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경독송 2부
4)Accayam khama me /dhamma sanditthika akalika
6)Accayam khama me /samgha punnakkhetta anuttara
7)Sadhu Sadhu Sadhu
3)5)절은 전장 참고
4)6)절에서도 일부 전장 참고 하시기 바람니다.
● dhamma 담마, 행복한, 달콤한, 자연, 자연적인 ,진리 등등
● sanditthika 싼디띠까 :
●sandi = of sanditi
(속박,구속,사슬,장소,측연,연쇄,(연속)물 :flowed(흘러,넘쳐흐르다,발하다),
=( fr. sam da :bound (경계, 뛰어오르다), tied(묶여,메다,결합시키다) )
(ditthi - sandana )
●ditthi 딭띠, 띹디히 : sight(시력,시각,겨냥), view(보다,전망,견해, 경치),
belief(믿음,신념) ,speculative (위험한,사색적인,투기적인),
opinion(의견, 생각,판단), insight (통찰력,이해 ,식견)
●ditthika 딭띠까 : believing in (~ 존재를 믿다),
having the theory of(~이론을 가지고 있습니다),
0ne who regards (배려하는 사람)
one who views the arrival (전망이 있는 사람))
●ka 까.가 : 家 ,(음악) 가 ,전문적인 사람,~ 까라:~ 사람들 ,~ 들,등등)
● sanditthi 산딭디 = (fr. sam +drs ):
visible world (가시적 세계) ,worldly gain (세상적인 이익,세속적이익)
sanditthika (ko,ke) 산딭띠까 = visible(보이는,명백한,눈에 보이는),
belonging to this life (.이생에 속합니다,이 생명에 속한)
●sam + drs (드르스,드리시, 드리사,) (쌈 드리우다, 쌈 드리다(들이다)
see, behold, visit, look at(on) 인정하다, 인지하다 등등으로
쌈은 함께 ,여러가지 로써
산 = 쌈에 변형이다 . 쌈가 = 상가,
쌈 발음이 변화 되면서 쌈, (쌍윳따) > 쌍 >상 등
예외적인 것은 ㅡ산스끄리뜨에서 산은 상서롭다 , 성스럽다는 뜻이며
쌈스끄리뜨.쌈스끄리따는 여러 가지를 인위적으로 만들다.(유의적(법)
따라서 이 해석은 전체 문장을 고려해야 한다고 여긴다.
● akalika 아까리까 ;아까리가는 나오지 안으며 a 와 분리 해석해야
한다.
a 아 ,어 : 음양 조화 ,태양 , 감탄사(아~ 반갑습니다), 부정(아니다 ,안이다: 안은 몸 안을 뜻하기도 한다,)
엠브리오, 등
a 아를 “없다“라고만 해석하는 건 무리가 있으며
그 오류는 쁘라즈나 경에서 "아뇩다라" 를 위 없는 으로 해석하여
오늘 날까지 진의가 왜곡 되었다할 것이다.
(아말라 아 비말라는 마르지 않은 마르지 않지도 않은 ㅡ으로 해석함을 비추면 이해 될 것이다,:
(말라 = 마르다 ,말라 깽이),삐쩍 말라, 하지 말라등)
● kalika 까리까 ; (제가) 까리까(제가 말할까),(아리까리 하다,까리까리하다, (짓)꺼리까)
commentary (해설,논평,주석서), work (일하다,직업, 작품,일),
action (행동,동작, 작용), memorial verse (기념구절)
metrical explanation (계량적 설명),
S) 공통 ,괴롭히다,활동, 활약, 기념구절,논문, 서적 논설,
모호한 문법 규칙을 설명하다.
akarika : 사전에는 나오지 안으나 : 아 a 부정이거나 감탄사로 전체적 내용을 보고 해석해야 한다.
●) 6)Accayam khama me 전장 참고
●) samgha 쌈가 , 쌈 家, 伽 ; 빨리어 사전에는 나오지 안는다
여럿이 모여 사는 집 ,
쌈 가람 : 가아람 : 숲속 집 ㅡ쌈가람, 숲속에 여럿이 사는 집
공동체 , 사찰, 절
쌈 sam : 공동. 여럿이 ,함께 ,쌈 싸먹다, 쌈짓돈, 여러 가지 등
●) punnakkhetta : 뿐나 께따,뿐나케따 (경상도분이 해석해야 정확한데 ,,)
사전에는 (punna gama 로 나온다. 뿐이야케따: 복이라켔다,
●) anuttara : 안웉따라 , 안 웃따라 ,
●)안 an : to breathe (호흡하는 : 안으로 숨을 쉬는 숨을 안으로 들이키는 ,들숨 날 숨을 이르는
명상으로 해석해도 무방할 것이다)
●)안 an : 안이다 , 않다 , noting
●)웃따라 uttara : (산) 우에 ,(산)우 간다, (사)누에 간다 , 위로 올라간다, 웃따라(간다))
higher(더 높은,~ 높은), further(더 나가,더욱이 ,게다가,더 멀리),
northern (북부사투리, 북쪽으로, 아마도 북쪽, 북쪽으로 라는 표현으로 봐서는
북극성,북두칠성을 의미 하는 것 같다 ), over (위에,지나치게),
an answer (답변, 대답하다,답을 말하다: reply(대답, 반신, 답사등에
해석은 어때, 어떠랴 등에 발음을 예상할 수 있다),
*아뉵따라와 아뇩따라는 이제 버려야 하지 안을까요!
●) 7) Sadhu Sadhu Sadhu : 사두 , 삳후, 삳드후
good(좋은,충분한,적합한), vertuous (덕있는,고결한체 하는,효력있는),
profitable(유리한), well(잘,), thoroughly(철저히,완전히,순전히)
alright (괜찬은,다좋아),상당한, 존경할만한, 품행이 단정한, 잘태어난 ,
집안이 좋은, 훌륭한, 우수한
ㅡㅡㅡㅡㅡ
1) Kaya na vaca citte na
제 몸 바차 제 본성
(말씀을 올려)
pamadena maya katam
나태 (방일) 해 짐을(지는) 깨우시고
2) Accayam Khama me Bhante
(아차하는 결점을,순간) (영속적) (헤아려) (석가 세존에)
(석가 세존께서 아차하는 순간을 지속적으로 헤아려)
Bhuri-panna Tathagata
(광대한 통찰력으로) 본성이 우주와 같아지이다.
(풍부한 디훼로)
3)Kayena vaca-cittena pamadena maya katam
4) Accayam khama me /
아차하는 순간을 지속적으로 헤아려
dhamma sanditthika akalika
진리,행복한,자연,자연적인. 이 생명에 속한, 아 ~ 말하리라
(이생에 속한) (어지럽히지 안으리)
5)Kayena vaca-cittena pamadena maya katam
6)Accayam khama me /
아차하는 순간을 지속적으로 헤아리며
samgha punnakkhetta anuttara(안웃따라)
(높이가는(웉따라 가는) 승가에 공덕이라켓다)
6)Accayam khama me samgha punnakkhetta anuttara
(아차하는 순간을) 지속적으로 헤아리는 승가에 공덕으로 안웃따라 갔습니다
(세상을 떠나, 또는 멀리 떠나도) 지속적으로 헤아리는 승가에 공덕으로 웃따라(천상) 갓습니다
(사전에는 punna kkhetta : punna gama 로 나와 있기에 “공덕으로 가다” 라는 뜻이 아닌 것 같은데도
어느 정도 사전을 따르려면 ,,,)
7)Sadhu Sadhu Sadhu
* 나태와 마야 , 아차야와 부리 빤나를 좀더 사유할 필요가 있다고 여기는 바 해석이 달라질 수 잇습니다.
왜냐면 마지막 구절이 미묘한 내용이 되기에
*혼자만에 생각으로는 부족하나
여러 단어를 구성지게 만든다면, 없는 단어를 가공하지 안아도
충분하리라 생각합니다.
삼가 도원 합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