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자 매듭. 8자 되감기 매듭, 8자 고리( 중간)매듭, 까베스통 매듭, 반까베스통 매듭 만큼은
보지 않고도 완성 가능 할 정도의 반복 부탁드립니다.
** 옭매듭 ( 막매듭 ).
*** 8자 되감기 매듭
*** 선등자 / 중간자 매듭 (8자 고리 매듭)
8자 매듭중에 가장 빨리 묶을 수 있는 것인데, 자일에 고리를 만들어 카라비너에 걸 때 주로 사용한다. 안전벨트가 없을 때, 직접 몸에 연결할 때, 줄의 가운데에 맬 때, 확보물에 고정시킬 때 사용한다. 매기가 간단하며 안전도가 높고 충격에 강하나 매듭이 크고 복잡하며 줄의 길이가 많이 소요된다.
|
*** 까베스땅 (Cabestan) 매듭 또는 클로브 히치 매듭 (Clove hitch Knot)
우리나라에서 주로 까베스땅 (cabestan)매듭으로 불리는 이 매듭은 로프의 중간을 카라비너에 쉽고 빠르게 매듭하여 양쪽의 줄을 고정할때 쓰이는 매듭으로 등반 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매듭이다.
- 쉽고 빠르게 매듭을 할 수 있으며,
- 힘을 받거나 얼었을 경우에도 쉽게 풀 수 있다.
- 매듭후에도 쉽게 앞뒤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이 매듭은 양쪽 어느쪽 자일을 잡아 당겨도 반대쪽 자일이 딸려오지 않는다.
- 로프의 임시고정용, 등반자 자기확보, 후등자 확보, 짐을 올릴때 등 이용범위가 넓다.
- 끝줄을 이용하여 묶을 경우에는 반드시 옭매듭으로 마무리 처리를 해야 한다.
- 클로브 히치 매듭 (Clove hitch knot) 라고도 한다.
** 반 까베스땅 (Half Cabestan) 매듭 또는 뮌터 히치 (Munter Hitch Knot), 하프 클로브 히치 매듭 (Half Clove Hitch Knot)
만약 빌레이기구가 없거나 등반중 분실했을 때, 이 하프 클로브히치에 의한 빌레이방법은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선/후등자의 등반로프를 풀어주고 당겨주는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쉽게 제동도 할 수 있다. 하강 기구가 없을 때 하강에도 이용할 수 있지만 마찰열 때문에 뮌터 히치를 이용한 하강은 가능하면 하지 않는 것이 좋다..
- 추락제동용 매듭, 상대방 (특히 후등자)의 빌레이를 볼 때 사용
- 추락시 모든 추락에너지가 확보지점에 직접 전달되므로 확실한 확보지점이 필수이고, 추락 제동시 로프가 심한 손상을 입는 단점이 있다
- 개폐부분이 넓은 HMS형 잠금카라비너를 사용해야 매듭설치와 사용이 안전하며 편리하다. 일반 카라비너를 사용할 경우 매듭이 카라비너에서 빠질 수 있다.
- 이탈리안 히치 매듭 이라고도 한다.
반 까베스땅 매듭을 이용한 카라비너 하강법
만약 하강기구가 없거나 등반중 분실했을 때, 이 하프 클로브 히치에 의한 하강법은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단점은 마찰열이 많이 발생한다는 것과 숙달되지 않으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위 그림)
첫댓글 바위를 처음 접하시는 분이나 매듭에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은 눈감고도 매듭 지을 수 있도록 반복 연습할 필요가 있습니다.
넵. 감사합니다.
확인하고 숙지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꼬~~옥 필요한 매듭만 올려놓으셨네요 위 매듭만알면 등반하는데 지장없는듯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