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지난 13일 충남 당진시 현대제철에서 열린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제3고로 화입식’ 행사에서 3고로의 첫 가동을 위해 불을 지피는 ‘화입(火入)’을 하고 있다. |
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지난 14일 오후 2시 충남 당진시 현대제철 일관제철소 제3고로에서 첫 쇳물이 흘러나왔다.
전날 오전 10시30분쯤 정몽구 현대자동차 회장이 3고로에 화입을 한 지 하루여 만이다. 이로써 현대제철 당진제철소는 내용적 5250㎥의 초대형 고로 3기를 모두 가동하면서 총 연간 1200만t의 쇳물 생산능력을 보유했다.
당진제철소에는 2곳의 제강공장에 300t 규모의 전로 5기를 보유하는 등 총 1400만t의 제강능력으로, 각 100만t씩의 A열연용 전기로 2기와 120만t 규모의 철근용 전기로까지 더할 경우 조강 생산능력은 1570만t에 이른다.
단일 제철소로 조강 생산능력 1000만t이 넘는 제철소는 세계 1·2위인 포스코 광양제철소(2150만t), 포항제철소(1750만t)를 제외하면 세계 최상위권이다.
3고로 화입을 마친 정 회장은 기자들에게 "100년 동안 꺼지지 않을 불을 지피니 감회가 새롭다"며 기쁨을 표현했다. 현대제철은 결국 승리자가 됐다. 하지만 지난 과정은 국내 정치계·재계 거인간의 피 말리는 싸움의 연속이었다.
현대가에서 제철산업 참여를 선언한 것은 고 정주영 명예회장이 지난 1977년 9월 종합제철소 설립계획안을 내면서 시작됐다. 그 기반은 인천제철 인수였다. 인천제철은 경영부실로 산업은행 관리하에 있었고 1978년 정 명예회장은 회사 인수를 추진 중이던 장상태 동국제강 회장에게 손을 내밀었다. 현대중공업과 동국제강이 각각 50대 50의 동일지분으로 공동 인수한다는 데 합의했지만 입찰 마감을 코앞에 두고 정 명예회장은 단독 입찰서를 제출하면서 합작을 파기했다.
실제로 이 일로 장 회장은 생전 정 명예회장에 대해 서운한 감정을 풀지 않았다고 한다. 정 명예회장에게 있어 종합제철사업은 그만큼 중대한 사안이었다.
인천제철을 기반으로 현대그룹이 뛰어들자 박정희 대통령은 제2제철 사업자를 어디로 선정해야 할지 고민을 거듭했다. 민간기업이 맡아 경쟁체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과 포항제철이 맡아 좋은 품질의 철강재를 싼 가격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는 반론 모두 틀리지 않은 말이었다.
박 대통령은 결국 1978년 10월 포철에 제2제철소 사업권을 넘겨 광양제철소가 건립됐다.
정 명예회장은 1994년 7월 제3제철사업을 하겠다고 선언하며 두 번째 도전에 나서고 건설 예정지도 부산 가덕도를 제시했지만 공급과잉을 우려한 정부의 반대로 좌절됐다.
1996년 1월 그룹 회장이 된 정 회장은 제철사업 진출 의지를 밝히고 곧바로 종합제철사업 프로젝트팀을 발족해 경남 하동을 선정하고 정부의 반대에도 '뚝심'으로 밀어붙여 9부 능선까지 도달했으나 1998년 2월 IMF 외환위기 여파로 포기한다.
정 회장에게 기회가 다시 찾아왔다. 2004년 충남 당진 현 부지를 차지했던 한보철강 인수전이었다. 상대는 포스코-동국제강 컨소시엄이었다. 동국제강도 장세주 회장 체제로 바뀌어 또 다른 '2대간 싸움'이 벌어졌다.
과감한 인수가격을 제시한 정 회장은 승리했다. 현대제철은 당진 부지에 일관제철소 건립사업을 진행해 2006년 승인을 얻었다. 도전을 선언한 지 36년여 만에 거둔 결실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고로는 철강업계에 있어 최고의 지향점이자 모든 기업들의 꿈"이라며 "모두가 갖고 싶어했지만 결국 고로를 쟁취한 기업은 포스코와 현대제철, 그리고 브라질에서 꿈을 실현하고 있는 동국제강이 전부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