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소개 교사들은 배움에 흥미를 잃어가는 학생들이 안타깝지만 ‘시험 성적’에 대한 책임도 외면할 수 없는 입장이다. 그러나 모두가 무기력하게 멈추어 있는 것은 아니다. 현실적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많은 교사들이 새로운 수업, 창의적이고 생기 있는 수업을 위해 애쓰고 있다. 과연 어떻게 하면 학생들의 시간을 낭비하지 않으면서도 색다르고 의미 있는 수업을 할 수 있을까? 해답은 바로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에 있다. PBL은 그저 재미만을 추구하는 수업이 아니다. 세심하게 설계된 PBL을 통해 학생들은 교과 내용을 깊이 배우는 것은 물론이며, 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협업능력, 자기관리능력 등으로 대표되는 ‘21세기 역량’을 기를 수 있다. 다시 말해 PBL은 시험 성적뿐만 아니라 그 이후의 미래를, 대학과 직장, 사회생활을 대비하게 하는 21세기형 교육이다. 이 책은 PBL에 관한 기본 지식을 모두 담았다. 특히 PBL에서의 교사 역할을 중요하게 다룬다. 교사는 판을 짜고 난 뒤 뒷짐만 지고 지켜보는 것이 아니라, 곁에서 관찰하며 학생들이 최종 목적지까지 나아갈 수 있도록 끊임없이 다리를 놓아주어야 한다. PBL은 학생이 어떻게 배우고, 무엇을 배우는지를 강조하지만, 정작 그 배움을 가능케 하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은 교사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교사들이 PBL 수업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잘 감당해 낼 수 있도록 친절한 가이드북이 되어줄 것이다. 벅 교육협회 BIE (Buck Institute for Education) :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을 연구하고 교사들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비영리교육단체이다. GSPBL : Golden Standard Project Based Learning 디자인 첼린지(design challenge) : 디자인 개발 초기 단계에서 디자인을 위해 구체적으로 정의된 문제를 말한다. 이탈리아 16세기에 만들어진 예술학교에서 상급학생에게 주어진 과제를 '프로게티(Progetti)'라고 한다. 이 프로게티에는 오늘날의 PBL의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첫째, 어려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중심으로 기획되었다. 둘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은 실무자들이 경험하는 내용을 전체적으로 포함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건축가라면 건축을 위한 전 과정을 포함하고 있었던 것이다. 셋째, 문제 해결을 위한 선택과 결정은 학생들에게 있다. 넷째, 프로게티의 목표는 전시되고 평가될 수 있는 공개할 결과물(Public Product)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여기서 Public은 공공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교실 공간을 벗어나 학교와 지역사회에 까지 공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개의 방식은 프리젠테이션, 출판물, 온라인 게시물, 연극, 전시회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존 하티(John Hattie)등이 지적한 것처럼, 일단 볼 수 있는 것은 논하고 반추할 수 있으며, 비평의 대상이 되어 개선될 여지가 있다. 학습자는 이러한 엄격한 평가와 비판, 수정의 과정을 통해 비로소 초기 단계의 아이디어와 노력이 지닌 강점과 약점을 깨닫게 된다. 그 결과 부족한 세부 항목을 추가하여 작품을 더욱 정교하게 만들고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의 배움에 깊이를 더할 수 있다. (어려운 과제나 문제, 실제성, 학생의 의사와 선택, 비평과 개선, 공개할 결과물) P25~26. - 교사는 학생이 사고하고, 탐구하며, 성찰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내는 존재다. (p29) - 문제기반학습의 특징(p32-33) 첫째, 프로게티처럼 어려운 문제가 주어진다. 둘째, 모둠을 구성해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다. 셋째, 메타인지(Meta Cognition)라고도 하는 성찰의 과정은 학생들에게 문제해결 과정을 검토하고 더 나은 방향을 모색하는 기회를 준다. "우리는 PBL과 문제기반학습(Problem Based Learning) 사이의 구분이 자의적이며 탁상공론에 가깝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p33) - 문제기반학습에서 튜터의 역할(p34) "튜터는 학생들을 직접적으로 가르치거나 해답을 제시하지 않는다. 이들의 역할은 학생들이 토론하고 성찰하게 만들며 비계와 참고할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튜터는 질문을 통해 학생들의 사고력과 추론 능력을 확장하도록 도왔고, 독립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자로서의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격려했다."(p34)
Chapter2 GSPBL이 되기 위한 조건들 - GSPBL의 궁극적인 목적은 '이해가 있는 배움'이다. 프로젝트 활동은 단지 수단에 불과하다. (P41) - GSPBL에서 추구하는 핵심성공역량은 ① 비판적 사고력/문제해결력 (Critical thinking/Problem Solving Skill) ② 협업능력 (Collaboration Skill) ③ 자기관리능력 (Self-managing Skill) - 4C (21세기 미래학자들이 말하는 4가지 성공/핵심 역량 - 21st Century Success Skills) ① Communication ② Creativity ③ Critical Thinking ④ Collaboration - Essential Elements of Project Desgin ① Core Question : The key question is to target learning and to enable choice and concentration. ② Constant Inquiry : Dew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qiury.
③ Practicality : Practicality is to make thd learning experience as real as possible. ⅰ) The situation of the project shoud be realistic.
ⅱ) A project can have a real impact.
ⅲ) Projects bring about personal change.
④ Student lead "프로젝트에서 학생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자율성이란 기본적인 욕구와 학생의 능력을 인정해주는 것이다. 이는 학생의 내적 동기를 불러일으킨다.(p52) ⑤ (Critical) Reflection "We learn from our reflections of experience." -J. Dewey. Reflections are about meta-cognition and determine the quality of learning. ⑥ Criticism and Improvment : Criticism and improvement are made through self-reflection. ⑦ Presentaition of the products : Presentaion of the products motivated the project. Chapter3 Teacher's Role to Realize GSPBL. 1) 프로젝트 설계 및 계획하기/To design and plan a project : 이 과정에서는 학습 목표 수립, 학습 결과물 선정, 학습 결과물 전시 방법 결정, 탐구질문 작성 등이 포함된다. 2) 프로젝트를 성취 기준에 맞추기 (계획하기와 설계 단계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아닐까?) 3) 문화 조성하기 / Creating a Culture - 명시적인 방법(게시물 또는 설명 등)과 암묵적인 압법이 모두 활용되어야 한다. PBL 수업에서는 탐구 과정에 관한 학생 질문이 장려되고 존중되어야 한다. 학생들은 PBL 수업 속에서 다양한 경로로 탐구할 수 있고,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다는 걸 알고 있어야 한다. 또 나중에 수정되거나 심지어는 환전히 폐기될 수도 있는 시제품(Prototype)을 만드는 일, 소위 '전진을 위한 실패'라고 표현되는 일들도 허용된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p62) PBL 수업 문화에서 중요한 것은 '성장 마인드(growth mindset)'이다. 교사들은 학생들이 만들어내는 최종 결과물에 관심을 두기보다는 학생들의 노력, 인내, 어려움을 극복해낸 전략, 발전을 위한 모든 과정 등을 인정해 주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 또한 일부가 아닌 모든 학생에게 사고와 노력을 요하는 과제가 주어져야 한다. (p63) 4) 프로제트 운영하기/ Running a Projet 프로젝트 운영자는 여러 과업들을 조정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어야 한다. 스케줄 세우기, 점검 시점과 마감 시점 정하기, 집중력과 생산성 유지하기, 품질 관리하기 등 여러 세부 사항들을 주관한다. 5) 학생의 학습에 관여하여 지도하기 / To guide in the study of a student 프로젝트가 전개되면 교사는 개별 학생에 대해 잘 알게 될 것이다. 교사는 학생 개개인을 존중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한편, 학생 각자의 성향을 파악해야 한다. 교사는 학생들과 함께 성취와 좌절을 공유하며 정서적 교류와 이해를 통해 모둠의 한 구성원이자 노련한 보조자로 행동해야 한다. - 선배들과의 만남 (71) - PBL은 학생들 스스로 할 때 배움을 자기 일로 받아들인다. 이제 배움은 수동적으로 참겨 견뎌야 하는 괴로운 일이 아니라 능동적인 자기 기획을 통해 이루어지는 즐거운 활동이 된다. 그 안에서 교사는 학생들이 좀더 높은 수준의 과제를 도전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지원해 줄 수 있다. - 과제에 대해서도 교사가 일방적으로 제안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문제 상황을 주고 그 안에서 학생들이 찾아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에서 부모님들이 걱정하는 일들이 무엇인지 찾아보고 이를 어떻게 도울지 의견을 내는 과정에서 프로젝트 과제를 도출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관해서는 p72~73 참조) - 노인복지 시설에서 노인들 인텨뷰하고 노인들 자서전 만들어 들이기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도 있겠다. - 연극 꾸며보기 프로젝트 (한 여름 밤의 꿈) Part 2 왜 PBL을 하는가? - 하나의 프로젝트에서 여러 개의 성취기준을 동시에 다룰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역량이 분절되지 않고 통합적으로 성장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 (p105 참조) 서술형 평가문항 - 학생들은 어떤 쟁점에 관한 다양한 관점을 읽고 비교한 뒤 실제 상황에 사용할 수 있는 주장을 근거와 함께 작성해야 한다. (p107) - 미국 고등학교 AP의 캡스톤 디플로마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독자적인 연구 능력과 협업능력, 의사소통 능력을 배울 수 있도록 설계됐는데, 대학에서 이러한 능력들의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캡스톤 디플로마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요구한다. - 비판적 사고 능력과 창의력을 연마한다. - 어떤 문제에 대해 의문을 갖고 탐구와 조사를 실시한다. - 복잡한 쟁점과 주제에 대한 여러 견해를 고려하여 평가한 뒤 자신만의 관점을 형성한다. - 청중을 대상으로 프레젠테이션, 공연을 하거나 전시회를 한다. 평가 점수에 대해 : "시험 점수는 교실에서 일어나는 일의 한 단면만을 보여줄 뿐이이다. 표준화된 시험으로 학생들이 배우는 모든 것을 측정할 수는 없다. 반면 학생 프로젝트 결과물을 공개하는 전시회를 열게 되면 학교와 지역교육청은 훨씬 더 구체적으로 학교의 교육활동을 학부모에게 보여줄 수 있다.(중략) 시험 점수만으로 학생들을 규정할 수 없다." (p121)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하고 참여를 이끄는 PBL 첫째, PBL에는 협력적인 모둠 활동이 포함된다. 다른 학생들과 협력하는 것 자체가 동기를 유발한다. 둘째, PBL은 학생들의 의사를 존중하고 선택권을 준다. 자기표현과 의사 결정의 기회를 갖는 것은 학생과 성인 모두에게 있어서 강력한 동기 유발 요소로 작용한다. 셋째, PBL은 실제성을 강조한다. 프로젝트를 통해 완성된 과업과 공개할 결과물이 지니는 실제성은 학생들의 참여도를 더욱 높여준다. 마지막으로 PBL은 새로움을 제공한다. 제시된 질문의 본질, 완성된 학문적 과업, 프로젝트 진행 과정 등에 새로움이 동반된다. (p136) PART3_ 프로젝트 설계하기 프로젝트가 탄력을 받으면 프로젝트는 자체의 생명력을 갖고 진화하기 시작한다. - 티핑포인트(Tipping Point)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어떤 현상이 처음에는 아주 미미하게 진행되다 어느 순간 균형을 깨고 예기치 못한 일들이 폭발적으로 일어나는 그 시점을 말한다. 프로젝트 또한 작은 실천에서 시작하지만 몇몇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소소하게 일어나다 어느 순간 학교 문화를 바꾸어 놓을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를 티핑포인트를 미리 의도해서 진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티핑포인트는 예측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다만 작은 실천이 스노우 볼링 현상(Snow Bowling effect)을 일으키도록 교사들은학교의 문화를 바꿔갈 수 있게하는 노력을 멈추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하나의 흐름이 문화로 정착되면 관성이 생겨 새로운 프로젝트를 낳고 새로로운 프로젝트는 또 따른 실천경험의 장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러한 학생 자발성이 살아나는 계기를 만들어 내는 일은 교사와 학생이 함께 무언가를 고민하고 실천하고 표현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기도 하다. 4.16 프로젝트의 -어버이날 행사, 스승의날 행사-네팔 지진돕기 행사-음악감상실 운영-수요음악회-등교맞이행사-축제 03. 프로젝트의 다섯 가지 유형 (Five types of Projects) 첫째,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 (a project that solves real-life problems) - 교내 쓰레기 처리 방식이 비효울적이다. (p215) - 학교 운동장과 화장실에서 문제 행동들이 발생한다. (p76) - 대통령이 통일 정책에 대해 참모로서 조언하고자 한다. 둘째, 디자인 챌린지 프로젝트 이 유형의 프로젝트는 범위가 매우 넓고 다양하다. 무언가를 제안하고 계획하는 것에서 시작해 실제로 무언가를 만드는 것, 공연이나 행사를 진행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 의미가 있는 등교 맞이 프로젝트 - 학교 공간 디자인 프로젝트 - 우리 지역의 환경과 특성을 소개하는 프로젝트 - 다문화 학생들과 잘 지내기 프로젝트 등 셋째, 추상적인 질문을 탐구하는 주제중심 프로젝트 - 고문은 정당화 될 수 있는가? - 로봇도 가족이 될 수 있을까? - 무엇이 사람을 모험하게 만들까? - 개미를 죽여도 괜찮은가? 넷째, 조사 연구를 실시하는 프로젝트 - 위기를 극복한 사람들의 감동적인 이야기를 통해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돌아온 28인 등) - 우리 지역은 왜 이런 식으로 발전했나? 다섯째, 쟁점에 대한 입장을 취하는 프로젝트 - 인간에게 동물을 포획하고 가둘 권리가 있는가? (세상에 단 하나 뿐인 아이반) 04. 프로젝트 설계 1단계 : 상황 고려하기 - 누가 프로젝트에 참여하는가? - 언제 이 프로젝트를 실시할 것인가? - 단순 PBL로 할까, 복합 PBL로 할까? 시작은 단순 PBL에서 이후에 복합PBL로 진행하며 복합으로 하기 워해서는 동료 선생님들과 협업이 필요하다. 복합PBL은 교과융합이 될 수 있는데 만약 주제를 사회과나 도덕과에서 정하게 되고 국어과에서 글쓰기를 지도하기로 했다면 국어과는 부수적인 존재로 생각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이는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국어과에서 중요요한 언어영역 성취기준에 기반을 둘 필요가 있다. (p181) (시작은 짧은 시간에 할 수 있는 것에서 점차 장기간 프로젝트로 진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