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 음궐(陰厥)과 양궐(陽厥)
(부록(附): 장궐(臟厥) 회궐(蛔厥))
궐(厥)에는 두 가지 증(證)이 있으니, 양궐(陽厥)과 음궐(陰厥)
양궐(陽厥)이란 열궐(熱厥)이니, 반드시 먼저 삼양(三陽)에서부터 음분(陰分)으로 전입(傳入)한 것
초기(初起)에는 반드시 두동(頭疼) 발열(發熱)하고, 천(淺)에서 심(深)으로 들어간 연후(然後)에는 삼음(三陰)에 미치므로 이것이 변(變)하여 사지(四肢)가 역냉(逆冷)하고 혹 시(時)로 잠깐 온(溫)하며, 그 증(證)은 반드시 변결(便結) 조번(躁煩)하고 섬어(譫語) 발갈(發渴)하며 오한(惡寒)하지 않고 도리어 오열(惡熱)하며 맥(脈)이 침(沈)하면서 유력(有力)
이는 전경(傳經)된 열증(熱證)으로 화(化)한 것
외(外)로는 비록 수족(手足)이 궐냉(厥冷)하더라도 그 내(內)로는 열사(熱邪)로 인하여 양증(陽證)으로 발궐(發厥)한 것이므로 양궐(陽厥)이 되니, 곧 양극사음(陽極似陰)
그 증(證)은 사열(邪熱)의 내결(內結)로 말미암거나 혹 복양(伏陽)한 것을 잘못 하(下)한 소치(所致)
궐(厥)이 미(微)하면 열(熱)도 미(微)하므로 사역산(四逆散)의 종류(類)가 마땅하고,
궐(厥)이 심(甚)하면 열(熱)도 심(甚)하므로 승기탕(承氣湯)의 종류(類)가 마땅
음궐(陰厥)이란 한궐(寒厥)이니,
초(初)에는 삼양(三陽)으로 전경(傳經)된 실열(實熱) 등의 증(證)이 없고 진한(眞寒)이 삼음(三陰)으로 직접(直) 들어가 외한(畏寒) 궐랭(厥冷)하고 복통(腹痛) 토사(吐瀉)하며 전율(戰慄) 불갈(不渴)하고 맥(脈)이 침(沈)하면서 무력(無力)
이는 음한(陰寒)의 궐역(厥逆)으로 독음(獨陰) 무양(無陽)한 것이므로 음궐(陰厥)
경(輕)하면 이중탕(理中湯)으로 하고
중(重)하면 사역탕(四逆湯) 회양탕(回陽湯) 등으로 주(主)
성무기(成無己)가 "사역(四逆)이란 사지(四肢)가 온(溫)하지 못한 것이다.
상한(傷寒)의 사기(邪)가 삼양(三陽)에 있으면 수족(手足)은 반드시 열(熱)하고,
전(傳)하여 태음(太陰)에 전(傳)하여 이르면 수족(手足)은 저절로 온(溫)하게 되며,
소음(少陰)에 이르면 사열(邪熱)이 점차 깊어지므로(:深) 사지(四肢)가 역(逆)하면서 온(溫)하지 않고,
궐음(厥陰)에 미쳐 이르면 수족(手足)이 궐냉(厥冷)하니 이는 역(逆)보다 더 심(甚)한 것이다.
따라서 사역산(四逆散)을 사용(用)하여 음(陰)으로 전(傳)하여진 열증(熱證)을 산(散)."
상한론([傷寒論])에서 "모든 사역(四逆)이나 궐(厥)은 하(下)할 수 없다. 허가(虛家)도 그러하다."
성무기(成無己)가 주(註)하며 "사역(四逆)이란 사지(四肢)가 온(溫)하지 않은 것이고, 궐(厥)이란 수족(手足)이 냉(冷)한 것이니, 사역(四逆)보다 심(甚)한 것이다.
이는 모두 양기(陽氣)가 적고 음기(陰氣)가 많은 것이므로 하(下)할 수 없다. 허가(虛家)도 그러하다."
금궤옥함([金匱玉函])에서 "허(虛)하면 십분(十分: 100%) 보(補)하여야 하니, 일분(:10%)이라도 사(瀉)하지 말라."
상한론([傷寒論])에 "대개 궐(厥)이란 음양(陰陽)의 기(氣)가 서로 순접(順接)하지 못하여 곧 궐(厥)이 된 것이다. 궐(厥)이란 수족(手足)이 역냉(逆冷)한 것이다."
"병자(病者)가 수족(手足)이 궐랭(厥冷)한데 '나는 결흉(結胸)한 것이 아니다.'고 말하면서 소복(小腹)이 만(滿)하여 누를(:按) 때 통(痛)하다면 이는 냉(冷)이 방광(膀胱) 관원(關元)에 결(結)한 것이다."
"상한(傷寒)으로 4일 발열(發熱)하고 도리어 3일 궐(厥)하며 다시 4일 열(熱)하면, 궐(厥)이 적고 열(熱)이 많은 것이므로, 그 병(病)은 마땅히 낫는다."
"상한(傷寒)으로 4일 궐(厥)하고 도리어 3일 열(熱)하며 다시 5일 궐(厥)하면, 그 병(病)은 더 진행(進)하는 것이다. 한(寒)이 많고 열(熱)이 적어서 양기(陽氣)가 물러가므로 더 진행(進)되는 것이다."
"만약 궐(厥)하면서 구(嘔)하고 흉협(胸脇)이 번만(煩滿)하면 그 후(後)에는 반드시 변혈(便血)하게 된다."
상한론([傷寒論])에 "소음병(少陰病)으로 청곡(淸穀)을 하리(下利)하고 이한(裏寒) 외열(外熱)하여 수족(手足)이 궐역(厥逆)하며, 맥(脈)이 미(微)하여 절(絶)하려 하고 신(身)은 도리어 오한(惡寒)하지 않으며, 그 사람의 면(面)은 적색(赤色)이고 혹 복통(腹痛)하거나 혹 건구(乾嘔)하거나 혹 인통(咽痛)하거나 혹 이(利)가 그쳐도 맥(脈)이 나타나지 않으면(:不出) 통맥사역탕(通脈四逆湯)으로 이를 주(主)하여야 한다."
"상한(傷寒)으로 맥(脈)이 촉(促)하고 수족(手足)이 궐역(厥逆)하면 이를 구(灸)할 수 있다."
"상한(傷寒)으로 맥(脈)이 활(滑)하면서 궐(厥)하면 리(裏)에 열(熱)이 있는 것이니, 백호탕(白虎湯)으로 이를 주(主)하여야 한다."
"수족(手足)이 궐한(厥寒)하고 맥(脈)이 세(細)하여 절(絶)하려 하면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으로 이를 주(主)하여야 한다."
"만약 사람의 속(:內)에 오래된 한(寒)이 있으면 마땅히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當歸四逆加吳茱萸生薑湯)으로 이를 주(主)하여야 한다."
"대한(大汗)이 출(出)하여도 열(熱)이 거(去)하지 않고 속(:內)이 구급(拘急)하며 사지(四肢)가 동(疼)하고 또 하리(下利) 궐역(厥逆)하면서 오한(惡寒)하면 사역탕(四逆湯)으로 이를 주(主)하여야 한다."
"크게 한(汗)하거나 크게 하리(下利)하여도 궐역(厥逆)하면 사역탕(四逆湯)으로 이를 주(主)하여야 한다."
"병인(病人)의 수족(手足)이 궐냉(厥冷)하고 맥(脈)이 갑자기(:乍) 긴(緊)하면 사기(邪)가 흉중(胸中)에 결(結)한 것이니, 심중(心中)이 만(滿)하면서 번(煩)하고 기(饑)하여도 음식(食)을 먹을 수 없다. 병(病)이 흉중(胸中)에 있으면 마땅히 토(吐)하여야 하니, 과체산(瓜蒂散)이 마땅하다."
"상한(傷寒)에 궐(厥)하면서 심하(心下)가 계(悸)하면 먼저 마땅히 수(水)를 치(治)하여야 하니, 복령감초탕(茯苓甘草湯)을 마땅히 복용(服)하여 그 궐(厥)을 치료(治)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수(水)가 위(胃)로 스며들어(:漬入) 반드시 하리(利)하게 된다."
"청곡(淸穀)을 하리(下利)하고 이한(裏寒) 외열(外熱)하며 한출(汗出)하면서 궐(厥)하면 통맥사역탕(通脈四逆湯)으로 이를 주(主)하여야 한다."
"구(嘔)하면서 맥(脈)이 약(弱)하고 소변(小便)이 다시 이(利)하며, 신(身)에 미열(微熱)이 있고 궐(厥)이 나타나면 난치(難治)이니, 사역탕(四逆湯)으로 이를 주(主)하여야 한다."
생각하건대, 앞에서와 같은 양궐(陽厥) 음궐(陰厥)의 변(辨)은 선철(先哲)의 대법(大法)
그러나 나에게는 여전히 변(辨)하여야 할 것이 있다.
음궐(陰厥)의 일증(一證)에는 양증(陽證) 양맥(陽脈)이 없다. 이와 같이 한(寒)을 병(病)하면 분명히 이는 음증(陰證)이다. 요즘 사람들(:今人)은 단지 '중한(中寒)이다.'고만 말하는데, 곧 그 병(病)이다. 그러나 이렇게 범(犯)하는 경우는 얼마 되지도 않고 또 이를 알기도 어렵지 않는데, 그 치료(治)는 마땅히 온중(溫中)하여야 한다. 이는 더 변(辨)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 오직 양궐(陽厥) 일증(一證)은 변(辨)하지 않을 수 없다.
궐(厥)이 삼양(三陽)으로부터 전(傳)하면 바로 양궐(陽厥)이다. 이는 진실로 그러하다.
전경(傳經)으로 말하자면 또한 어찌 음증(陰證)이 전혀 없겠는가?
따라서 병(病)으로 진양(眞陽)이 부족(不足)한 경우는 곧 양중(陽中)의 음궐(陰厥)
맥(脈)이 약(弱)하면서 무신(無神)한 경우가 곧 양중(陽中)의 음궐(陰厥)
청량(淸凉)으로 공벌(攻伐)함이 태과(太過)하면 곧 양중(陽中)의 음궐(陰厥)
사지(四肢)는 제양(諸陽)의 본(本)이니, 열결(熱結)로 인한 번갈(煩渴) 창실(脹實) 등의 증(證)이 없으면서 궐역(厥逆)이 나타나면 모두 양기(陽氣)의 부족(不足)에서 말미암는다. 성무기(成無己)가 "대체(:大抵)로 궐역(厥逆)은 음(陰)이 주(主)하는 바이니, 한(寒)인 경우가 많다." 또 "궐(厥)은 음(陰)이 성(盛)한 것이다." 따라서 허(虛)를 협(挾)한 상한(傷寒)에 속(屬)하면 비록 양경(陽經)으로부터 전입(傳入)한 경우라 하여도 이 또한 양중(陽中)의 음궐(陰厥)
음중(陰中)의 음(陰)은 마땅히 온(溫)하여야 하지만,
양중(陽中)의 음(陰)은 과연 양(凉)하는 것이 마땅하겠는가?
따라서 배우는 자들은 '먼저 두동(頭疼) 발열(發熱)이 있고, 단지 삼양(三陽)으로부터 전(傳)하여 이른 것만이 바로 양궐(陽厥)이다.'고 말하면 안 된다.
한(寒)의 원인(因)에 열(熱)을 사용(用)한다면(:寒因熱用) 그 피해(害)가 적지 않다.
一. 장궐증(臟厥證)
중경(仲景)이 "상한(傷寒)에 맥(脈)이 미(微)하면서 궐(厥)하고 7~8일에 부(膚)가 냉(冷)하며, 그 사람이 조(躁)하여 잠깐(暫)이라도 편안(安)할 시기(時)가 없으면 이는 장궐(臟厥)이다."
장궐(臟厥)은 죽게 되니, 양기(陽氣)가 절(絶)하기 때문
一. 회궐증(蛔厥證)
중경(仲景)이 "회궐(蛔厥)은 그 사람이 당연히 회(蛔)를 토(吐)한다. 지금 병자(病者)가 정(靜)하였다가 다시 시(時)로 번(煩)하면 이는 장한(臟寒)으로 회(蛔)가 격(膈)으로 상입(上入)하므로 번(煩)하는 것이다. 잠시(:須臾) 다시 지(止)하였다가 식(食)을 얻으면 구(嘔)하면서 또 번(煩)하니, 이는 회(蛔)가 식취(食臭)를 맡으면 나오기(:出) 때문이다. 그 사람은 당연히 회(蛔)를 토(吐)한다. 회궐(蛔厥)에는 오매환(烏梅丸)으로 이를 주(主)하여야 한다."
성무기(成無己)가 "장궐(臟厥)은 죽는데, 양기(陽氣)가 절(絶)하기 때문이다. 회궐(蛔厥)은 비록 궐(厥)하면서 번(煩)하지만 회(蛔)를 토(吐)하고 나면 정(靜)하게 되니, 장궐(臟厥)의 조(躁)가 잠시(暫)라도 편안(安)한 시기(時)가 없는 것과는 같지 않다. 병인(病人)이 장한(臟寒) 위허(胃虛)하므로 마땅히 오매환(烏梅丸)을 투여(與)하여 온장(溫臟) 안충(安蟲)하여야 한다."
첫댓글 궐(厥)에는 두 가지 양궐(陽厥)과 음궐(陰厥)
양궐(陽厥)이란 열궐(熱厥)이고 전경(傳經)된 열증(熱證)으로 화(化)한 것 곧 양극사음(陽極似陰)
사역산(四逆散)/ 승기탕(承氣湯)
음궐(陰厥)이란 한궐(寒厥)이고 진한(眞寒)이 삼음(三陰)으로 직접(直) 들어간 것 독음(獨陰) 무양(無陽)
이중탕(理中湯)/ 사역탕(四逆湯) 회양탕(回陽湯) 등
양중(陽中)의 음궐(陰厥): 삼양에서 전경된 음궐
진양(眞陽)이 부족(不足)한 경우
맥(脈)이 약(弱)하면서 무신(無神)한 경우
청량(淸凉)으로 공벌(攻伐)함이 태과(太過)한 경우
허(虛)를 협(挾)한 상한(傷寒)의 경우
음중(陰中)의 음(陰)은 마땅히 온(溫)
양중(陽中)의 음(陰)도 마땅히 온(溫)
* 장궐증(臟厥證)
상한(傷寒)에 맥(脈)이 미(微)하면서 궐(厥)하고 7~8일에 부(膚)가 냉(冷)하며, 그 사람이 조(躁)하여 잠깐(暫)이라도 편안(安)할 시기(時)가 없다.
양기(陽氣)가 절(絶)하기 때문에 죽는다.
* 회궐증(蛔厥證)
회(蛔)를 토(吐)하니, 정(靜)하였다가 식(食)을 얻으면 구(嘔)하면서 또 번(煩)
장한(臟寒) 위허(胃虛)
오매환(烏梅丸)
◆ 양궐(陽厥)이란 열궐(熱厥)이고 전경(傳經)된 열증(熱證)으로 화(化)한 것 곧 양극사음(陽極似陰)
음궐(陰厥)이란 한궐(寒厥)이고 진한(眞寒)이 삼음(三陰)으로 직접(直) 들어간 것 독음(獨陰) 무양(無陽)
양중(陽中)의 음궐(陰厥): 삼양에서 전경된 음궐
장궐(臟厥)
상한(傷寒)에 맥(脈)이 미(微)하면서 궐(厥)하고 7~8일에 부(膚)가 냉(冷)하며, 그 사람이 조(躁)하여 잠깐(暫)이라도 편안(安)할 시기(時)가 없다.
회궐(蛔厥)
회(蛔)를 토(吐)하니, 정(靜)하였다가 식(食)을 얻으면 구(嘔)하면서 또 번(煩)
장한(臟寒) 위허(胃虛)