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롱산-작대산
◈날짜 : 2018년 4월04일 흐림
◈들머리 : 경남 창원시 북면 감계리 힐스테이트1차정류장
◈산행시간 : 4시간03분(07:38-11:41)
◈찾아간 길 : 팔용동주민센터정류장(07:23)-27번-힐스테이트1차정류장(07:38)
◈산행구간 : 힐스테이트1차정류장→노스빌골프랜드→조롱산→안부사거리→감계무동쉼터→소목고개→추모비갈림길:작대산왕복→양목이고개→474봉→양미재→임도→중방마을회관정류장(11:41)
◈산행메모 : 기상청 동네예보는 낮12시부터 비가 내린다. 비를 피할 수 있는 가까운 산으로 향한다. 2016년에도 다녀온 코스다. 팔용동주민센터에서 힐스테이트1차까진 버스로 15분 거리다.

왔던 길로 발길을 돌려 오른쪽으로 횡단보도를 건너

도로를 왼쪽에 끼고 직진하면 오른쪽에 노스빌골프랜드, 왼쪽에 청송심씨 재실(감의사), 그 위로 조롱산이다.

앞에 보이는 승용차 왼쪽 문 뒤엔 등산안내판.

오른쪽에 골프랜드축대를 끼고 산길이 열린다.

올라가서 계곡을 만나는데 3거리다. 왼쪽 감의사에서 올라오는 길이 합류한다. S자를 그리며 올라가면 왼쪽에 암반쉼터. 쉼터에서 골프랜드(좌)를 보며 숨을 고른다. 그 오른쪽 앞으로 감의사 지붕도 보인다.

치솟는 통나무계단.

조롱산동봉에 올라선다.

이정표를 보니 정상은 100m 전방이란다. 그런데 표지석은 여기.

정상으로 가니 왼쪽에 전망바위.

진행방향으로 344봉, 그 왼쪽에 소목고개. 그위 579봉과 작대산은 구름속이다.

그 왼쪽으로 양목이재와 양미재는 구름 아래로 드러난다.

북봉을 앞두고 길은 왼쪽으로 꺾어 통나무계단 따라 쏟아진다.

나무뒤로 다가서는 344봉.

옛임도가 가로지르는 안부사거리에 내려선다.

사거리를 지키는 이정표.

왼쪽에서 전기톱소리가 가깝다.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를 베어 훈증한모습도 보인다. 전기톱소리는 감염된 소나무를 베는 소리?

돌탑과 벤치가 자리한 무동쉼터 344봉에 올라선다. 개를 데리고 온 산책객도 만나는데 산에서 만난 첫 사람이라 반갑다.

여기서도 내림은 통나무계단이다.

삼거리를 만나는데 오른쪽은 무릉산으로 이어진다. 벌써 이렇게 짙어진 녹색이다. 새소리도 다양하다.

지나온 344봉을 돌아본다.

딱! 소리에 걸음을 멈추니 조용하다.

나무 뒤로 임도가 보이더니 소목고개에 내려선다. 오른쪽에 골프장이다. 조금 전 들렸던 소리는 골프공을 치는 소리였다.

진행방향으로 579봉은 구름이 자리했다.

임도 따라 올라가다 왼쪽 산길로 진입한다. 돌아본 임도.


꽃잎이 뿌려진 꽃길도 통과한다.


오리나무 아래서만 볼 수 있는 그림이다.

오른쪽으로 보였던 쪼개진 바위를 위에서 보면 이렇다.

칡넝쿨이 엉킨 덤불을 만나니 바로 위에 안개.

삼거리이정표와 추모비가 자리한 579봉에 올라선다.

여기서 오른쪽으로 내려가서 올라가면 바위.

돌담을 두른 소나무도 만나며

청룡산(작대산)에 올라선다.

사각정쉼터에서 17분간 때 이른 점심. 사방의 조망은 안개에 막혔지만 새소리는 이어진다. 한 마리는 앞 나무까지 와서 지저귄다.

정상을 지키는 이정표.

579봉으로 되돌아온다.

오른쪽으로 내려간다.

삼거리이정표와 벤치가 자리한 양목이고개에 내려선다.

비가 시작되어 배낭덮개를 씌운다. 돌밭으로 올라가니 이어지는 통나무계단. 오늘의 마지막 봉우리 474봉에 올라선다.

왼쪽 안개사이로 고속도로도 보인다.

양미재에 내려선다. 사거리이정표는 뒤로 청룡산(작대산)2.3, 앞으로 천주산2.5km다.

어느새 비가 그쳤다. 왼쪽으로 내려간다. 7분후 돌무지를 만나고, 편백나무사이로 이어가는 길이다. 마른계곡을 건너니 4기의 돌탑도 만난다. 돌아본 돌탑.

임도를 잠시 만난 뒤 다시 산길. 여기서 임도를 만나며 산길을 벗어난다.

좌우로 감나무도 만난다. 지나온 344봉(좌)과 조롱산(우). 조롱산은 303m인데 더 높게 보인다. 아파트촌에 사는 까치들은 집도 4층으로 지었다.

새터정류장을 앞두고 정면 큰도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27번버스가 지나간다.

큰도로로 내려가서 왼쪽으로 내중방천교를 건너니 중방마을회관정류장이다. 오늘산행은 여기까지.

17번버스가 지나가고 10분 후 도착한 27번버스에 오르니 본격적인 빗줄기다.
#중방마을회관정류장(12:00)-27번-팔용동주민센터정류장(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