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바탕>
독서 산책 운동 필기 과제 의미 기도 노력 토론
<프로그램의 기본>
독서와 산책과 운동 (기본)
도구를 이용한 프로그램 진행 (색종이 색연필 크레파스 등)
팀별 대화 및 토론 (동물토론 발표토론 등)
고정관념을 깨는 진행과 활동
<대화 프로그램>
물 → 초대 → 살림 → 갈매기
<토론 프로그램>
시토론 / 소설토론 / 발표토론 / 음악토론 / 영화토론 / 동물토론 /사랑토론
<기본프로그램>
숨바꼭질 (야외) / 초록과자와의 만남 / 색종이 / 크레파스 / 색연필 / 형광펜 / 바람개비 (□ 채우기) / 감동의 게임 (탁구, 야구, 승마, 족구, 배구 등) / White naming (이름 만들기)
<심화프로그램>
리모콘 / 아마츄어 / 레모네이드 / 우산 및 대화 / Never Ending Love (찬양만 하루종일) / Meet success Always / 뚜벅이 / 색종이 그릇 / 향기로운 대화 (주제 정해서 1:1대화하기) / 그럴까? / 찰흙 / 마음대로 그리기 (□○△로 그리기) / 꽃과 사랑 (토론 심화) / 쵸콜릿 만남 / English make (영어단어로 의미 조합하기)
<토론방법>
팀장, 사회자, 필기담당자 선출.
팀장은 사회자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사회자는 토론의 사회를 맡는다.
필기담당자는 인원수가 5명 이하일 때는 1명만 선출. (제1필기)
6명 이상일 때는 2명 선출한다. (제1필기, 제2필기)
제 1필기자는 필기하면서 동시에 발언을 할 수 있다.
제 2필기자는 발언 없이 오직 필기만 할 수 있다.
<주제 정하기>
1) 강의시 ⇒ 전체주제를 미리 몇 가지 정하고 팀에서 선택. 주제 스카웃하기.
2) 수업시 ⇒ 사회자의 진행하에 주제 뽑기. 팀장은 사회자의 진행을 돕는 역할만 한다. 주제를 뽑지 못하고 우왕좌왕할 경우 팀장이 주제를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토론의 결론을 낼 경우에도 팀원이 결론을 내지 못했을 경우, 팀장이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팀장이 주제 정하는 방법 : 일반적인 사람들이 생각하지 않는 주제로 정한다.
팀장이 결론 내리는 방법 : 결론을 팀장이 내리려 하지 말라. 결론은 이미 나 있다.
<팀원 정하는 방법-강의시>
[팀 결정 순서는 가위 바위 보 등 다양한 게임을 통해서 결정]
마음 가는 대로 1~3명. (5명 기준 1명, 7명 기준 2명 10명 기준 3명)
2. 팀장이 2~4명까지 지명할 수 있다. (5명 기준 2명, 7명 기준 3명, 10명 기준 4명 지명)
3. 꼭 가야 하는 곳으로 남은 인원이 이동한다. 이 때 한 팀의 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인원 기준은 프로그램에 따라 인원수가 달라지며, 기준이란 전체 팀의 평균 인원수를 일컫는 것이다. 예를 들면, 20팀 200명일 경우 10명 기준이 되지만, 한 팀이 15명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의 성격에 따라 10명 이내로 인원수를 제한할 수도 있다.
<야외 활동시>
즉석에서 하는 활동일 수도 있다. 즉석에서 공을 구할 수도 있고, 즉석에서 모든 것을 구할 수도 있다. 미리 준비할 수도 있다. 다만, 다른 곳과 다른 점은 팀원을 정할 때부터 게임은 시작된다는 것이다. 인원이 많을 경우, 팀장 인솔하에 각자 다른 곳에서 팀원끼리 경기를 한다. 발야구팀, 배구팀, 족구팀, 야구팀, 축구팀, 농구팀 등. 다양하게 운용할 수 있다. 과격한 경기를 지양하기 위해서 승리에 목적을 두지 않는다. 1점 내는 경기가 될 수도 있고, 1000점 내는 경기가 될 수도 있다. 팀원끼리 상의해서 어떻게 하면 신선하면서 유익한 경기가 될 수 있을지에 대해 토론하고 경기에 임한다. 오전 팀 정하기, 오후 토론 및 시합, 이런 식으로 진행한다. 같은 팀끼리 팀을 나누어서 시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