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어조건 | 파트너 합산 10.0 이하 |
9.0 | s 대학교 이상 선수출신 s 고등학교 선수출신 중 우승자 s 중학교 선수출신 중 5회 이상 우승자 |
8.0 | s 고등학교 선수출신 중 비우승자 s 중학교 선수출신 중 우승자 s 초등학교 선수출신, 동호인 지도자 중 5회 이상 우승자 |
7.0 | s 중학교 선수출신 중 비우승자 s 초등학교 선수출신, 동호인 지도자 중 우승자 s 동호인 5회 이상 우승자 |
7등급이상 | s 7등급 합산 만90세, 8등급 합산 만95세, 9등급 합산 만100세 |
6.0 | s 동호인 2~4회 우승자 s 초등학교 선수출신, 동호인 지도자 중 비우승자 s 순수 베테랑부 5회 이상 우승자 |
5.0 | s 동호인 1회 우승자 (오픈부 이상) s 순수 베테랑부 2~4회 이상 우승자 s 신인부 2회 이상 우승자 (신인부 우승 1회 + 순수 베테랑부 우승 1회 포함) |
4.0 | s 오픈부 이상 입상자 (준우승, 3위) s 신인부 1회 우승자 s 순수 베테랑부 1회 우승자 s 우승자 유예기간 (우승 당해년도 제외 5년) 경과자 (오픈부 이상) |
3.0 | s 신인부 입상자 s 순수 베테랑부 입상자 s 오픈부 이상 입상 후 만1년 경과자 s 순수 베테랑부 1회 우승 후 3년 경과자 (우승 당해년도 제외 3년) s 신인부 우승 후 만3년 경과자 (우승 당해년도 제외 3년) |
2.0 | s 오픈부 이상 입상 후 만2년 경과자 s 신인부 입상 후 만1년 경과자 |
1.0 | s 2.0~9.0 등급에 해당하지 않은 자 s 오픈부 이상 입상 후 만3년 경과자 s 신인부 입상 후 만2년 경과자 s 순수 베테랑부 입상 후 만2년 경과자 |
공통사항 | s 우승횟수는 KTA랭킹대회와 랭킹제도를 시행하는 타단체 우승횟수가 포함되며 연도에 관계없이 누적된 우승횟수를 적용함 s 우승자 유예기간 5년(우승 당해년도 제외)은 1회 우승자(타단체 포함)에게만 적용 s KTA를 포함하여 타단체 대회성적(우승, 입상)과 연령에 따라 KTA생활체육 랭킹대회 등급이 조정됨 s 2015년8월1일부터 타단체 포함하여 랭킹 포인트를 부여하는 모든 부에서(지도자부는 제외) 준우승3회 또는 입상 6회이면 입상횟수를 채운 날로부터 오픈부 1회 우승자로 인정함(준우승 1회 = 3위 2회) s 지도자부 우승 경력자가 연령으로 인해 동호인부에 출전할 경우, 지도자부 우승 횟수를 동호인부에 반영 s 여자선수 출신은 남자선수 출신과 동일한 자격으로 출전 가능함(부별 참가 허용기준 공통사항 참고) s 청+장(베), 장(베)+장(베) 페어를 기본 원칙으로 함 (단, 4.0등급 이하끼리 페어는 청+청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