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화재가 발생하면 5분 이내에 진화해야만 한다. 그 이유는 화재가 발생하고 5분 정도 지난 다음부터는 불길이 커져 막을 수 없을 만큼 빠른 속도로 번지는 힘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러한 불이 얼마나 많은 피해를 가져오는가 하는 것은 바람의 속도, 기압 또는 나무와 같이 불에 잘 타는 물질 등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해 좌우된다. 그리고 화재는 불에 잘 타는 물체의 성질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로 나눠지게 되는데 우리나라는 일반 화재, 유류 화재, 전기 화재 등 3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보통 화재(일반 화재)는 A급 화재로 목재, 섬유류, 종이, 나무 플라스틱처럼 타고 난 이후에 재를 남기는 화재를 말하며, 이런 화재를 일반화재 또는 보통화재라 한다. 유류화재는 B급화재로 휘발유 또는 석유와 같이 불에 타기 쉬운 가연성 액체 및 프로판 가스와 같은 가연성 가스 등 에서 발생한 불로 타고난 후에 아무것도 남기지 않는 화재를 말하며, 이런 화재를 유류 화재 또는 가스 화재라 한다. 전기 화재는 C급 화재로 변압기, 전기다리미, 두꺼비집 등 전기 기구에 전기가 통하고 있는 기계나 기구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말한다. 화재 발생 시 대처요령은 일단 불이 나면 즉시 119로 곧바로 신고하는 것이 우선이며, 신고할 때에는 불이 난 정확한 위치를 침착하고 올바르게 알리고, 큰 소리로 ‘불이야’라고 소리치며, 불이 난 근처에 있는 소리가 날 수 있는 물건을 모두 두들겨서 모두에게 알려준다, 초기에 불을 끌 수 있도록 당황하지 말고 적은 불이라도 세심한 소화작업이 필요 하며, 소화기의 준비는 유사시 내 생명과 재산을 지켜준다. 유류, 가스화재는 재빨리 젖은 수건 이나 담요 또는 모래 등으로 덮어야 하며, 소화기, 소화용수, 모래주머니 등은 즉시 사용할 수 있는 곳에 비치하고, 수시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인가를 확인한다. 휴지통에는 휴지만 버리며, 휴지통속에 재떨이를 비우지 말고, 담배꽁초를 버리는 통은 타지 않는 재료로 만든 것으로 따로 마련해야 한다. 난로 곁에는 세탁물을 널지 말고, 난로를 커튼이나 휴지통 등 탈 수 있는 물건 가까이 놓아서는 안 된다. 전기 콘센트에는 많은 전기기구를 연결해서 사용하면 무리가 생겨 화재가 발생할 위험 높으며, 전기기구를 사용한 후에는 반드시 코드를 빼놓는 습관이 필요하다. 열기구 등의 급유 시에는 불이 완전히 꺼졌는가를 확인한 다음 급유하며, 급유 중에는 다른 곳에 시선을 돌려서는 안 된다. 잠들기 전에는 다시 한번 주위를 살피며, 문단속과 소등을 하고 가스, 유류, 전기기구 등이 안전한가를 살피는 습관이 필요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