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슬]금박단맥종주
종주에 필요한 국립지리원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영천, 대구
영진5만지도 : 413, 389, 388쪽
[지명(다른이름, 삼각점△ 고도m, 거리km/누계km) : 고도는 도면상 또는 등고선상 평균높이이며 거리는 도상거리임]
비슬기맥이 낙동정맥 사룡산어깨에서 분기하여 흐르며 구룡산 서측 구룡고개(570) 십자안부 도로에서 약50m 정도 올라간 지점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금방 도로를 만나고 구룡마을 옆을 지나 다시 도로(490, 1)-임도고개(410, 1.5/2.5)-△464.6봉(0.2/2.7)-임도 안부(430, 0.6/3.3)-방죽안부(370, 0.7/4.2)-△515.2봉(1.8/6)-비건고개임도(330, 0.8/6.8)-410봉(0.3/7.1)-444.7봉(1.2/8.3)-효일고개 오거리(230, 1/9.3)-△372.7봉(1.2/10.5)-7번군도 외촌고개(250, 1/11.5)-432.7봉(0.7/12.2)-금박산전위봉(410, 410, 0.6/12.8)-금박산(432, 0.3/13.1)-아방산(△432.1, 1.1/14.2)-선암산(416.4, 1.4/15.6)-경산시 진량읍, 용성면, 자인면의 삼경봉인 금학산(390, 1.1/16.7)-삼락산(△305.6, 2.5/19.2)-190봉(1.8/21)-919번지방도로 지나 금박산이 발원지인 외촌천이 오목천을 만나는 곳(90, 0.6/21.6) 끝나는 약21.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또는 외촌고개에서 올라간 금박산전위봉(410, 12.7)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산줄기를 따라 장곡도로(130, 2.1/14.8)-△151.7봉(0.5/15.3)-925번지방도로(110, 0.6/15.9)-사리고개 도로(90, 1.2/17.1)-경부고속도로(90, 1.1/18.2)-신당고개(대구대학 사거리, 90, 4.2/22.2)를 지나서부터는 산이 하나도 없는 평지능선을 지나는데 전부 논밭 과수원 목장 공장 등 등이라 진행자체도 안되며 그 옆 도로를 따라가야 한다 69번국지도(70, 3/25.2)-15번군도 드문동 삼거리(70, 3/28.2)-경부고속도로 금호3교(50, 1.5/29.7)-△45.3지점(2/31.7)-대구경계 사거리(1.5/33.2)를 지나 구룡마을이 발원지인 오목천이 금호강을 만나는 곳(2/35.2)에서 끝나는 약35.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이 경우는 이 산줄기의 분기점인 구룡마을에서 아침쌀을 씻고 버린 물이 금호강으로 흘러들어가는 곳에서 끝나는 산줄기로 남쪽으로는 비슬기맥+백자단맥이 북쪽으로는 금박지맥이 흐르면서 수많은 개울물을 받으며 흘러가는데 대표적인 것은 대왕산이 발원지인 사림천, 금박산이 발원지인 현내천 부기천을 받아들이며 대구시 동구 금강동 경부고속도로 대정고가밑 오목천이 금호강을 만나는 곳에서 끝나는 산줄기다
산줄기의 격을 정하는 원칙에 따라 30km이상이니 지맥의 반열에 들어가는데 금박산전위봉에서 내려간 도로부터는 전부 논밭 과수원 목장 공장 등 등이 자리집고 있어 답사가 안되는 지역으로 그 옆 도로따라가는 길이 거의다고 대구대학교를 지나서부터는 완전한 평지에서 능선을 찾는 구간으로 수많은 크고 작은 수로로 엉켜있어 물가름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 지역이다 단지 큰물줄기를 그려보며 그 좌우로 지나가는 산줄기는 산자분수령의 원칙에 따라 반드시 존재해야하므로 한번 마루금이 있다고 가정하고 그린 능선이라 지맥이라고 부르기가 난감하다 먼훗날 지리학자나 관련 전문가들의 자문이나 공론을 거쳐 수로를 배제한다고 하면 수많은 이론적인 섬이 탄생하면서 30km 미만으로 줄어들어 단맥의 반열에 속하게 될 것이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제1안이 금박단맥이 될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1안 2안 2개 산줄기 전부를 답사해야하는 부담이 큰 산줄기다
[비슬]금박단맥제1-1구간종주
글쓴이 : 우리산줄기 연구 및 답사가 자하紫霞 신경수申京秀
답사한날 : 2020. 02. 03(월)

비건고개서 410봉오르면서 대창쪽으로 바라본 정령치나 오도치를 닮은 회오리바람 임도
종주에 필요한 국립지리원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영천
영진5만지도 : 413쪽
[비슬]금박단맥지도

진행경로
구룡고개-분기점-민가도로-밭안부-530봉-임도고개-△464.6봉-임도고개-490봉 이정목-방죽안부-△515.2봉-410지점-비건고개 임도-410봉 이정목-444.7봉-효일고개 오거리-포장공터-△373.7봉-서진점 이정목-외촌고개 도로 1-1구간 끝지점
등로상태
D급 등로가 계속되다가 방죽 안부서 길이 없어졌다가 다시 D급길이 나오고 △515.2봉 내림길도 길이 없어졌다가 다시D급길이 나온다 다시 길이 없어졌다가 D급길이 외촌고개까지 계속된다
독도 등 주의사항
504.6봉어깨와 방죽안부로 내려가는길, △515.2봉 내림길, 410봉 내림길, 외촌고개 내려가는길 조심해야 한다
언제 : 2020. 2. 3(월) 흐림 맑음
누가 : 신경수
어디를 : 경산시 용성면 매남리 구룡마을 구룡고개에서 분기점 확인후 금박단맥을 따라 외촌고개까지
구간거리 : 12.1km 단맥거리 : 11.5km 기타거리 : 0.6km
구간시간 8:20 단맥시간 6:30 기타시간 0:20 휴식시간 1:30
내컴이 또 이상작동을 일으켜 전체가 올라가지 않아 아래 링크로 연결했습니다
이해하여 주시고 아래 붉은 글자를 클릭하여 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