절한 식이를 통해서 치료하기가 여타 종양보다 비교적 수월하다.
이는 그것들이 이와 같이 조밀한 부위에서는 서서히 증식하는 경향이 있느며,
뇌의 풍부한 혈약공급은
식이상의 변화로
혈액의 질변화가 뇌와 신경계통의 조건에 빠르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사실을 의미한다.
F.섭식 권장사항
뇌종양의 형성은
보통 단백질과 지방(특히 동물성)의 과다섭취가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계란, 육류, 가금류, 유제품, 기름기 많은 어류를 포함한 동물성 식품은
반드시 피해야 한다.
또한 뇌종양의 형성은
산업 공해물에의 노출은 물론
인공 처리된 식품내에 존재하는 화학제의 섭취가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모든 합성식품의 계속적인 섭취를 피하는 것이 현명한 일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의 환자는 그의 건강 회복을 위해서 비교적 신선하고 맑은 환경 속에 있
어야 할 것이다.
더욱이
설탕과 그밖의 단것들-꿀, 초컬릿, 캐럽 그리고 그러한
항목들을 함유하고 있는 식품과 음료-을 섭취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설사 뇌종양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닐지라도
과일, 과일쥬스, 향료, 자극제, 알콜, 방향성 음료 및 방향성 물질은 그
것들이 종양의 증식을 가속시키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암의 발생과 증식에의 기여에 대한 그것들의 잠재적 가능성 때문에 밀가루 제품
-특히 식용유, 지방, 감미료 처리를 한 정제 밀가루-은 액체의 과다섭취와 아울
러 역시 피해야 한다..
50-60%정도는
주로 압력솥에서 조리한 통곡류로 이루어진 통곡물을 먹는다.
현미, 기장, 보리 등을 주식으로서 쓸 수 있으며 그외 여타의 곡물로 때때로 대
체시킬 수 있겠다.
(밀)가루식품은 섭취량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스크를 넣지 않은 통밀이나 호밀빵, 통밀, 메밀국수와 같은 비전제 통곡가루식픔을 1
주일에 몇 차례씩 제한된 양으로 때때로 먹을 수는 있겠다.
5-10%는 해조류는
단단한 육상 야채를 넣어 만든 된장국이나 다마리 진간장국을 먹기 바란다.
매일 한두 사발씩 먹으면 좋다.
때때로 이를 통곡류로 만든 국으로 대체할 수 있다.
된장국이나 다마리 진간장은
최소한 1년반 동안의 기간에 걸쳐 자연발효시킨 것이어야 한다.
20-30%는 야채를 들기 바란다.
모든 야채류는 조리해서 먹어야 한다.
하지만
그것들을 다양한 스타일로 마련할 수 있겠다.
그러나 야채를 그름에 튀길 때 식용유의 사용은,
가끔 아주 소량의 참기름이나 옥수수 기름의 사용으로먼 제한해
야 한다.
야채의 종류는 뿌리가 있거나 둥글고 잎이 많은 것을 포함하여
매우다양한데 섬유소가 풍부하고 보다
거친 것들에 주안점을 두면 될 것이다.
신선한 날샐러드는 먹지 말아야 한다.
하지만 샐러드를 끓는 물에 1,2분 정도 담갔다
조리하면, 자주 섭취해도 상관없다.
장기간에 걸쳐 절인 피클을 소량으로-날 것이라도 상관없다-자주 섭취하면 좋다.
5%정도는 콩과 콩으로 만든 식품을 들기 바란다.
팥, 렌즈콩, 병아리콩과 같이
크기가 작은 콩을 먹는 것이 좋다.
여기에 10-20%(양으로) 정도는 해조류,
콩으로 만든 인조육, 청국장
그리고 건조시키거나 익힌 두부와 같은
콩식품을 때때로 콩 대신 먹을 수 있겠다.
적당량의 해수염 또는 다마리 진간장을 간을 맞추는데 쓸 수 있다.
5%또는 그 이하로 해조류를 먹을 수 있겠다.
1일 섭취용으로는 어느 것이나 좋다.
그 중에서도 김과 대황이 특히 유익하니 다른 어떤 것보다 자주 섭취하기 바란다.
더욱이 뇌종양 환자는
자주-1주일에 수회-소량의 참기름에 삭짝 튀긴 후
다마리 진간장으로 심심하게 간을 맞춘 우엉과 당근뿌리 요리를 소량 섭취하면 매우 유익한데
이것은 상태 호전에 도움이 된다.
이 음식은 낀삐라(kimpira)라 불리워진다.
말린 무조각에 다시마를 곁들인 음식은 정규적인 부식의 하나로서
아주 적격인 식품이다.
음식에 넣을 수 있는 양념류로
다시마와 강판에 간 생강을 약간 곁들여 조리하여
다마리 진간장으로 간을 맞춘 잘게 썬 연뿌리를 매일 1-2티스푼씩
첨가한다.
다마리 진간장으로 조리한 다시마 몇 조각을
매일 식사할 때마다 섭취하면 역시 도움이 된다.
이것은 염장 다시마 혹은 소금에 절인 다시마라 불리워진다.
일반적으로 해수염, 다마리 진간장 그리고 염분이 있는 조미료로부터의 염분
은 과다한 액체, 과일, 과일쥬스 그리고
단것에 대한 불필요한 갈망을 피하기 위해서 적당히 섭취해야만 한다.
설사 그것이 양질의 음료수라 할지라도
어떤 형태로든지 액체의 과다섭취는 피해야 한다.
과일, 과일쥬스, 견과류 버터, 그외여타의 지방 및 당이 풍부한 식품을 최소화시키고
제한된 양만 먹여야 한다.
음식물이 입 안에서 액체로 화할 때까지 꼭꼭 씹어 먹는 일을 적극
권장하는 바이다.
저녁에
특히 잠자리에 들기 전에 음식 및 음료를 먹는 일은 피하여야 한다.
전반적으로 음식을 과다하게 섭취하는 것보다 적게 먹는 것이 더 낫다.
물론 이 양은 정상적인 신체 활동 유지에 합당하여야 한다.
G.가정에서의 간호
매일 뜨거운 생강물에 푹 담갔다 꺼낸 수건으로 목, 얼굴, 머리 부위, 발 발가
락을 포함하여 전신을 문질러 주면 혈액, 임파액 및 그외 여타 체액과 에네르기
의 순환에 큰 도움이 된다.
머리 또는 뇌에서 고압력과 통증은 과일, 쥬스, 음료의 섭취를 줄이고 염분이
있는 식품을 일시적으로 피함으로써 완하시킬 수 있다.
연뿌리 반죽은
강판에 간 연뿌리와 짓이긴 양배추 잎 또는 그외 여타 푸성귀를 50대 50으로 혼합한 데
다 10-20%의 흰말가루, 5%의 강판에 간 생강을 섞어 만드는데,
이를 통증 부위에 약 3시간 정도 붙여 두면 역시 효과가 있다.
뇌종양과 암은
변비와 월경장애와 같이 장기능이 침체된 경우에 가속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장운동과 월경기능을 규칙적으로 유지하는 일이 대단히 도움이 되며,
또한 머리 부위의 압력과 통증의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복부 마사지,
생강 압착기를 복부에 갖다 대는 방법 등과 함께
관장기가 필요할 경우도 있겠다.
자궁에 침체된 지방과 점액의 제거를 위해 관주법(douching) 역시 필요하다.
H.기타 고려사항
실내에서는 신발이나 양말을 신지 않도록 한다.
가능하면 맨발로 잔디나 바깥 흙 마당을 걷는 것이 좋다.
그렇게 하면 땅에서부터 신경계통에까지 전자기 에네르기의 흐름을 자극하게 된다.
합성의류를 피한다.
특히 내의나 스타킹, 양말, 모자, 스카프의 경우가 그렇다.
가발 또한 피해야 한다.
합성 융단, 커텐, 가구류, 담요, 그외 여타 가정용품을
점차로 자연물로 대체하도록 한다.
의료용 X레이, 비디오 터미널, 칼라TV, 그외 여타 신경계통 및 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공 전자기 방사원을 피한다.
신체로부터 미네랄의 고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뜨거운 물로 목욕을 오래하거나 샤워하는 일을 금해야만 한다.
1주일에 몇 차례로 목욕을 제한한다.
뇌와 신경질환은
흔히 흥분성, 과민성, 의기소침, 생의 의욕 저차를 수반한다.
짧지만 규칙적인 명상-
마음속에 그리는 일과 기도, 찬양, 요가, 그외 여타 수련
을 포함하여-
이 마음을 고요하게 하고 생각을 집중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정신적 자양물이 물질적 자양물만큼이나 자기 발전에 중요하다.
큰 소리의 열광적인 음악, 혼란스러운 예술, 잔인하고 폭력적인 영화, 우울하게 만드는 잡지
와 문학작품 등은 피하는 것이 좋다.
중용을 지키는 선에서 강하고 의미있는
정신적 출로를 선택하기 바란다.
긍정적 자세를 창조하도록 돕는 독서, 음악, 예술을 선택해야 한다.
I.개인 사례
*뇌종양
1977년 5월, 보스톤에서 살고 있는 33세의 남성인 잭 랙크너는 악성세포종
(astrocytoma)의 일부 제거를 위해 병원문을 들어섰다.
그리고 다음 4달에 걸쳐
그는 30회의 방사선치료와 5회의 화학요법 투여를 받았다.
1978년 1월,
그는 양생식이요법을 채택하고서 그외 여타 모든 형태의 치료를 중지했다.
일상적인 치료법으로
의사는 종양의 크기가 약간 증가했음을 관찰햇다.
암예방 식이요법을 시행하고 난 후,
랙크너의 종양의 크기는 점차로 줄어들어 1978년 7월에는 약 1/2크기가 되었다.
1979년 1월 CAT사진에서 종양이 완전히 사라졌다.
의사는 6개월 후의 재검토를 권했다.
1979년 7월의 CAT사지에서 종양이 완전히 사라졌음이 확증되었다.
(출처:"Brain Cancer," Cancer and Diet(Brookline,
Mass:East West Foundation, 1980, p.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