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흥생한의원 혜산관♡
일시:2014.7.14.16:00~
위치:달서구 감삼북길113
흥생한의원을 경영하셨던
조경제 원장님은 2012년12월24 12시35분에 타계하셨다(향년91세)
평소대로 한의원에서 근무한 후 점심을 먹고
방으로 들어가 조용히 유명을 달리하셨다하니
사회에 이바지한 공덕이 신명께서도 아시고
펀안히 모셔 갔다고 한다.
의술인뿐 아니라 지역사회 이바지한 공로로 복받은 최후의 행로다.
구 흥생한의원 건물 뒷터에 조경제 원장님이
가난했던 시절 거처했던 옛집을 그대로 보존해 두었으며.
살아 생전에 수집해 보관해 놓은 자료들을
저택내 원장님의 호를 딴 혜산관에
갖가지 자료들을 전시해 놓았다
그외 거처하셨던 저택 인접 옆 사당, 그리고
조경제 내외분의 유택도 마당 입시에 마련되어 있다.
기타 자제들이 부친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대구인근 성주에
기념관을 옮겨 갈 계획을 새우고 있다고 한다.
장남(강래)은 매일 하루도 거르지 않고
부친의 조기행사와 같이
아침 일직 사당을 방문해 예를 올린다고 한다



감삼북로113에 위치한 한의원 남쪽 뒷터 왠쪽에, 어릴때 살았던 옛집과,
뒷터 오른쪽에 저택과 수집품과 자료들을 전시해 놓은 혜산관과 사당이 있다.

평소 코를 푸는 종이도 사용후 다시 말렸다 사용하는 성격이며
자식들 가정교육도 근검절약 정신을 실천하도록 가르쳤다고 한다

사택 진입로


저택으로 들어 가는 진입로 좌측에 있는 견본전시물
젊은 시절 거처했던 옛집 
1974년에 다른지역에서 뜯어 온 건자재로 옛집을 지어 살았다 한다

사용한 자재나 기구들은 버리지 않는 꼼꼼한 성품과 근검절약 성격으로
몸소 사용한 자료들도 있고 평소 선호했던 물품들을 구입 보관

마당 한 가운데 우물이 그대로 보존
틈틈히 농사를 지었던 각종 농기구가 보관

덥석과 탄약통도 보인다.1950년대 6.25한국전쟁의 부산물로
총알을 담는 통으로 밀폐가 완벽해 보관용기 또는 다용도로 애용했다.

말년에 손주들과

고 조경제원장의 부친(조국현) 내외와 손주들

옛집의 주방

초년에 직접 농사에 사용했거나 구입한 농기구

탈곡기

사택관리업무를 하고있는 배영권님이 옛집마당에서 설명을 하고 있다.

장년시절의 조원장 모습


영대 최고 경영자 과정 수료식

고인의 생전 모습


담벽 가장자리에 세워 놓은 솟대

남쪽에서 본 옛집 전경

서재:옛집 남쪽에 위치

버리지 않는 성격으로 지금은 구하기 힘든 책들이다.




함안조씨 대동보
생존시의 업적 기사

1954년 한의사 시험에 합격.
기사 중 한구절"돈이 있으면 나갈 구멍을 만들어야 해!.그렇지 않으면 교만해져."
"남의 아픔을 자기 아픔과 같이 여겨야 해".
"한의원 앞에 줄을 서 있는환자들을 돌보기 위해 일년 내내
하루도 쉬지않고 진료를 했다".
"50여년을 하루도 빠짐없이 일기를 써 왔다".

기사 중 "그는 1978년 주머니를 털어 장학회를 설립했다.
수억원을 내놓으면서 나서지도 않고 이사나 이사장도 맡지 않았으며,
장학회는 마을 주민들이 운영토록 했다."

"홍안(紅顔)"이란 회고록을 내 놓았는데, 언론에 회자되는게 부끄러워
얼굴이 붉어진다"는 뜻이 담겨 있다.

기사 내용중
"대구에 한의과 대학 설립을 추진해서 1980년 대구한의과대학을
설립에 일조를 한 동기와 한의학의 맥을 이어온 대구의 허준선생 3인중
한명으로 추앙받는 인물
"부자라고 알려져 있던 조경제 선생의 방은 좁고 어둡다. 푹 꺼지고 서늘한 구들,
어둠침침한 방, 얼마나 오랫동안 도배를 안 했는지 빛바랜 벽지,
낡은 앉은뱅이 책상과 누런 공책, 족히 20년은 넘었을 구닥다리 텔레비전,
개켜 놓은 요와 이불 한 장이 전부다"
저택

저택은 담장으로 격리되어 있으며 , 내부의 향나무 조경수

혜산관

입구에 다소곳이 핀 참나리의 자태

대문을 들어서면 조경제,박재순 내외분의 낙골묘가 보인다.
슬하에 3남5녀를 두었는데

그중 둘째 사위는 대법관을 지낸 차한성님이다.

참인술을 배푸시고 지역에 큰 공과를 심으신 고 조경제 원장님의 명복을 삼가 빕니다.

고희(70세)때 다섯 사위가 마련한 납골묘의 현석.
8남매가 모두 의사 또는 고위직 명사로 출세한 사유는
"좋은 삶을 바라면 좋은 자손을 길러라"는 고인의 인생철학이
낳은 성과다.
혜산관(慧山館)

살아 생전 간직했거나 구입한 귀한 자료들을 보관

해산관은 1,2층에 자료들이 진열

1층

자료가 너무 많아 이 넓은 1.2층 공간으로도 채울 수 없어 조밀하게 진열해
두었는데 앞으로 기념관이 새로 건립되면 배열,정리 정돈이 요구된다.

진귀한 자료인 대구의 옛모습 사진



솜타는 기계


각종 떡살 모형 기구

배틀 기구?


초,담배,성냥


고무신과 나막신

군화 등



수석

몽고에 갔을때 얻은 의상과 모자

꾕과리와 징



각종 병류

재봉틀

한약상자와 도자기

탈

2층

2층에서 내려 다 본 1층 전시



본인 서예작품도 있다.

컴퓨터, 타자기와 본인 동상이 보인다

각종 축음기


손으로 탭을 돌리는 유성기.

유성기를 선호하는 이유는 아버지 조국현님이 약초를 캐와서
손님들을 유객하기 위해 축음기를 틀어 놓고,
사용하던 옛추억이 그리워 구입했다고 한다
먼훗날 가전골동품으로 각광을 볼 날이 있으리라.

유성기에 대한 남다른 애착이 있는 듯..



놋그릇 반상기

각종 카메라:유명한 라이카 제품들이 많다.

박정희대통령 표장장과 전두환 대통령시절 국민훈장 석류장.

박정희 대통령이 하사한 먹, 벼루와 붓



노무현 대통령 년하장

각종 상장

일제 말기 번호판이 있는 자전거를 해방되던해
서문시장에서 구입해서 타고 다님

"자전거 감찰 315 경북달성"이란 패찰이 붙어 있다.
오늘날 자동차의 번호판을 연상한다.

이명박 대통령의 신년하례품

?청와대 하사품

대통령 전두환 기념품

전화기

진수재

사당 내부

사당엔 고 조국현내외분(부모)과 조경제 내외분의 영정사진이 모셔져 있다.
.

장남인 조강래님도 아버지의 정신을 이어받아
매일 아침 참배한다고 한다.

효성이 대대로 이어지길 바라면서...

사택관리 담당 배영권님
34도인 더운 날씨에 통풍장치도 되지않은 혜산관 1,2층을 인도해 주신 노고에
감사를 드리고 주선해서 같이 동행하셨던 최영덕 단장님에게도 감사를 드립니다.
첫댓글 의술이 무엇이며, 근검.절약이 무엇인가를 우리에게 보여주시고 가르쳐주신 조경제 원장님의 기념관이 하루속히 완성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기회가 빨리 왔으면 하는 마음 간절합니다. 아울러 촬영,편집,카페에 올려주신 허단장님께도 고맙고 감사한 마음 지면으로 전합니다.
볼수록 존경하는 마음이 더해지는군요 ..............참 좋은 구경 잘 하였습니다 허선생님 감사드립니다 김 윤경
샘

,
생한의원,조경제원장님대구의허준,진작몰라아쉽고 존경분올려주셔
, 돈이 있으면 나갈구멍만들기,
삶자체가예술 
감동


진수재 맞아요.가운데 글자 나무수,세울수,나무목이 옛날한자라,흙토로썼나봐요, 
고맙습니다.
좋은삶은좋은자손효도관,혜산관,온고이지신,사당,유택,홍안회고록,고서,작은박물관
선생님
조약국 이라고 듣기만 했는데 조경제 원장님의 훌륭한 생각과 행적을 알게 되니 존경심으로 고개 숙여 집니다.
이런 선현들이 계셨기에 우리나라가 가난과 고난을 극복하고 오늘날과 같은 번영을 누리게 되지 않았을까요
허단장님! 알뜰히 촬영 취재해 볼 수 있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조약국은 참으로 이름난 야국이며 대구의 자랑이였습니다. 조원장님늬 고택과 유품은 실로 한국의 역사를 한눈에 보이는것 처럼 아주 훌륭하고 대구의 도심속에 고풍이 고즈런히 담겨있는 물건과 작품도 다양합니다. 잘보았습니다.
좋은 자료 올려주셔서 잘 보았습니다. 감동 먹었어요~~
smile님 진수재의 "수"자를 찾아 주어 감사합니다.수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